[re] “일본서 노하우 알려 몇년 전부터 접근해요”

조회 수 1331 추천 수 10 2009.09.14 17:58:03

>‘민속주 1호’ 부산 산성막걸리 만드는 전남선·유청길 모자
>  
> 산성막걸리는 누룩까지 직접 빚어 맛이 더욱 구수하다. 60년 넘게 누룩을 빚어 온 전남선씨(왼쪽)와 가업을 이은 아들 유청길씨. 전씨가 손에 들고 있는 것이 누룩이다.
>
>
>전남선(78)씨는 60년 동안 부산 명물인 산성 막걸리를 만들어왔다. 18세 때 부산 동래의 금정산 깊숙이 자리 잡은 산성마을로 시집와 시어머니로부터 술 빚는 법을 배웠다. 지금도 그때 배운 전통 방식대로 손수 누룩을 제조해 산성 막걸리를 만들고 있다. 어머니와 함께 막걸리의 맥을 잇고 있는 막내아들 유청길(51)씨가 전통 누룩과 막걸리 만드는 법을 설명했다.
>
>“통밀을 굵게 갈아 지하 250m에서 끌어올린 깨끗한 물을 섞어 발로 꼭꼭 눌러주며 반죽한 뒤 마을의 누룩방에서 실내 온도를 48~50도로 유지하며 보름 동안 발효해야 산성 막걸리용 누룩이 됩니다. 밀가루 떡에다 효모를 넣어 2~3일 만에 뚝딱 만드는 공장 누룩과는 차원이 다르지요. 이런 전통 누룩과 산성 마을의 맑은 물, 그리고 정성이 합쳐져 산성 막걸리가 나옵니다. 첨가물은 전혀 들어있지 않습니다.”
>
>아들이 설명하는 것을 듣고 있던 전씨는 “힘들고 오래 걸려도 전통 방식대로 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술맛이 안 나온다”라며 “산성마을의 막걸리 맛을 지키려면 이 정도 고생은 기본”이라고 말했다. 사실 전통 방식대로 누룩을 직접 만들어 술을 빚는 곳은 이제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
>이달 3일 서울역사박물관 내 콩두레스토랑에서 농림수산식품부가 개최한 ‘막걸리 트랜스포머’ 행사에서 모자는 누룩 만들기 시연을 했다. 누룩 덩이에 조금이라도 공기구멍이 남아 발효에 지장을 줄까봐 전용 덧신을 신고 꼭꼭 밟아 만드는 ‘족타식’이란 전통 방식이었다.
>
>유씨는 “최근의 막걸리 열풍으로 매출이 30%가량 늘었다”며 “이런 붐을 사라져가는 전통술을 되살리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막걸리의 진가를 일본인들이 먼저 알아보고 노하우를 알려고 접근하고 있다”며 “지난 몇 년 동안 일본의 발효 전문가들이 찾아와 함께 일하자고 제의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전통 비법을 일본에 넘길 수 없다는 생각에 거절했지만, 우리도 미처 가치를 알아차리지 못한 우리 전통 누룩과 막걸리 제조법을 알아내려고 일본인들이 그토록 집요하게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 놀라울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치’ 대신 ‘기무치’라는 일본말이 외국으로 퍼져나가는 것처럼, ‘막걸리’가 아닌 일본식 발음 ‘마코리’가 외국 시장에 먼저 소개될까봐 걱정하고 있다. 그래서 전통 누룩을 빚는 노하우를 하루빨리 표준화하고 전국의 양조장에 보급해 경쟁력 있는 전통의 맛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관심이나 지원도 없고, 막걸리에 대한 인식도 그리 좋지 않아 집에서 빚어온 가양주 빚기를 포기한 사람이 많았죠. 하지만 이제부터라도 전통주 문화의 재기를 모색해야죠.”
>
>3일 막걸리 행사에선 외국인들의 호응이 뜨거웠다. 서울에서 활동 중인 미국인 피아니스트 론 브랜튼은 “톡 쏘는 맛이 있어서 막걸리를 한국식 샴페인이라고 친구들에게 소개한다”며 “막걸리의 종류가 이렇게 많다는 게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중국 상하이(上海 )에서 활동하다 서울을 방문했다는 미국인 건축가 벤지 워드는 “막걸리를 처음 마셔보는데 부드러우면서 다양한 맛이 살아있는 데다 몸에 좋은 성분과 효모가 살아있다는 점이 새롭고 재미있다”며 “고국 친구들에게도 소개해 주고 싶다”고 말했다.
>
>이날 행사에선 건축가 승효상씨와 사진작가 준초이씨가 디자인한 다양한 막걸리 잔과 칵테일이 선보였다. 투명한 유리 잔과 텁텁한 사기 잔 등 다양한 용기도 전시돼 막걸리 세계화 가능성을 두드렸다.
>
>전수진 기자
>
>◆산성막걸리=부산 금정구 금성동 산성마을에서 빚는 전통 막걸리다. 오랫동안 밀주로 팔리다 1979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대통령령으로 양조를 합법화 해줘 오늘날까지 명맥을 잇고 있다. 대한민국 민속주 1호로 지정돼 있다.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672 2018-12-17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미치지(狂) 않으면 미치지(及) 못한다. 세상에 미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큰 일이란 없다." 인문학을 가르치는 모 교수의 책에서 읽은 글귀이다. 어떤 한 가지 일에 모든 정성을 쏟고 인생을 내던지는 사람들을 보면 갑자기 숙연해...

  • 조회 수 6496
  • 2006-02-09

정품연태고량주 '조심'...허용외합성첨가물 검출.회수

정품연태고량주 '조심'...허용외합성첨가물 검출.회수 【대전=뉴시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정품연태고량 34%'에서 허용외합성첨가물인 '싸이클라메이트'가 검출돼 대전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대전식약청)이 회수에 나섰다. 18일 대전식약청에 따르면 대전 ...

  • 조회 수 6060
  • 2007-05-02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9)경주 교동법주 file

-> 경주최씨 가양주인 교동법주가 300여년이나 빚어지고 있는 교촌주손 최경 씨의 자택 물봉진사 고택이다. 이 고택 마당에는 전통주 발효에 가장 알맞은 수백년된 우물이 있다. -> 경주 교동법주와 함께 약식과 송화다식, 소고기 육포와 명태 보푸라기, 김치...

  • 조회 수 5623
  • 2010-09-10

전남도, 농산물 유통·가공업체 적극 육성

[연합뉴스 보도자료 2006-05-18 15:30] [전라남도청] 전남도, 농산물 유통·가공업체 적극 육성 -소비촉진·가격안정 위해 경영컨설팅비 및 가공원료 수매자금 지원- 전남도는 도내 농산물의 소비촉진과 가격안정을 위해 농산물유통, 가공업체를 적극 지원·육성...

  • 조회 수 4910
  • 2006-05-18

햅쌀 막걸리대회 ‘주인(酒人)’은 누구 ?

햅쌀 막걸리대회 ‘주인(酒人)’은 누구 ? 가양주연구소, 20일 선발대회 햅쌀로 빚은 막걸리가 한데 모여 품질을 가리는 전국 규모의 대회가 열린다. 한국가양주연구소는 오는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010 대한민국 가양주 주인(酒人) 선발대회’를 열기로...

  • 조회 수 4313
  • 2010-11-05

와인 이어 사케(일본 청주) 공습

와인 이어 사케(일본 청주) 공습… 전통주 울상 20~30대 젊은층 '사케바' 발길 북적… 수입량 5년 만에 7배, 창업 열풍도 와인 열풍에 이어 이번엔 '사케(일본 청주)'다. 최근 몇 년간 국내 수입주류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해온 와인의 아성이 조금씩 흔들리고 있...

  • 조회 수 3979
  • 2007-12-05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뽑는다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뽑는다 경기, 우리쌀 소비촉진 위해 … 20일 코엑스서 경기도가 오는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D홀에서 우수한 우리쌀을 널리 알리고 쌀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우리쌀로 떡과 술을 빚는 ‘2010 대한민국 떡 명장·가양주 주인(酒人) ...

  • 조회 수 3942
  • 2010-11-18

경기도, ‘2010 대한민국 떡명장·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개최

경기도, ‘2010 대한민국 떡명장·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개최 경기도는 오는 11월 20일 삼성동 코엑스 D홀에서 우수한 우리 쌀을 널리 알리고, 쌀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우리 쌀로 떡과 술을 빚는 “2010 대한민국 떡명장·가양주 酒人 선발대회”를 개최한다. ...

  • 조회 수 3823
  • 2010-11-18

안성 술박물관 박영덕 관장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게, 내 집에 꽃 피거든 나도 자네 청하옴세, 백년덧 시름 잊을 일 의논코자 하노라.’ 경기 안성에 위치한 술박물관에 들어서면 눈에 띄는 시조이다. 한잔 두잔 오가다보면 슬픔을 지워주고 기쁨을 더해주는 술. 낯선 사람...

  • 조회 수 3819
  • 2006-02-07

식음료, 산소 사냥 나섰다 file [88]

-> 밀폐캡으로 산소를 차단한다=밀러브루잉코리아의 ‘그롤쉬’는 맥주병 입구에 산소를 차단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스윙탑’ 병마개를 장착했다. 스윙탑은 오프너로 병 뚜껑을 따거나 손으로 돌려 따는 트위스트 오픈캡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새로운 타입...

  • 조회 수 3637
  • 2010-09-03

경기도,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선발

경기도,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선발 (수원=송동근기자) 경기도가 전국 최고의 떡 및 가양주(家釀酒-집에서 빚은 술) 명인을 선발한다. 도는 오는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우리 쌀을 널리 알리고, 갈수록 줄어드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떡과 술을 ...

  • 조회 수 3372
  • 2010-11-18

주류관련 학과가 새로 생겨 알려드립니다 [1]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http://www.suv.ac.kr)라는 곳인데요. 2006년3월부터 발효식품과학과가 신설되었습니다. 이 과를 소개하는 내용을 조금 옮겨 보면 <주류산업의 리더, 건강 기능성식품의 미래를 개척하는 첨단 발효식품과학과 우리나라의 주류산업 및...

  • 조회 수 3327
  • 2006-02-09

한국관광공사 추천 11월의 가볼만한 곳②

한국관광공사 추천 11월의 가볼만한 곳② 물맛 따라, 술맛 따라, 한국의 전통주를 찾아서 3대째 가업으로 막걸리맛 이어간다 한국관광공사는 “물맛 따라, 술맛 따라, 한국의 전통주를 찾아서”라는 테마 하에 2010년 11월의 가볼만한 곳으로 ‘270년을 이어온 양...

  • 조회 수 3260
  • 2010-11-04

경기도, 전국 떡.막걸리 명인 선발대회

경기도, 전국 떡.막걸리 명인 선발대회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경기도가 전국 최고의 떡 및 가양주(막걸리) 명인을 선발한다. 도는 11일 "오는 20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우리 쌀을 널리 알리고, 갈수록 줄어드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쌀로 떡과 술...

  • 조회 수 3257
  • 2010-11-18

쑥고개엔 쑥이 없다

[심상덕의 서울야화 (3)] 쑥고개엔 쑥이 없다 [서울신문 2006-04-21 09:00] [서울신문]절기의 변화는 막을 수가 없습니다. 길을 지나다가 잘 한번 보세요, 양지바른 쪽으로는 벌써 풀잎들이 파릇파릇 돋아나 있고, 또 들판에 나가 보면 그 왜 쑥 있잖아요, 이...

  • 조회 수 3232
  • 2006-05-02

집에서 담근 술 ‘가양주’빚는 사람들

최근 들어 ‘별’ ‘아침이슬’ 등 소주의 이름이 다양해지고 있다. 오십세주, 레몬주, 오이주를 즐기던 젊은이들이 자신의 개성을 술에서도 찾기 시작했다. 우리술에 대한 관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술 만들기 강좌의 증가, 술 동호회의 활성화 등과 맞물려 가양...

  • 조회 수 3188
  • 2006-07-28

경기도, '집에서 빚은 술' 전국 최고 뽑는다 [71]

경기도, '집에서 빚은 술' 전국 최고 뽑는다 | 기사입력 2011-08-09 15:13 광고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가양주(家釀酒)는 말 그대로 '집에서 빚은 술'로, 우리 조상은 가정에서 술을 빚어 제사나 집안 행사에 사용했다. 집집이 술 ...

  • 조회 수 3162
  • 2011-08-28

獨맥주·佛와인 무관세되면 국내 주류시장 잠식할 우려 [1]

한·EU FTA, 피해 산업은 獨맥주·佛와인 무관세되면 국내 주류시장 잠식할 우려 BMW 등 자동차도 가격 13% 하락 예상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수석대표인 김한수(왼쪽) 통상교섭본부 FTA 추진단장과 이그나시오 가르시아 베르세로 EU 집행위 통...

  • 조회 수 3152
  • 2007-05-07

[뉴스테이션/뉴스데이트]핀란드인 따루 “주모라고 불러줘”

박제균 앵커) '미녀들의 수다'라는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핀란드인 따루 살미넨 씨를 아시는 분들 많을 겁니다. 유창한 한국어 실력에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 같은 모습으로 인기를 얻었죠. (구가인 앵커) 따루 씨는 스스로를 자칭 막걸리 홍보대사라고 소개...

  • 조회 수 3144
  • 2010-11-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