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名人◀ (27) 제주전통주 계승자 김을정씨

조회 수 2599 추천 수 64 2007.01.23 19:37:22
이명옥 *.5.46.203
▶한국의 名人◀ (27) 제주전통주 계승자 김을정씨

(서귀포=연합뉴스) 홍동수 기자

"술은 항상 살아 숨쉰다. 아기 키우는 것보다 더 많은 정성을 기울여야 제대로 된 술 맛을 낼 수 있다".

   제주 전통 민속주인 '오메기술'과 '고소리술' 기능보유자 김을정(83.여)씨는 술 제조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성'이라고 말한다.

   김씨는 팔순을 넘겼지만 1990년 5월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3호 오메기술 기능보유자로 지정된 제주의 대표적인 전통주 장인으로 꼽히고 있다.

   술 손님이 많은 `지역유지'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젊은 시절부터 친정어머니로부터 술 담그는 법을 배웠다. 시집을 온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민속마을에서도 그의 명성은 이어졌다.

   그러나 김씨는 기능보유자 지정을 제안받고 처음에는 망설였다고 한다.

   김씨는 "다른 집안에서도 다 만드는 술이고 특별히 내세울 만한 기능도 없는데 `기능보유자'가 어울리지 않는 것 같았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결국 김씨는 `전통기법을 보전하기 위해선 수락해야 한다'는 주변의 설득을 받아들였지만 어깨가 무거웠다고 한다.

   김씨는 "특별한 사람으로 지정받았다고 생각하니 눈을 감고 하던 일조차 조심스러웠다"며 "오래 전 어머니, 할머니가 사용했던 방법을 되돌아 보며 전통을 되살리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전통을 강조하는 김씨는 지금도 흔하고 편한 가스불 대신 장작불을 사용하고, 재래식 아궁이와 온돌방을 갖춘 전통 초가에서 생활하며 술을 빚고 있다.

   장작불을 지필 때마다 흐르는 눈물이 `정성'으로 승화돼 술맛으로 연결되고 있는 셈이다.

   '오메기'는 좁쌀 가루로 만든 떡을 말한다. 오메기가 식기 전에 으깨 항아리에서 누룩과 적정량의 물을 섞어 10-15일이 지나면 오메기술이 완성된다고 한다.

   비교적 간단한 과정 같지만 '정성'이 들어가야 좋은 술이 만들어진다.

   먼저 좋은 좁쌀을 원료로 써야 한다. 800여평의 밭에 조를 재배하고 있는 김씨는 제주산 차좁쌀 만을 오메기술의 원료로 사용한다.

   "전통술이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데 비해 차좁쌀 재배면적 감소로 원료 확보가 힘들어지지자 한 때 중국산 좁쌀을 사용하기도 했다"는 김씨는 "중국산은 누룩을 섞어도 잘 발효되지 않고 술 맛도 제대로 나지 않아 이후로는 제주산 차좁쌀 만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을 섞을 때도 오메기와 누룩의 반응을 살펴가며 서서히 진행해야 한다. 무조건 물을 퍼부어버리면 누룩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누룩과 물의 양을 조절해가며 술의 기능이 잉태되는 순간을 촉감과 시각을 동원해 육감으로 느낄 수 있어야 비로소 `술의 생명'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렇게 술의 탄생을 확인하고 술독이 완성되면 이틀 동안 적절히 온도를 높여주며 수시로 저어주고 발효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계속 확인해야 한다. 발효 후에도 술의 생명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지 자주 살펴야 한다.

   제대로 된 오메기술을 만드는 김씨의 또다른 '비법'은 누룩에 있다.

   김씨는 누룩을 직접 만들어 사용한다. 시장에서 파는 누룩은 절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보리를 물에 담가 틔운 후 납작한 육면체 메주 모양으로 뭉친 다음 볏짚으로 덮어 20일쯤 지나면 누룩곰팡이가 충분히 번식한 누룩이 완성된다고 한다.

   누룩을 만들 때의 적정 온도는 20-22도. 그래서 김씨는 말복이 지난 가을에 누룩을 만들어 이듬 해 봄까지 술을 담그고 여름에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술을 만들지 않는다.

   오메기술 기능보유자인 김씨는 1995년 4월에는 제주도 무형문화제 제11호 고소리술 기능보유자로 지정됐다.

   고소리술은 오메기술과 같이 좁쌀을 원료로 사용하지만, 제조과정이 오메기술에 비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려 상상을 초월하는 정성을 필요로 한다.

   고소리는 시루 형태로 솥 위에 올려놓아 증기를 액체로 응집시키는 도구를 말한다. 고소리 윗부분에는 차가운 물로 계속 갈아주며 기화된 술이 쉽게 액체가 되도록 돕는다. 이 고소리를 통해 제조된 술이라 해서 '고소리술'로 이름 붙여졌다.

   오메기술이 알코올 농도 17-18%의 탁주, 막걸리 형태로 일반인들이 가정에서 쉽게 만들어 마셨던 술인데 반해 고소리술은 알코올 농도가 35% 이상, 높게는 70-80%까지 이르는 독한 술로,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정성이 필요한 만큼 고급술에 속한다.

   증류시켜 고소리술을 뽑아내기 위해선 먼저 '밑술'을 만들어야 한다.

   좁쌀을 물에 10여시간 담가 부풀린 뒤 걸러내 시루에서 충분히 쪄 좁쌀밥을 만든 다음 누룩과 물을 섞어가며 충분히 주물러 기포가 올라오기 시작하면 비로소 술의 생명이 시작된다.

   물과 1대 1 비율로 혼합해 처음에는 항아리 밑 부분에만 찰 정도의 분량만 넣어 잘 저으며 15일쯤 발효시키면 생명력이 왕성한 1차 밑술이 완성된다.

   1차 밑술 발효가 절정에 달할 무렵 초기 과정을 반복해 항아리가 가득 찰 때까지 2차, 3차, 많게는 10차까지 덧술을 부으며 발효의 생명력을 유지한다.

   이렇게 완성된 밑술을 솥에 넣어 장작불로 끓이며 고소리를 통해 증류주를 받아내면 고소리술이 된다.

   고소리술은 35%가 넘는 독주에 속하지만 마실 때 향과 맛이 순하고 부드러워 독한 술 같은 느낌이 들지 않는다. 또 술이 깬 다음도 머리가 아프지 않고 숙취가 적어 고급 양주를 연상케 한다.

   이렇게 받아낸 고소리술을 물허벅 등 용기에 넣어 다시 6개월 이상 숙성시킨다. 오래 숙성시킬수록 좋은 술이다. 대량으로 생산하는 술처럼 맛이나 알코올 도수가 일정하지는 않지만 제조자의 정성이 듬뿍 담긴 명주로 탄생하는 것이다.

   기능보유자 김씨의 고소리술 제조법은 전수자로 선정된 며느리 김희숙(48)씨가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며느리 김씨는 "시어머니로부터 고소리술 제조법을 익히면서 우리 술이 정말 우수하고 우리 몸, 우리 정신에 맞는다는 것을 확신해 여생을 고소리술과 함께 하기로 결심했다"며 "어머니의 제조법을 최대한 전수받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조선시대에는 명문가의 집집마다 독특한 술을 빚으며 가보로 삼았다"며 "시어머니의 고소리술 제조법을 가보로 이어받아 전통기법을 유지하면서 현대인의 입맛과 취향에 맞는 술을 개발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737 2018-12-17

KBS 아침뉴스타임 - [활력충전] 맛과 멋에 흠뻑~ 우리 전통술

KBS 아침뉴스타임 - [활력충전] 맛과 멋에 흠뻑~ 우리 전통술 류인수소장님께서 수업중이신 모습까지 같이 촬영되었던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13.12.17일 방영분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U-s1BySHiA

  • 조회 수 898
  • 2017-01-06

조선일보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주막이 부활하고 있다. 지난 2월 주세법이 개정되면서 대형 양조장이 아닌 음식점에서도 직접 담근 막걸리·청주·약주를 팔 수 있게 됐다. 옛 주막과 지금 주막은 어떻게 같고 다를까. 조선 시대 마지막 주막으로 알려진 경북 예천 ...

  • 조회 수 914
  • 2017-01-06

[한경생활문화] "맛이 다르다" 입소문…정용진도 반한 11만원 술의 정체 file

입력 2022.01.06 16:52 수정 2022.01.07 02:07 지면 A20 명욱의 호모마시자쿠스 10만원대 막걸리 시대 우리술에서 위스키의 향이 난다 도수 높은 원액 우리의 전통 술도 이젠 느끼고 음미할 수 있어 작년 가을 주류업계를 떠들썩하게 한 ...

  • 조회 수 915
  • 2022-01-11

[동아닷컴] 전통주갤러리, ‘한국술 도서 기획전 : 술의 기록’ 진행 file

박해식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1-04-30 09:34수정 2021-04-30 09:40 전통주갤러리에서 6월 30일까지… 50여권 전시 전통주갤러리(관장 이현주)는 한국 술 관련 도서들을 한자리에 모아놓은 ‘한국 술 도서 기획전 : 술의 기록’을 ...

  • 조회 수 934
  • 2021-05-06

쿠켄 맛있는 TV 풋풋한 봄 한모금 쑥으로 빚는 술, ‘애주(艾酒)’

https://tv.naver.com/v/1622454 시절이 좋아 시절주 풋풋한 봄 한모금, 애주 옛 사람들은 계절이 바뀌면 그 계절의 산물로 술을 빚었다. 시절이 좋아 시절마다 담그는 술 ‘시절주’다.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 소장과 함께 매달의 정취를 담아 시절주를 빚어...

  • 조회 수 936
  • 2018-11-08

[BND TAKL] 류인수의 서울 막걸리 file

출처 : https://m.blog.naver.com/barndining_/222292398772

  • 조회 수 994
  • 2021-04-20

소믈리에 타임즈 2017 우리술 주안상 대회 개최!, 11월19일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한국가양주연구소(소장 류인수)는 오는 11월 19 우리술 주안상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15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 3회째를 맞이하는 우리술 주안상대회는 우리술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을 선발하는 대회이며, 주안상부와 대학생부로 나뉘어 치러진다...

  • 조회 수 1009
  • 2018-11-08

[어게인TV]'수요미식회', 취향저격 막걸리? '라벨'만 확인하세요

기사입력 2017. 03. 30 06:50 .article .info .info_left{width:50%} .article .info .info_right{width:50%} .unse_160920_t1, .unse_160920_t2{position:relative; overflow:hidden; float:left; font-size:12px; padding:1px 6px; letter-spaci...

  • 조회 수 1072
  • 2018-11-08

농진청 전통주 복원 움직임 활발

농진청 전통주 복원 움직임 활발 고려시대 ‘녹파주’ ‘아황주’ 실용화 성공 … 2012년까지 총 15개 전통주 복원 목표 전통주를 복원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농촌진흥청은 2008년 ‘삼일주(三日酒)’와 ‘황금주(黃酒)’에 이어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던 ‘녹파주(波酒...

  • 조회 수 1128
  • 2010-08-21

해외에서도 막걸리 ‘열풍’

해외에서도 막걸리 ‘열풍’ 中수출액 22배·美 8배 ↑ 막걸리 열풍이 해외에서도 거세게 불고 있다. 올해 상반기(1∼6월) 막걸리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4배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중국 수출액은 22배로, 미국은 8배로 상승했다. 10일 ...

  • 조회 수 1133
  • 2010-08-12

경북도 쌀산업 즉석밥·전통주 위주로

경북도가 쌀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본격 육성한다. 도는 값 폭락 등 해마다 되풀이 되는 쌀 수급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해 기존의 생산 및 보관 중심의 쌀 산업에서 탈피, 정보기술(IT)·생명공학(BT)·나노기술(NT)와 결합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 육성키...

  • 조회 수 1138
  • 2010-02-11

조선일보 맛있는 우리술 다모였네... K-Sool 프리미엄 시음 상담회

입력 2018.10.19 14:57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우수한 전통주의 판로확대를 위하여 ‘2018 K-Sool 프리미엄 시음 상담회’를 지난 16일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에서 개최했다. 지난 16일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

  • 조회 수 1167
  • 2018-11-08

[여성조선] 한 병 5만9천원, 정용진ㆍ고소영ㆍ박재범이 반한'증류식소주'의 모든 것 file

#화요 #키소주 #원소주 이근하 기자 입력 2022.02.23 09:00 수정 2022.02.25 08:48 사진(제공) : 조선일보DB, 원소주SNS 녹색병 소주보다 몇 배는 더 비싼 ‘이 술’이 화두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과 배우 고소영은 극찬했고, 가수 박재범은 브랜...

  • 조회 수 1198
  • 2022-03-08

[세계파이낸스]한국가양주연구소,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 23~25일 aT센터서 개최

2017 우리술 주안상 대회 경연 사진[세계파이낸스=이경하 기자] 한국가양주연구소(소장 류인수)가 오는 23일~25일 ‘2018 우리술 대축제’가 열리는 서울 aT센터에서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를 개최한다. 2015년 시작해 올해 4회째를 맞는 ‘우리술 주안상대회...

  • 조회 수 1207
  • 2018-11-22

농촌여성 전문교육 열기 ‘후끈’

농촌여성 전문교육 열기 ‘후끈’ 삼척 농기센터, 전통주 제조 등 9개 강좌 1000명 참여 농촌여성들의 능력 계발 활동을 돕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여성 전문교육과정이 삼척시에서 잇따라 개설돼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6일 삼척시에 따르면 농업기술센...

  • 조회 수 1211
  • 2010-09-28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주로주로닷컴 메인페이지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막걸리 포털사이트 '주로주로닷컴' 오픈 국내 최초로 막걸리 전문 포털사이트가 생긴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쌀가공식품협회는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전국의 막걸리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

  • 조회 수 1212
  • 2010-06-24

막걸리도 글로벌?…지역색 없이 ‘맥주될라~’

막걸리도 글로벌?…지역색 없이 ‘맥주될라~’ 대기업이 '막' 걸리는 대로 지역 막걸리 업체와 손잡고 막걸리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진로와 오리온·롯데그룹·농심그룹·CJ제일제당 등이 그들이다. 이로써 중소·지역업체가 일궈놓은 막걸리시장이 대기업의 이전투구...

  • 조회 수 1255
  • 2010-07-06

[인천일보]한국 가양주연구소 '우리술 주안상 대회' 대상은 진두룡씨

한국 가양주연구소는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를 개최한 결과 '한우와 한돈을 이용한 겨울 제철 상차림'을 선보인 진두룡(오른쪽)씨가 대상을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진씨는 풍정사계 동(25%)을 주류로 선정한 가운데 소꼬리와 한약을 넣어 삶은 수육을 ...

  • 조회 수 1256
  • 2018-12-10

[소믈리에타임즈]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 ‘진두룡, 풍정사계 동(25%) 주안상으로 대상 수상’

▲ 대상을 수상한 진두룡(오른쪽) 수상자 <사진=한국가양주연구소>한국가양주연구소에서 실시한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에서 ‘한우와 한돈을 이용한 겨울 제철 상차림’을 선보인 진두룡이 대상을 차지했다. 진두룡은 풍정사계 동(25%)을 주류로 선정했으며, 소...

  • 조회 수 1271
  • 2018-12-10

조·기장·율무로 빚은 ‘잡곡술’ 나온다

농진청, 가양주 개발 시제품 품평회 농촌진흥청은 조, 기장, 수수, 율무로 빚은 술을 선보인다. 농진청은 한국가양주협회와 공동으로 ‘잡곡 소비촉진과 잡곡산업 활성화를 위한 잡곡 가양주 개발 시제품 품평회’를 13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전통...

  • 조회 수 1275
  • 2009-11-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