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조회 수 1594 추천 수 51 2006.11.01 16:42:46
[경제광장]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헤럴드경제 2006-10-26 14:02]    



이내수 (사)향토지적재산본부 이사장
가뜩이나 어려워진 농촌은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노인들만이 지키고 있는 황폐해진 농촌이 활력을 되찾고 농가소득도 높이는 특단의 대책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농가소득원의 확대를 위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공략대상의 하나로 알코올 음료시장이 있다. 우리 농민이 생산하는 농축산물의 농가판매가격 기준 생산가액이 35조원(2005년)인데, 한 해에 국민이 소비하는 알코올성 음료의 추정액이 출고가격 기준으로 10조~20조원 수준임을 고려할 때, 이 시장에서 농가소득원을 찾을 수 있는 잠재력은 매우 크다. 농정이 앞서가는 나라들의 경우 농가에서 주류의 원료 생산뿐만 아니라 양조 과정까지도 상당 부분 참여하고 있어서 알코올성 음료산업이 농촌 활성화에 큰 몫을 한다.

그러나 우리 시장에서의 알코올성 음료 원료공급 상황을 보면 현실은 너무나 초라하다. 소주는 열대지방의 타피오카를, 맥주의 경우에는 수입맥주맥과 호프를 사용하고 있으며, 완제품을 수입하는 양주는 말할 필요도 없고 과거 국민주로 불려왔던 막걸리도 거의 수입소맥 원료에 의존하고 있다. 국산 농산물을 이용하는 민속주의 소비량은 극히 미미하다.

국민들이 애용하는 소주의 경우 녹말원료 중 세계에서 가장 염가의 타피오카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울적한 기분을 풀 수 있을지는 모르나, 비용 걱정 없는 과음으로 국민 건강을 해치는 부작용이 혹시 발생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알코올성 음료가 소비자에게 접근할 때 알코올 혼자만이 나서지는 않는다. 때로는 화려한 문화의 옷으로 분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알코올의 부끄러운 부분만 최소한으로 가린 초라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알코올이 입는 문화의 옷을 만들어내는 원천은 포도ㆍ쌀 등 원료농산물이 태어난 지역의 역사ㆍ풍토가 되기도 하고 농작물을 돌보는 농민들의 손길에 묻어 있는 정성이나 특별한 기술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양조기술의 발전과정이나 이와 관련한 독특한 얘깃거리가 되기도 한다. 농민의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문화의 옷이 화려할수록 농가소득의 원천이 커지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각 지역마다 고유한 쌀 품종과 독특한 양조법으로 빚은 지역특색 청주가 오늘날까지 오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지역의 농산물을 활용하는 포도주 등 특색주 양조장이 생겨나면서 방문객들에게 양조과정의 견학과 시음을 곁들인 판촉을 활발하게 전개, 지역경제 활성화와 농가소득 증대에 큰 몫을 해내고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는 각 지역의 독특한 풍토와 품종을 자랑하면서 모든 생산농가가 포도주 양조까지 연결하여 그 지역의 자랑스러운 역사 속에서 농가소득원의 크기를 최대한 확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하 군량미 확보 차원에서 전통주를 금지했던 강압조치가 광복 이후 식량절약과 조세징수 편의 위주로 정책이 전개되면서, 지방특색과 농민의 정성이 깃든 전통주 부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농촌경제 측면에서는 매우 아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국민들이 가장 친근해하는 소주를 보면, 전통적인 증류주와는 전혀 관계없는, 공장에서 생산된 주정을 물과 섞는 희석식으로 만들어지고, 그 원료도 초창기에는 고구마를 활용하다가 이제는 열대지방의 타피오카를 재료로 하는 알코올성 음료를 만드는 나라가 되었다. 아프리카를 제외하고는 인간 식료품으로 타피오카를 이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라고 알고 있다. 몇 해 전 정부가 재고 과잉된 쌀을 처분하기 위해 주류업체에 소주 주정용으로 공급할 때 식용쌀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가격을 적용한 쓰라린 경험은, 문화가 없이 주정에 물만 타서 마시는 우리 형편을 적나라하게 설명하고 있다.

지역특색과 농민의 정성이 함께 살아 있어야 할 전통주의 가치가 완전히 사라져 버리고 알코올만으로 소비자에게 다가서는 알코올 문화 황폐화에 직면하고 있다. 농가소득원을 넓히고 농촌의 활성화를 촉진하면서 한편으로는 알코올성 음료의 과음을 막아 국민 건강을 돌보는 동시에, 우리 전통과 농민의 희망을 살리는 화려한 문화의 옷을 걸친 격조 높은 알코올성 음료를 육성하기 위한 업계의 노력과 정부 정책의 합작을 간절히 기대한다.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782 2018-12-17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미치지(狂) 않으면 미치지(及) 못한다. 세상에 미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큰 일이란 없다." 인문학을 가르치는 모 교수의 책에서 읽은 글귀이다. 어떤 한 가지 일에 모든 정성을 쏟고 인생을 내던지는 사람들을 보면 갑자기 숙연해...

  • 조회 수 6516
  • 2006-02-09

정품연태고량주 '조심'...허용외합성첨가물 검출.회수

정품연태고량주 '조심'...허용외합성첨가물 검출.회수 【대전=뉴시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정품연태고량 34%'에서 허용외합성첨가물인 '싸이클라메이트'가 검출돼 대전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대전식약청)이 회수에 나섰다. 18일 대전식약청에 따르면 대전 ...

  • 조회 수 6064
  • 2007-05-02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9)경주 교동법주 file

-> 경주최씨 가양주인 교동법주가 300여년이나 빚어지고 있는 교촌주손 최경 씨의 자택 물봉진사 고택이다. 이 고택 마당에는 전통주 발효에 가장 알맞은 수백년된 우물이 있다. -> 경주 교동법주와 함께 약식과 송화다식, 소고기 육포와 명태 보푸라기, 김치...

  • 조회 수 5636
  • 2010-09-10

전남도, 농산물 유통·가공업체 적극 육성

[연합뉴스 보도자료 2006-05-18 15:30] [전라남도청] 전남도, 농산물 유통·가공업체 적극 육성 -소비촉진·가격안정 위해 경영컨설팅비 및 가공원료 수매자금 지원- 전남도는 도내 농산물의 소비촉진과 가격안정을 위해 농산물유통, 가공업체를 적극 지원·육성...

  • 조회 수 4927
  • 2006-05-18

햅쌀 막걸리대회 ‘주인(酒人)’은 누구 ?

햅쌀 막걸리대회 ‘주인(酒人)’은 누구 ? 가양주연구소, 20일 선발대회 햅쌀로 빚은 막걸리가 한데 모여 품질을 가리는 전국 규모의 대회가 열린다. 한국가양주연구소는 오는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010 대한민국 가양주 주인(酒人) 선발대회’를 열기로...

  • 조회 수 4333
  • 2010-11-05

와인 이어 사케(일본 청주) 공습

와인 이어 사케(일본 청주) 공습… 전통주 울상 20~30대 젊은층 '사케바' 발길 북적… 수입량 5년 만에 7배, 창업 열풍도 와인 열풍에 이어 이번엔 '사케(일본 청주)'다. 최근 몇 년간 국내 수입주류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해온 와인의 아성이 조금씩 흔들리고 있...

  • 조회 수 3995
  • 2007-12-05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뽑는다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뽑는다 경기, 우리쌀 소비촉진 위해 … 20일 코엑스서 경기도가 오는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D홀에서 우수한 우리쌀을 널리 알리고 쌀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우리쌀로 떡과 술을 빚는 ‘2010 대한민국 떡 명장·가양주 주인(酒人) ...

  • 조회 수 3952
  • 2010-11-18

안성 술박물관 박영덕 관장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게, 내 집에 꽃 피거든 나도 자네 청하옴세, 백년덧 시름 잊을 일 의논코자 하노라.’ 경기 안성에 위치한 술박물관에 들어서면 눈에 띄는 시조이다. 한잔 두잔 오가다보면 슬픔을 지워주고 기쁨을 더해주는 술. 낯선 사람...

  • 조회 수 3854
  • 2006-02-07

경기도, ‘2010 대한민국 떡명장·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개최

경기도, ‘2010 대한민국 떡명장·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개최 경기도는 오는 11월 20일 삼성동 코엑스 D홀에서 우수한 우리 쌀을 널리 알리고, 쌀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우리 쌀로 떡과 술을 빚는 “2010 대한민국 떡명장·가양주 酒人 선발대회”를 개최한다. ...

  • 조회 수 3840
  • 2010-11-18

식음료, 산소 사냥 나섰다 file [88]

-> 밀폐캡으로 산소를 차단한다=밀러브루잉코리아의 ‘그롤쉬’는 맥주병 입구에 산소를 차단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스윙탑’ 병마개를 장착했다. 스윙탑은 오프너로 병 뚜껑을 따거나 손으로 돌려 따는 트위스트 오픈캡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새로운 타입...

  • 조회 수 3643
  • 2010-09-03

경기도,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선발

경기도, 전국 최고 떡-가양주 명인 선발 (수원=송동근기자) 경기도가 전국 최고의 떡 및 가양주(家釀酒-집에서 빚은 술) 명인을 선발한다. 도는 오는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우리 쌀을 널리 알리고, 갈수록 줄어드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떡과 술을 ...

  • 조회 수 3376
  • 2010-11-18

주류관련 학과가 새로 생겨 알려드립니다 [1]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http://www.suv.ac.kr)라는 곳인데요. 2006년3월부터 발효식품과학과가 신설되었습니다. 이 과를 소개하는 내용을 조금 옮겨 보면 <주류산업의 리더, 건강 기능성식품의 미래를 개척하는 첨단 발효식품과학과 우리나라의 주류산업 및...

  • 조회 수 3349
  • 2006-02-09

경기도, 전국 떡.막걸리 명인 선발대회

경기도, 전국 떡.막걸리 명인 선발대회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경기도가 전국 최고의 떡 및 가양주(막걸리) 명인을 선발한다. 도는 11일 "오는 20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우리 쌀을 널리 알리고, 갈수록 줄어드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쌀로 떡과 술...

  • 조회 수 3269
  • 2010-11-18

한국관광공사 추천 11월의 가볼만한 곳②

한국관광공사 추천 11월의 가볼만한 곳② 물맛 따라, 술맛 따라, 한국의 전통주를 찾아서 3대째 가업으로 막걸리맛 이어간다 한국관광공사는 “물맛 따라, 술맛 따라, 한국의 전통주를 찾아서”라는 테마 하에 2010년 11월의 가볼만한 곳으로 ‘270년을 이어온 양...

  • 조회 수 3267
  • 2010-11-04

쑥고개엔 쑥이 없다

[심상덕의 서울야화 (3)] 쑥고개엔 쑥이 없다 [서울신문 2006-04-21 09:00] [서울신문]절기의 변화는 막을 수가 없습니다. 길을 지나다가 잘 한번 보세요, 양지바른 쪽으로는 벌써 풀잎들이 파릇파릇 돋아나 있고, 또 들판에 나가 보면 그 왜 쑥 있잖아요, 이...

  • 조회 수 3235
  • 2006-05-02

집에서 담근 술 ‘가양주’빚는 사람들

최근 들어 ‘별’ ‘아침이슬’ 등 소주의 이름이 다양해지고 있다. 오십세주, 레몬주, 오이주를 즐기던 젊은이들이 자신의 개성을 술에서도 찾기 시작했다. 우리술에 대한 관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술 만들기 강좌의 증가, 술 동호회의 활성화 등과 맞물려 가양...

  • 조회 수 3193
  • 2006-07-28

경기도, '집에서 빚은 술' 전국 최고 뽑는다 [71]

경기도, '집에서 빚은 술' 전국 최고 뽑는다 | 기사입력 2011-08-09 15:13 광고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가양주(家釀酒)는 말 그대로 '집에서 빚은 술'로, 우리 조상은 가정에서 술을 빚어 제사나 집안 행사에 사용했다. 집집이 술 ...

  • 조회 수 3176
  • 2011-08-28

獨맥주·佛와인 무관세되면 국내 주류시장 잠식할 우려 [1]

한·EU FTA, 피해 산업은 獨맥주·佛와인 무관세되면 국내 주류시장 잠식할 우려 BMW 등 자동차도 가격 13% 하락 예상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수석대표인 김한수(왼쪽) 통상교섭본부 FTA 추진단장과 이그나시오 가르시아 베르세로 EU 집행위 통...

  • 조회 수 3170
  • 2007-05-07

[뉴스테이션/뉴스데이트]핀란드인 따루 “주모라고 불러줘”

박제균 앵커) '미녀들의 수다'라는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핀란드인 따루 살미넨 씨를 아시는 분들 많을 겁니다. 유창한 한국어 실력에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 같은 모습으로 인기를 얻었죠. (구가인 앵커) 따루 씨는 스스로를 자칭 막걸리 홍보대사라고 소개...

  • 조회 수 3149
  • 2010-11-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