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감미료가 암발생 높여”

조회 수 1717 추천 수 47 2006.03.08 09:50:25
저칼로리 음료와 식품 등에 널리 쓰이고 있는 인공감미료가 백혈병과 임파선암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BBC방송은 14일 이탈리아 암연구소의 모란도 소프리티 박사가 암전문지 ‘유럽임상종양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를 인용해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인공감미료 아스파르탐 섭취량이 많을수록 백혈병이나 임파선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소프리티 박사는 보고서에서 생후 8주된 쥐들에 각기 다른 단위의 아스파르탐을 투여한 결과 암쥐들에게서 대부분 백혈병이나 임파선암이 나타났으며, 아스파르탐의 투여량이 많을수록 발병률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결과는 아스파르탐 섭취의 안전기준치를 시급히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특히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절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스파르탐은 설탕보다 200배 단 인공감미료로 주로 음료와 식품 등에 첨가제로 쓰이는 등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유럽식품안전국(EFSA)이 정한 식품첨가제의 1일섭취허용량(ADI)에 따르면 아스파르탐의 ADI는 체중 1㎏당 40㎎으로 성인의 경우 하루 평균 2,800㎎, 3세 아이들에게는 600㎎의 아스파르탐의 섭취가 허용돼 있다.


이에 대해 EFSA는 이 연구결과를 긴급히 평가해 아스파르탐이 인간건강에 해로운지를 판단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그러나 영국 암연구소의 엘렌 비커스 박사는 아스파르탐이 사람에게 해롭다 하더라도 정도가 아주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559 2018-12-17
식품첨가물만 603종 … 필수인가, 선택인가 1729 2008-08-22
2006 대한민국 건강밥상전 1717 2006-11-21
“인공감미료가 암발생 높여” 1717 2006-03-08
탤런트 임호 '한국의 전통주' 다큐 내레이션 1700 2010-02-19
십대들이 취하고 있다. 1697 2008-09-05
산.관.학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 출범 1692 2010-08-21
“전통주, 농촌경제 활력소 될 것 ” 1682 2006-12-29
막걸리는 전통주?.. “대부분 수입쌀-수입밀로 만들어” 1680 2010-10-15
[생방송 obs- "전통주와 감흥로주에 대한 류인수 소장님 인터뷰"] file 1676 2014-09-16
경기도, 재즈막걸리 출시 file 1672 2010-10-15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2>계명주 최옥근 씨 1667 2010-02-11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1663 2006-10-14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1662 2010-06-28
위기의 민속주…고객들 외면 1658 2006-01-10
해남 대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 출시 1655 2010-08-12
막걸리 한잔에 파전 한입 "카~ 아시아가 반했다" file 1638 2010-09-28
윤손하, "와~ 전통주 막걸리 위촉패 진짜 크다!" 1620 2010-02-11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1616 2010-07-08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file 1606 2010-09-10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1] 1590 2010-08-1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