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회원의 초일주 따라하기

조회 수 3321 추천 수 30 2006.12.02 01:36:17




안녕하세요

초일주 따라하기에 도전 중인 초보 술독 회원입니다.

글을 쓰다가 갑자기 쓰던 글이 날아가 버려서 난감하네요.

12월 1일 금요일 저녁 집에 와서 초일주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8시 30분에 계량컵으로 1컵의 멥쌀을 깨끗이 씻어서 물에 불렸습니다.
너무 깨끗이 씻는다고 문지르는 바람에 쌀이 조금 부서지긴 했지만
아무튼 깨끗이는 씻어졌습니다.

쌀을 불리는 동안 술항아리랑 기타 도구를 소독했습니다.
물도 한 번 팔팔 끊여서 식혀 두었습니다.

전통주 교실에는 800그램(1되)를 하라고 되어 있는데, 앞에 보면 1.6Kg(2되)라고 적혀 있어서 다소 헷갈립니다. 저는 저울이 없어서 그냥 계량컵 1컵을 썼는데 부피 700ml정도 됩니다.

3시간이 지난 다음에 믹서기에 불린 쌀을 조금씩 넣고 가루를 만들었습니다.
그 동안에 식혀 두었던 물을 다시 끊였습니다. 물의 양은 멥쌀의 2배인 2컵을 넣었습니다.

물이 끊어서 범벅을 만들기 위해 쌀가루에 조금씩 부었는데 쌀반죽이 되는 것 같고
도무지 범벅이 안되는 것 같았습니다.

대략 난감하여 다시 게시판 글을 읽었는데 잘못 오독하는 바람에 그냥 끊는 물을 쌀가루에 다 넣어 버리니까 물의 양이 많아지고 범벅도 안되고 해서 그냥 통째 물 위에서 끊여버렸습니다.

끊여버리니까 죽도 아닌 것이 범벅 비슷하게 되긴 한데 아무튼 약간 떡처럼 되어 버렸습니다.

위의 사진이 범벅(?)이라고 만든 것입니다. 옆에 사용한 계량컵에 누룩이 담겨 있습니다.

누룩은 전날 택배로 받아서 미리 발코니에다 널어 놓았던 것입니다.
(술독 주인장님 사용했던 용수라고 대금을 받지 않으셨던데 감사히 잘 사용하겠습니다.)

아무튼 선풍기 좀 돌려서 범벅을 차게 식힌 다음 누룩을 섞었습니다.
그게 아래에 있는 사진입니다.

부피를 멥쌀 : 누룩 : 물(끊인물) = 1 : 1 : 2 로 했습니다.

작은 계량컵을 사용한 이유는 저울이 없어서도 있지만 마눌님이 쌀 많이 쓴다고 잔소리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습니다. 또 실패했을 때 처치 곤란도 있고해서..

밤 12시 40분쯤 밑술(?)을 소독해 둔 술 항아리에 담아서 서늘한 구석방에 안보는 두꺼운 책 몇 권 깔고 거기에 올려 두었습니다.

밑술이 제대로 될 지 고민스럽습니다.

이상 초보 회원의 초일주 따라하기였습니다.

酒人

2006.12.02 02:26:08
*.188.97.6

초일주의 부피는

부피를 멥쌀 : 누룩 : 물(끊인물) = 1 : 1 : 3.6 입니다. ^^ 원삼규님께서 물의 양을 2로 하시고 술독을 서늘한 곳에 놓았다고 하셨는데요.

술독을 22-25도 정도 되는 곳으로 옮겨 놓으세요.

쌀과 물의 부피가 1 : 2 정도로 물이 적기 때문에 서늘한 곳에 두면 술 표면이 굳어 버릴 수 있습니다. 밑술을 빚는 이유는 미생물을 증식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좋아하는 온도에 맞춰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한 48시간 뒤에 술독을 열어 보시고 술 표면에 이상이 없다면 잘 되신 거에요. 하루 정도 후에 덧술을 하시면 됩니다. 꼭 성공하세요.~~

만약, 술에 이상이 생기면 술독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유리보다 맑아진 진상주 file [1]

약 한달이 조금 넘은 시점의 진상주 사진입니다. 유리처럼 아주 맑아진것이 먹음직 스럽습니다.

  • 酒人
  • 2006-09-27
  • 조회 수 3021

<b>이기려면, 기다려라..</b> [2]

이기려면, 기다려라.. 2002년 월드컵 4강의 주인공 골키퍼 이운재 선수의 자서전 제목입니다.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제목을 보면 대충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겠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을 빚고 나서 안절부절 합니다. 술독의 술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

  • 酒人
  • 2006-12-22
  • 조회 수 2998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에는 매화나 진달래, 아카시아 꽃 등 향기가 좋은 꽃들이 많고요. 쑥이나 봄에 나는 나물을 이용해서 약술을 빚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꽃 술과 봄에 나는 약술을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게 술을 빚고, 어떻게 온도...

  • 酒人
  • 2008-03-05
  • 조회 수 2995

누룩 이야기 2

2. 삼국시대 및 신라시대의 누룩 중국문헌「유양잡조」의 주식편에 낙랑주법이란 말이 나오는 것을 봐서는 낙랑시대엔 술빚기의 체계가 이미 서 있었던 것 같다.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에 의하면 수수보리에 의해 백제의 누룩과 술을 빚는 법이 일본에 전해졌...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4 file [1]

12월 1일 월요일 밤에 초일주 덧술은 한지 3일이 지났습니다. 보관된 곳의 온도는 21도 내외이며 우려와는 달리 술이 상한 것 같지는 않으며 잘 발효되고 있는 듯합니다. 휴지를 꼬아 만든 실에 불을 당겨서 술독에 넣으니 바로 불이 꺼져 버립니다. 위 사진...

<b>1450년대 <산가요록> 양국법<良麴法></b>

1450년대 1. 양국법 : 좋은 누룩 만드는 법 만드는 시기 : 삼복(三伏) 초복 : 기울 1말, 녹두 1되 중복 : 기울 1말, 녹두 2되 말복 : 기울 1말, 녹두 3되 녹두 처리법 1. 1. 녹두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가 불린다. 2. 찜기를 이용해 녹두를 찐다. 녹두 처리법 ...

  • 酒人
  • 2007-04-02
  • 조회 수 2976

누룩

역시 위 사진은 둥글게 성형된 누룩을 솔잎에 감싸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제비쑥으로 감싸서 띄우고 있습니다.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946

석탄주 하얀 점들 멀까요? file [1]

7일 정도 뚜껑이 덜닫아진 상태로 있었습니다

누룩

위 사진은 종이봉지에 넣어 매달아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둥근 누룩을 짚을 갈고 띄우는 중이고요. 그런데 여러분들은 종이로 포장해 띄우는 것에 대해 궁금하실 것입니다. 위 솔잎이나, 마른 짚을 깔고 박스에 넣어서 띄우는 것과 종이에 담아 띄우는 방...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938

누룩이 어떻게 된건가요..... [1]

2번째 5번째는 약재 첨가한 누룩이고요 나머지는 그냥 만든 것인데 어떻게 된건지 잘 모르겠네요...

여러 누룩을 이용한 술 [4]

위쪽 사진은 각기 다른 누룩을 이용한 술들입니다. 왼쪽 위부터->만전향주, 신국주, 여국주 아래 왼쪽부터->흑미주, 춘란꽃술, 연엽주 위 세개는 직접 만든 누룩을 이용한 술이고 아래는 공장용 곡자로 만든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술이 맑지 않은 것도 ...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927

누룩 이야기 6

6. 현재의 발효제 현재는 종전의 곡자와 일본식 입국(粒麴)과 1960년대 이후 사용되고 있는 분곡류가 있으며, 1970년대 이후에는 조정제된 정제효소 또한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의 다양하고 우수했던 곡자를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고 시중에는 아...

언제 덧술 하는가에 대한 요약정리된것도 부탁합니다 [1]

밑술 담근후 밑술의 상태를 보고 판단하기 힘들었습니다 또 기왕이면 산막효모 흰곰팡이 흰거품등 이상징후에 대한 사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했습니다.

매달아 띠우는 누룩 [2]

문헌에 있는대로 고증한 경우 입니다. 제비쑥과 짚, 또는 종이나 닥나무 잎 도꼬마리 잎으로 감싸 매달아 띠우는 모습입니다.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915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연락망

제 1기 회원 연락처입니다. 방화원 011-9712-8858 방소윤 010-9203-6721 신원철 011-213-4121 원삼규 011-205-3935 정해숙 011-9335-0152 이종인 010-4720-9292 홍필남 010-6236-7872 이승욱 018-292-4666 장혜숙 019-9220-9993 조용선 010-8292-4989 정선희 0...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907

날씨 좋다. 누룩 법제 중.^^

누룩은 옛 부터 약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누룩에 있는 효소가 음식물을 잘 소화 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죠. 오늘은 날씨가 따뜻해서 지난 3월에 만들어 놓았던 누룩을 꺼내 햇볕에 널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누룩을 좀 먹었죠. 어떤 맛일까요?^^ 아...

  • 酒人
  • 2007-04-23
  • 조회 수 2906

누룩 이야기 5 [2]

5. 일제하의 곡자 소수의 전업자를 제외하고 곡자의 제조는 대부분 농가의 부업이었으나 일제하의 주세법에서는 곡자의 제조도 면허제도로 되어 1927년에 김천개량곡자 조합이 생기게 되었다. 1930년 일본인이 쓴 종합농산 제조학 중 조선주에 나타나는 누룩에...

만전향주 [2]

위는 만전향주 덧술을 마친 상태입니다. 역시 색이 노랗습니다. 술이 익는기간동안 향 또한 기존의 누룩으로 익는 술보다 좋습니다. 아래는 완성된 만전향주입니다. 급한 마음에 미리 용수를 박는 바람에 용수가 떠버렸습니다. 그래서 나무로 막아 놨고요.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877

오염현상이 [1]

오염현상이 해결되었어요 1차교육때 가져온 밑술 4일만에 1차덧술 오염없이 발효잘됨 4일만에2차덧술 향이아주좋아요

누룩 디딜때 사용하는 천은....

어제 말씀을 못드렸네요... 누룩 디딜 때 사용하는 천은 "마른 것"을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젖은 것을 이용하면 누룩에 달라 붙어 밀가루가 묻어 나오게 됩니다. 집에서 누룩 디딜때는 천을 빨아서 바로 사용하지마시구요. 완전히 말려 놓았다가 사용하는 것이...

  • 酒人
  • 2007-04-02
  • 조회 수 287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