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일기 형식으로 쓴 술 빚는 과정</b>

조회 수 4360 추천 수 44 2006.06.07 16:34:06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해서 올립니다. ^^


술이 빚는 과정


술을 만들기 위해서 쌀과 누룩을 준비했다. 물은 따로 준비할 필요없이 수도물을 끓여 사용할 생각이며, 술 18리터 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쌀의 양과 물의 양을 조절했다.

밑술은 범벅으로 만들 생각이다. 먼저 멥쌀가루 1.6kg을 깨끗이 씻어 물에 3시간 담갔다가 방앗간에서 소금기 없이 곱게 가루냈다.

물 9리터를 팔팔끓여 쌀가루에 조금씩 부어 죽처럼 만들었다. 최대한 멍울이 지지 않게 섞어주고 범벅을 식혀주기 위해서 넓은 통에 찬물을 받고 그 위에 만들어 놓은 범벅을 올려 놓아 식혔다.

그동안 버무린 술덧(누룩+범벅)을 담을 항아리와 바가지, 주걱등을 뜨거운 물로 소독한 후에 마른 천으로 물기를 닦아 놓았다.

범벅이 다 식어서 누룩 800g을 넣어 30분 정도 고르게 섞어 주었다. 누룩 덩어리가 완전히 풀린 후에 밑술 담을 항아리를 옆에 갖다 놓고 작은 바가지를 이용해 술덧을 항아리에 조심히 담았다.

그릇에 남아있는 술덧은 깔끔이 주걱을 이용해서 모두 항아리에 넣고 항아리 주변에 묻은 술덧들은 마른 천을 이용해서 깨끗이 닦아 준 다음에 항아리 입구를 깨끗한 천으로 덮고 항아리 뚜껑을 덮었다.

햇볕이 들지 않는 방 한쪽에 항아리 받침대를 놓고 그 위에 항아리를 올려 놓았다. 항아리 온도가 높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쌈은 하지 않았다.

36시간 후에 술독 뚜껑을 열어보니 술 표면에 이상이 없이 발효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보였다. 좀 더 시원한 곳에 항아리를 갖다 놓았다. 하루정도 후에 덧술을 할 생각이다.

덧술 빚을 당일날 아침, 찹쌀 6.4kg을 깨끗이 씻어 물에 3시간 정도 담갔다가 시루에 올렸다. 40분 정도 지나니 시루 위로 증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 상태로 30분 정도 더 가열 한 후에 쌀 상태를 확인하니 잘 익은 것 같다.

주걱을 이용해서 잘 섞어 준 후에 더 가열시켜 새로 증기가 올라와서 불을 끄고 고두밥을 넓은 자리 위에 펴 놓았다. 날씨가 더워 잘 식지 않기 때문에 선풍기를 이용했다.

고두밥이 식는 동안 밑술과 덧술을 섞을 큰 그릇과 항아리를 소독시키고 마른 천으로 물기를 닦아 주었다.

큰 그릇에 식힌 고두밥을 넣고 그 위에 밑술을 천천히 부어 주었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손으로 천천히 40분 정도를 섞어주니 술덧에서 알코올 냄새가 나기 시작해서 버무리는 것을 멈췄다.

항아리를 옆에 갖다 놓고 술덧을 항아리에 조심히 넣었다. 항아리에 묻은 술덧은 잘 닦아 내고 깨끗한 천으로 항아리 뚜껑을 덮어 주었다.

밑술과 마찬가지로 밑술을 발효시켰던 곳에 받침대를 놓고 항아리를 놓았다. 밑술 상태가 좋아서 술은 잘 될 것 같다.

36시간 후에 술독 뚜껑을 열어보니 술 표면에 이상이 없고, 발효가 잘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술독 뚜껑을 열어 놓고 좀 더 시원한 곳으로 항아리를 옮겼다. 그런데 오늘 날씨가 더워 더이상 찬 곳이 없다. 그래서 덧술을 버무렸던 넓은 그릇에 찬물을 넣고 그 위에 항아리를 넣어 놓았다.

3일 후에 찬물을 갈아주고 다시 몇일 후에 물을 버리고 찬물로 바꿔 주었다.

이렇게 14일 정도 지나니 술독 주변에 술 벌레들이 생기기 시작한다. 발효가 끝난 것이다.

3일 정도 더 지나니 술덧 표면에 술이 고이기 시작해서 한복집에서 구입한 시야로 술을 걸렀다. 술 맛은 달콤하고 독하여 더이상 산패의 염려는 없어 보인다.

술 18리터를 생수통에 넣어 냉장고에 넣어 두고, 1주일 정도 지나면 위에 맑은 청주가 생긴다. 그 청주를 따로 받아 놓고 밑에 있는 탁주는 물을 섞지 않고 조금씩 마신다.

김정옥

2006.06.09 12:53:07
*.228.15.81

더워지는 날씨에 술빚기를 정성으로 하셨네요. 또 글로 자세하게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덧술 하실때는 용수와 누룩을 사용하시지 않으셨는지요.
18리터는 가라앉힌 청주가 아니라 채주시 전채를 뜻하시는 건가요. 저는 어쩌다 술을 빚어보지만 술양이 그리 많이 나오지 않는것 같아서요.

酒人

2006.06.09 20:23:10
*.61.225.79

김정옥님 안녕하세요^^

소곡주 견학은 잘 다녀오셨는지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술이라 궁금했습니다.

덧술할때는 누룩도 용수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밑술의 발효상태가 좋기 때문에 덧술에 누룩을 넣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나 밑술 상태가 썻 좋지 못하면 100g 정도의 누룩을 넣어 주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겨울 이외에는 용수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자칫 술과 공기가 접촉하여 술 맛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 자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겨울에는 술의 맛이나 산패의 걱정이 없어서 용수를 사용해 청주를 많이 얻는 편입니다.

18리터는 말씀하신데로 청주가 아닌 탁주입니다. 밑술이 잘 되면 술 양을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밑술을 보쌈하지 않고 따뜻할때까지 기다려서는 좋은 밑술을 만들 수 없습니다.

이것만 주의하시면 많은 양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7-8월에는 술독 누룩만들기 행사가 있을 예정입니다. 그때 뵙길 기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단체 사진입니다.^^ [6]

언제 이렇게 친해지셨는지,,,^^ 참가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이 공간은 여러분을 위한 공간이니까요. 교육 중에 궁금했던 것을 질문해 주시면 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공간이 썰렁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808

초일주에 대한 궁금증^^ [2]

초보라 이것저것 생소한 것이 많은데요~ 아직 한번도 술을 담아보지 못했는데 시작 하려니 겁이 나는군요^^ 초일주에 대한 공지 글을 읽었는데요 덧술을 할때는 물을 더 붓지 않아도 되나요? 물을 더 부으라는 내용은 없어서요^^

누룩 디딜때 사용하는 천은....

어제 말씀을 못드렸네요... 누룩 디딜 때 사용하는 천은 "마른 것"을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젖은 것을 이용하면 누룩에 달라 붙어 밀가루가 묻어 나오게 됩니다. 집에서 누룩 디딜때는 천을 빨아서 바로 사용하지마시구요. 완전히 말려 놓았다가 사용하는 것이...

  • 酒人
  • 2007-04-02
  • 조회 수 2791

올만에 빚은 술 [2]

한동안 술빚기를 눈으로 머리로만 했습니다. 올만에 술빚기를 해봅니다. 이번에 들어간 재료는 칡과 고구마 ,쌀 입니다. 국은 입국과 우리누룩을 같이 사용했구요. 신맛,쓴맛,단맛과 탄산맛 까지 적당히 어우러져 맛있습니다. 색깔은 카페오레 커피같기도 하...

1차 누룩 교실 결과. [3]

누룩을 꺼내 보았더니.. (1)은 몇군데 썩어 곰팡이가 보이고(약제 첨가) 이넘은 띄울 때 뜨거웠었습니다. (2)은 그냥 말린것 같이 허옇습니다. 띄울 때도 열이 별로 없었거던요 맛을 보니 시지도 않구요..빵 굽는 냄새는 납니다..ㅎㅎ 酒人님 (1)은 버려야 겠...

  • 루치
  • 2007-04-24
  • 조회 수 2769

1차 누룩교실에서 만든 누룩 [1]

안녕하세요. 요즘 많이 바쁜터라 술독 방문을 한동안 못했네요 술 빚기도 잠시 쉬고 있었는데. 만든 술을 처리하는 것도 좀 어렵긴 하고 1차 누룩교실에서 만든 누룩이 잘 뜬거 같습니다. 법제를 하려고 도토리 알 만하게 만들려고 하는데 깨뜨리기가 어렵네...

교육이 끝난지 2주가 지나네요.

우리 회원님들은 궁금한게 많이 없어서 너무 좋아요.^^ 전화를 해라 해도 잘 안하고 질문도 안하고,, 벌써 술 빚는거 포기한건아니죠.?? ^^ 교육이 끝난지 2주가 지나네요. 그때 빚은 술들은 어찌 돼가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빚은 분들 있으면 그 진행 상황을 ...

  • 酒人
  • 2007-03-23
  • 조회 수 2743

공개강좌 단체 사진입니다.^^

참석해 주신 모든 회원님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리고요. 여기서 멈추지 마시고 시간이 나시는데로 꼭 한 번씩 술을 빚어 보세요. ~^^

  • 酒人
  • 2007-11-26
  • 조회 수 2741

누룩 법제중! [1]

잘 된건지 모르겠네요. 나름 깔끔하긴 한것 같은데...^^ 오늘로 사흘째 말리는 중입니다. 그리고, 첫 실습후 담근 술은 제 생각으로는 아주 잘 되었네요. 회장님께 한번 선보여 드려야 하는데...ㅎㅎ 이번 누룩으로 다시 한번 도전해 봐야겠어요.

팔도 술~

술~~

  • 산우
  • 2007-05-07
  • 조회 수 2685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2 file [2]

12월 1일 밤 12시 30분쯤 술덧을 만든지 거의 48시간이 다 되어 갑니다. 항아리 뚜겅을 열어서 술 상태를 확인했는데 술이 부글부글 끊고 있네요. 사진은 술덧을 처음 만들었을 때와 48시간 정도 되어서 끊고 있을 때 사진입니다. 덧술을 해야 할지 고민입니...

양복에 주전자와 주걱을 들고,,^^

범벅 만들기,,^^ 다들 보셨죠.~ 범벅을 만드는 이유는 : 효모에게 밥 주는 것입니다. 익혀서 주는 이유는 : 효모가 소화 잘 시키라고.. 식혀서 주는 이유는 : 효모가 뜨거운거 잘 못먹으니까.. 뜨거운 물을 붓는 이유는 : 쌀 가루의 전분이 잘 익으라고,,, 범...

  • 酒人
  • 2007-11-26
  • 조회 수 2666

누룩 상태를 확인하세요.~~

요즘 계속 비가 와서 누룩 관리를 잘 하지 못한 분들은 술을 빚어도 잘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습기로 인한 누룩의 품질이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누룩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사용하면 발효가 힘들고 술 표...

  • 酒人
  • 2006-07-27
  • 조회 수 2584

진상주 빚을 때 특히 주의해야 할 것

진상주를 빚을 때 다음 5가지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주의 1> 술덧의 총 부피는 33리터 정도입니다. 술덧을 담을 큰 술독이 있으면 좋겠지만 집에서 사용하기에 너무 힘들기 때문에 20리터용 술독 두 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 2> 진상주의 덧술에...

  • 酒人
  • 2006-08-24
  • 조회 수 2567

<b>도대체 뭐 부터 시작해야 하나요.</b>

일단, 쌀 부터 씻으세요.^^ 술을 만들고 싶어도 도대체 뭐 부터 공부하고 실습해야 하는지 난감하실 것 같아서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뭐 부터 시작해야 하나 이론 공부 보다는 실습을 통한 경험을 늘려야 합니다. 이론은 술을 빚으면서 자연히 알게...

  • 酒人
  • 2006-11-26
  • 조회 수 2566

십양주 [1]

3월에 시작하여 1차 밑술 맵쌀죽1kg + 물 3L 2차 덧술 맵쌀죽1kg + 물 3L 3차 찹쌀 고두밥1kg 4차 찹쌀 고두밥1kg 5차 찹쌀 고두밥1kg 6차 찹쌀 고두밥1kg 7차 물 1L 8차 현재 찹쌀 고두밥1kg 까지 왔는데 맛을보니 살짝 산미가 도는거 같은데...

안녕하세요? [1]

태양이 작렬하는 찬란한 봄입니다. 다들 건강하신지요? 저는 여러분들과 함께 누룩을 빚었던 최 원입니다. 벌써 한달이 되었습니다. 몇분은 사진을 올려 주셨고요. 여러분들의 누룩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이제 법제 할 때가 된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밝은 곳...

  • 최 원
  • 2007-04-29
  • 조회 수 2556

경주서 [1]

지금은 방송중 주객님도 계시네요 ㅋㅋ

  • 산우
  • 2007-05-07
  • 조회 수 2540

매번 과실주만 담구다가 처음으로 곡주에 도전했는데요 [1]

하루만에 신내가 납니다 딱봐도 망한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온도조절을 너무 얕본거 같습니다 성능안좋은 궁뎅이전용 전기난로에 천씌어놨는데 이게 아무래도 쉰거같습니다... 살릴길이나 다른걸로 써먹을방법은 없을까요 나름 온갖정성으로 불...

막걸리 발효중 이물질이 떠요 file

막걸리 20도 발효 8일찬데 이물질이 떠요 실패일까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