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아카시아술 후기입니다.</b>

조회 수 4924 추천 수 41 2006.07.01 04:04:52
꽃으로 술을 빚는 것 보다 귀한 술도 없는 듯 합니다. 맛과 향은 둘째 치더라도 잠깐 피었다 지는 관계로 이번에는 한 번 밖에 빚지 못하였기 때문에 더욱 아쉽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빚은 술을 거울 삼아 내년에는 좀 더 많은 양의 아카시아 꽃을 말려 놓고 몇 번 정도 빚어 보고 싶습니다.

지난번에 빚은 아카시아술이 잘 된 것인지 아닌지는 내년이 돼야 정확한 답이 나올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한 번도 아카시아 꽃으로 술을 빚은 적도 마셔 본 적도  없었기 때문에 이번에 빚은 술을 비교 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럼 아카시아술을 빚으면서 느낀 점을 몇 자 적습니다.

1. 좀 더 숙성을 거쳐야.

이번에 빚은 술은 20여일 지난 후에 술독에 용수를 박아 맑은 술을 취했습니다. 1/3 쯤은 남겨 놓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남아 있는 술에서 더욱 좋은 향기가 나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나지 않았던 달콤한 사과 향기가 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에는 용수를 박고도 2주 정도 더 둔 후에 술을 뜨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좀 더 많은 양의 꽃을 넣어야

사실 눈 깜짝할 사이에 아카시아 꽃이 지고 말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카시아술에서 달코한 사과향이 나는데 좀 더 많은 양의 꽃을 넣으면 어떤 향이 날까 매우 궁금합니다. 다음에는 두 번 정도 제조법을 달리하여 빚어보고 싶습니다.

3. 청주로 마셔야

아카시아술은 향기로 마시는 술입니다. 탁주보다는 청주로 떠 마시는 것이 술의 맛과 향을 느끼는데 좋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아카시아 술에서 청주가 많이 나와야겠지요.^^ 이번에 빚은 아카시아술에는 물 10리터 정도를 넣어 빚었는데, 다음에는 쌀의 양과 물의 양을 좀 더 늘려서 빚어 볼 생각입니다.

4. 산미가 감도는게 좋다.

쑥술이 달콤하고 독한 맛이라면 아카시아술은 산미와 독한 맛이 잘 조화된 맛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신맛이 실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신맛이 줄어들고 달콤한 향기가 코를 자극하는게 먹는 것 보다 향기를 맏는 것이 더 맛있습니다.

이번에 산미가 있는 이유를 덧술 첫날 급격한 온도 하강으로 밑술의 상태가 오래 간 것이라 보고 있는데요. 오히려 이것이 산미를 갖춰 감칠맛을 준 것 같습니다. 즉, 술에 산미를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덧술 빚는 시기를 조절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5. 꽃을 이용한 술의 향기

술이 발효를 일으키면 꽃이 가지고 있던 고유의 향기는 사라지는데요. 아카시아술도 마찬가지 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카시아꽃으로 술을 빚으면 술에서 아카시아 향기가 난다고 생각하는데, 침출주를 제외한 발효주는 아카시아 본래의 향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아카시아 꽃이 가지고 있는 성분들에 의해 분명 특유의 향기를 낸다는 것입니다. 위에 언급한 것처럼 과실 향기, 특히 사과 향기가 매우 강한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꽃 본래의 향기 보다는 꽃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꿀이나 여러 성분들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꽃으로 빚는 술은 꽃 본래의 향기를 기대하는 것 보다는 꽃으로 인해 새롭게 생겨나는 향기를 기대하면서 술을 빚는 것이 재밌을 것 같습니다.


마치면서...

아카시아술을 빚으면서 달콤한 사과향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냥 맛있는 사과를 먹는 느낌이라 할까요. 좀 과장되 보일 수 있겠지만 술을 빚은 사람은 술만 먹는 것이 아니라 술을 빚었던 모든 과정을 먹기 때문에 빚은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특권이 아닌가 합니다.


참고> 아카시아술 빚는 과정은 <이주의술술술>에 기록되어 있으며 술 빚는 모든 과정은 <2006가양주법>에 근거하여 빚은 것입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석에 마실 술 빚기..1 file

주인님 레시피를 보고 따라해봤슴다... 양만 반으로 줄여서... 조금 불안불안.. 1차 밑술

  • 2008-08-14
  • 조회 수 3257

봇뜰에서 빚은 복분자주 file

※복분자 주 ◈밑술 : 2008년 10월 19일. 멥쌀3되(2.4kg), 누룩(백곡1되, 조곡2되), 물9리터 ◈덧술 : 2008년 10월 22일. 찹쌀 1말반(12kg), 복분자(10kg) *밑술과 고두밥을 혼합해서 10분정도 치덴후 복분자를 넣고 30분정도 더 혼합해서 술독에 담았다. ◈채주:...

  • 봇뜰
  • 2008-12-23
  • 조회 수 3258

<b>호산춘에 용수를 박았습니다.</b> file

용수 박고 하루 지나서 찍은 사진입니다. 20일 정도 지나면 아주 맑게 되는데 그때 다시 사진을 찍어 올리겠습니다. 술맛은 아주 맑은 옥구슬 같습니다. 달콤한 사탕을 먹는 느낌입니다. 3월 정기모임때 오시는 분들은 다 함게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 酒人
  • 2007-02-22
  • 조회 수 3273

초보 회원의 초일주 따라하기 file [1]

안녕하세요 초일주 따라하기에 도전 중인 초보 술독 회원입니다. 글을 쓰다가 갑자기 쓰던 글이 날아가 버려서 난감하네요. 12월 1일 금요일 저녁 집에 와서 초일주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8시 30분에 계량컵으로 1컵의 멥쌀을 깨끗이 씻어서 물에 불렸습니다....

<b>쑥술을 빚으면서 ...(후기)</b>

쑥에는 독특한 향기와 쓴맛이 있지만 비타민A 와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어서 야맹증이나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걸로 알려졌더라고요. 그리고 쑥술을 하루에 한 두 잔씩 장기간 복용하면 식욕증진은 물론이고 천식이나 이뇨 작용에도 효험이 있다는 거죠. 또 ...

  • 酒人
  • 2006-04-19
  • 조회 수 3294

기도하는 마음으로 술을 빚다. [3]

기도하는 마음, 간절한 마음으로 술을 다시 빚었습니다. 연이은 술 실패를 딛고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어제 오후 술, 밑술을 발효통에 앉혔습니다. 어찌나 조심스럽던지 도구 하나하나, 누룩과 쌀에 온통 신경이 써지는 겁니다. 이번에는 실패해서는 안된다는 ...

<b>여름에는 낱개로 겨울에는 복수로... 2</b> [2]

여름에는 낱개로 겨울에는 복수로... 2 지난번에 문제를 냈었죠. 아무도 답변을 하지 않아 제가 다시 답변을 쓰게 됐네요.^^ 어제 오늘 비가 오다가 말다가 또 덥다가… 많은 분들이 짜증이 났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래도 힘 내시고요. 내가 짜증내면 내 주의 사...

  • 酒人
  • 2007-08-06
  • 조회 수 3344

먼저, 한 가지 술을 잘 빚어야 합니다.

우리 전통주의 종류가 혼성주 포함해서 1000가지가 넘습니다. 이 모든 술들을 다 빚어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입니다. 또한, 자신에게 맞는 술을 찾는 것도 마셔보기 전에는 힘든 점이 있습니다. 술을 처음 빚는데 어떤 술을 빚을 것인가를 고민하게 되는데...

  • 酒人
  • 2006-05-13
  • 조회 수 3353

설날에 마실 술을 빚다. [1]

설날에 마시고 친지들에게 선물을 할 술을 빚기 위해 12월 28일 밤 11시 밑술을 담그고 12월 30일 밤10시 1차 덧술을 담그었습니다. 덧술과 혼화하기 위해 밑술의 상태를 보니 잔뜩 막이 덮혀 있고 맛을 보니 단맛이 강하게 느껴져 당화는 잘 이루어 지고 있으...

호산춘 따라하기 file [1]

호산춘 2차 덧술 한지 8일 지났습니다. 2차 덧술은 1월 28일 저녁 8시쯤 고두밥을 해 넣었는데 현재 발효는 17~18도로 저온에서 숙성중에 있습니다. 그냥 술이 다 될때 까지 내버려 두려고 합니다.

치풍주의 성공. 그러나 술 맛은 어떨지... file

덧술하고 3일이 지나 찍은 사진입니다. 술독과 술덧 사이가 벌어지고 밥알이 많이 삭아 있습니다. 벌어진 공간으로는 아주 조금 술이 올라와 있어 앞으로 2주 정도 지나면 완전히 술이 위로 올라올 것 같습니다. 벌써부터 맛이 궁금해 집니다. 위에 황국을 살...

  • 酒人
  • 2007-03-23
  • 조회 수 3371

<b>술 잘 빚고 싶으면 효모증식만 생각하라</b>

밑술은 그냥 밑술이 아니라 효모증식이다. 밑술을 그냥 밑술이라 생각해선 곤란합니다.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에서 밑술은 곧 효모증식 단계라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사고 자체가 “밑술을 빚는다.”라기 보다는 “효모를 잘 증식시킨다.”라...

  • 酒人
  • 2006-08-11
  • 조회 수 3398

아침이슬님께서 올려주신 약주 사진. file

사진만 봐도 그냥 먹고 싶죠.?^^ 약재를 달인 물을 이용해서 빚은 술인데 술 표면에 떠 있는 밥알이 막 떠먹고 싶습니다.

  • 酒人
  • 2007-03-26
  • 조회 수 3433

<b>햅쌀술을 빚어 보자.</b> [1]

햅쌀술을 빚어 보자. 요즘 햅쌀 아주 많이 나오죠. 햅쌀을 이용해서 술을 빚으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올해 막 나온 햅쌀을 이용해서 술 빚는 방법을 알아 볼까요~~^^ 술 중에서 ‘청하’라고 있죠? 청하는 청주입니다. 이 술을 잘 보면 일반적으로 빚어지는 ...

  • 酒人
  • 2008-11-06
  • 조회 수 3448

추석에 마실 술 빚기..3 file

2차 밑술을 45시간후 했음다.. 시간계산이 맞겠죠???? 틀리면 우야노...

  • 2008-08-14
  • 조회 수 3449

실패를 교훈으로 ~~ [2]

제가 처음 술을 빚었을 때, 모든 것을 다 준비한 다음에 술빚기를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런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봅시다.^^ 1. 쌀을 다 씻어 물에 하룻밤 담가 놓았는데 쌀이 물을 흡수하는 것을 생각못하고 있었는데.. 덮어 ...

  • 酒人
  • 2006-01-31
  • 조회 수 3456

<b>술이 올라오고 있는 호산춘</b> file [1]

첫째 사진은 지난 2월 5일, 둘째 사진은 2월 10일 찍은 사진입니다. 보시면 술독과 술덧이 벌어진 틈으로 술이 올라와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지난 5일 보다 5일이 지난 10일 사진에서 더 많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10일 정도 더 지나면 술이 ...

  • 酒人
  • 2007-02-10
  • 조회 수 3456

봇뜰에서 빚은 순화주(입상작품) file

※순 화 주 ◈밑술: 2008년 11월 12일. 멥쌀3되(2.4kg),누룩(조곡2되)(백곡1되),송순물9리터, 송순800g. ◈덧술(1) : 2008년 11월 15일. 멥쌀가루3되(2.4kg), 물9리터, 송순500g. ◈덧술(2) : 2008년 11월 17일. 찹쌀: 1말반(12kg), 송순100g, 산국30g, 국화40g. ...

  • 봇뜰
  • 2008-12-23
  • 조회 수 3461

증기살균 후 물기 제거는 필수

술독 소독 후에 물기를 빨리 제거해 줘야 합니다. 보통 술독을 살균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증기법을 사용합니다. 물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가열 살균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증기를 이용한 살균법에서는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증기를 이용해...

  • 酒人
  • 2006-05-15
  • 조회 수 3463

<b>2006년 덧술 제조 방법</b>

덧술 빚는 법 이양주 이상의 술빚기에서 사용하는 제조법이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의 술빚기이다. 밑술과 덧술은 각각 그 목적을 달리한다. 밑술의 주 목적이 효모의 증식에 있다면 덧술은 밑술에 증식된 효모를 이용하여 충분한 알코올을 생성 시키는...

  • 酒人
  • 2006-12-12
  • 조회 수 34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