찹쌀과 멥쌀의 발효 속도 차이

조회 수 5494 추천 수 0 2007.03.19 08:51:07
이래 저래 시간이 빨리가서 준비한 것들 중에 못한 것도 많죠.?^^ 죄송합니다.

1. 찹쌀과 멥쌀

전분이 포도당과 포도당, 수없이 많은 포도당이 결합된 다당류라고 했죠. (벌써 잊은 것은 아니죠?^^)

사람도 자라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듯이 전분도 포도당이 연결된 구조에 따라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이 어려운 말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알죠.?^^ 그냥 이름에 불과합니다.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이름이 달라진 것이라 생각하면 쉬울 것입니다.

멥쌀은 이 두가지가 함께 섞여 있어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어떻겠어요? 두개가 엉키고 엉켜서 구조가 더 복잡하겠죠.? 그래서 멥쌀이 찹쌀보다 늦게 발효가 진행되는 것입니다. 구조가 단단하기 때문이죠.

찹살은 이 두가지 중에서 아밀로펙틴만 있습니다. 두가지 중에서 한가지만 있는 거에요. 그러니 구조가 멥쌀보다는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빨리 분해가 일어나겠죠. -> 발효가 빠르고 쌀이 빨리 삭는 것입니다.

멥쌀과 찹쌀은 이렇게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를 것 같네요.

질문 있으시면 답글 달아 주세요.~^^

은비

2007.03.21 21:35:39
*.187.169.13

14일에 덧술을하고 48시간뒤에 열어보라고 하셔서 열어보니 아무 변화가없었느데 그래도 그때는 술냄새라도 났는데 지금은 톡톡튀는 소리만 그것도 처음보다는 약하게 나고술냄새도 거의 나지 않아요. 발효가 되지 않고 있는건가요

酒人

2007.03.21 23:21:11
*.188.85.106

덧술 발효는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일어납니다. 처음보다 약한 것이 정상이구요. 처음에는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해서 냄새가 많이 나는데 이것은 술 냄새가 아니고 이산화탄소냄새가 많은 것입니다.

14일날 덧술을 하였고, 지금 술 표면에 이상만 없다면 수 일 내로 술 표면에 물기가 생길거에요. 그때 술 거르시면 됩니다.

소리로 듣고 눈으로 보고, 이번 과정을 잘 기록해 놓으세요. 제 생각에는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카메라가 있으면 사진으로 찍어서 올려 주세요. 설명하는데 참고가 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4 file [1]

12월 1일 월요일 밤에 초일주 덧술은 한지 3일이 지났습니다. 보관된 곳의 온도는 21도 내외이며 우려와는 달리 술이 상한 것 같지는 않으며 잘 발효되고 있는 듯합니다. 휴지를 꼬아 만든 실에 불을 당겨서 술독에 넣으니 바로 불이 꺼져 버립니다. 위 사진...

추석에 마실 술 빚기..5 file

10정도 지난 모습인데.. 아직 윗쪽에 술이 고여있지는 않습니다.. 잘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불안불안한데.. 언제쯤 위에 술이 고이나요?? 이미 고였어야 하나요??

  • 2008-08-22
  • 조회 수 2892

추석에 마실 술 빚기..2 file

1차 밑술 발효중인데.. 처음이라보니.. 잘되는건지.. 안되는건지.. 알 수 없음...아놔~~

  • 2008-08-14
  • 조회 수 2922

추석에 마실 술 빚기..6 file [3]

술거르고 냉장 보관중... 첫날 마셨을때는 조금 신맛이 있었는데.. 3일 지난 오늘 마셔보니..신맛은 거의 안나고.. 맛있네요.. 우왕~~ 굳~^^ 3잔 마시고 기분 좋아라..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 2008-09-04
  • 조회 수 2923

세상의 모든 남자들이 꿈꾸는그술 [2]

선령비주를 만들어 보았읍니다

유리보다 맑아진 진상주 file [1]

약 한달이 조금 넘은 시점의 진상주 사진입니다. 유리처럼 아주 맑아진것이 먹음직 스럽습니다.

  • 酒人
  • 2006-09-27
  • 조회 수 2930

<b>"삼백주" 그 맛에 반하다.</b> file [3]

약재를 우려낸 물로 술을 빚다 보니 아주 맑은 것은 아니지만 그 맛과 향은 어디 따라올 술이 없을 정도의 가히 명주라 할 수 있었습니다. 삼백주를 처음 빚을 때만해도 약술로서의 기능 이외에는 크게 기대를 하지 않았던 술입니다. 백출, 백하수오, 백봉령...

  • 酒人
  • 2006-11-14
  • 조회 수 2961

술독 교육프로그램 참가회원 전용 게시판

"나만의 술" 게시판은 술독의 교육에 참여하신 분들 만을 위한 공간입니다. 교육이 단시간에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니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 공간은 술독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2965

오늘은 날씨가 흐리고 조금씩 비가 옵니다.

오늘 점심때부터 술을 빚어야 하는데 날씨가 흐리네요~ 이렇게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올때는 술 빚을 때 사용하는 도구나 재료에 특별히 많은 신경을 써야 합니다. 외부 온도가 낮고 실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잡균으로 술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입니...

  • 酒人
  • 2006-01-31
  • 조회 수 3019

양조용 원료

양조용 원료 탁. 약주에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에는 전분질을 함유하는 곡류 및 서류와 이를 가공하여 만든 당류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곡류 중에는 쌀과 잡곡인 소맥분, 옥수수, 보리쌀 등이 있고, 서류로는 고구마, 당류로서는 전분당이 있다. 1) 쌀 세계적...

<b>서김에 관한 자료입니다. ^^</b> [1]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서김에 대한 연구는 전무후무 한 일이었습니다. "서김"을 단지 밑술과 동일시하거나 술이 잘 되도록 하는 정도로 인식되어왔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서김의 중요성은 이것들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서김의 역활은 전통적 방법으로 술의 ...

  • 酒人
  • 2007-11-26
  • 조회 수 3025

썩은 누룩 [2]

두 사진은 수분이 과하게 첨가됐을 경우 나타나는 대표적인 모습 인데요, 수분이 많은 상태에서 날이 덥고 습한 날씨에 짚이나 풀등으로 두껍게 쌓아주면 이렇게 썩게 됩니다. 아래 사진같은 경우에 누룩은 버릴 수밖에 없습니다.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3032

처음 만들어 본 초일주 [1]

초일주 담그기 *밑술재료: 쌀가루 1.6kg. 물7.2L. 누룩1kg 2월 10일 쌀을 깨끗하게 씻어서 3시간 쯤 물에 담그어 두었다가 방앗간에서 소금을 넣지 않고 가루로 만들어 와서 친구 장헌이네 집에서 길러온 물을 팔팔 끓여서 범벅을 만들었다 (이때 시각이 오후 ...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3044

술독을 엎으면서... [2]

구정에 먹을려 시작했던 술이 밑술 과정에서 실패로 엎었답니다 왠지 아깝고 실패를 거듭하여 속상한 마음이었음니다만 덧술로 인하여 더많은 재료를 버리기 아까워 미련없이 버렸지요. 담은과정을 보면 1월 14일 물3.6리터에 맵쌀가루 1,5키로로 범벅을만들어...

<b>술의 맛을 내는 방법의 차이</b>

술의 맛을 무엇으로 내는가. 요즘 현대인들의 입맛은 술에서 약간의 단맛이 남아 있어야 맛있다고들 합니다. 그렇다면 술에 단맛을 남게 한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 되겠죠.^^ 양조장에서 술을 빚을 때는 물을 원료의 양 대비 160% 정도를 넣습니다. 즉, 쌀 1말...

  • 酒人
  • 2006-09-19
  • 조회 수 3075

<b>치풍주에서 중요한 것은...</b> [1]

치풍주에서 중요한 것은 꿀물을 만들어 막 쪄서 나온 고두밥과 혼합하는 것이다. 막 쪄서 나온 고두밥 고두밥을 식히지 않고 꿀 물과 혼합한다. 혼합하면 밥이 꿀 물을 흡수하게 된다. 다 흡수되면 차게 식힌다. 이 방법은 술의 양을 대량으로 늘리는 제조법을...

  • 酒人
  • 2007-05-02
  • 조회 수 3076

누룩과 관련된 사진 [4]

사진은 이번에 여러분들과 함께 만든 만전향주국의 사진입니다 아래는 만전향국을 이용한 밑술입니다 보시다시피 위 사진은 아주 잘 뜨고 법제까지 마친 상태입니다. 강의실에서 보여드린 누룩처럼 검게 썩은 곳이 없지요. 누룩이 잘 뜨면 검지않고 노랗습니...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3081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3 file [1]

안녕하세요 초일주 술덧을 만든지 72시간 정도 후에 고두밥을 쪄서 덧술을 빚었습니다. 찹쌀이라 그런지 찜통에 찌면서 찬물을 좀 넉넉히 부어서 약간 물기가 많은 고두밥이 되었습니다. 덧술에 사용한 찹쌀의 양은 멥쌀(밑술) : 누룩(밑술) : 찹쌀(덧술) = 1...

10cm 끓어 오른 자국과 술독의 크기 file

사진은 진상주 밑술이 끓어 올랐다가 내려간 것을 찍은 것입니다. 거의 10cm가까이 끓어 올라서 약 2-3cm만 더 올라왔으면 술독 밖으로 넘쳐 흘렀을 것입니다. 범벅으로 빚는 밑술은 술독에 약 70% 정도만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보이는 술독은 20리터 정도의...

  • 酒人
  • 2006-08-21
  • 조회 수 3094

봇뜰에서 빚은 복분자주 file

※복분자 주 ◈밑술 : 2008년 10월 19일. 멥쌀3되(2.4kg), 누룩(백곡1되, 조곡2되), 물9리터 ◈덧술 : 2008년 10월 22일. 찹쌀 1말반(12kg), 복분자(10kg) *밑술과 고두밥을 혼합해서 10분정도 치덴후 복분자를 넣고 30분정도 더 혼합해서 술독에 담았다. ◈채주:...

  • 봇뜰
  • 2008-12-23
  • 조회 수 310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