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불장난 하면 오줌싸는 이유와 술</b>

조회 수 5155 추천 수 38 2006.11.06 07:54:41
불장난 하면 오줌싸는 이유


우리 회원님들께서도 어렸을 때 불장난을 많이 해 봤을 것입니다. 저는 어렸을 때 지프라기를 쌓아 놓은 더미 안에 들어가 불장난을 하다가 모아 놓은 짚을 다 태운 적도 있습니다. 온 마을 사람들이 다 모여서 불을 끄던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처음 불을 태울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종이나 지프라기와 같은 조직이 치밀하지 않고 잘 타는 것들입니다. 그리고 나서 그보다 더 두꺼운 싸리나무나 장작 조각을 넣어 불의 세기를 높이고, 불이 잘 붙어 있을 때 두꺼운 마른 장작을 넣습니다. 만약, 처음부터 두꺼운 마른 장작으로 불을 때려 한다면 아주 많은 양의 종이나 짚 등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종이나 짚 등은 약한 불로도 잘 타는 장점이 있으나 쉽게 타버려 오랫동안 지속할 수 없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싸리나무나 장작 조각 등을 이용하면 처음 불을 붙이기는 종이나 짚 보다는 힘들겠지만 불이 오래 지속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꺼운 장작 또한 불을 붙이기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한 번 불이 잘 붙으면 오랜 시간 동안 우리에게 따뜻함을 안겨다 줄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술을 빚을 때, 어떤 것들을 사용하시는지요. 종이, 짚, 싸리나무, 장작조각, 두꺼운 장작,,, 등등

처음에 죽으로 빚는 술은 종이나 짚과 같습니다. 미생물이 영양분을 먹고 잘 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빠르게 소화가 되어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먹을 것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럼 이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먹이가 완전히 없어져 굶어 죽기 전에 다시 먹이를 넣어 줘야 겠죠. 따라서 죽으로 하는 술은 다른 것 보다 빠르게 먹여 줘야 합니다. 그래야 불을 꺼기게 하지 않고 계속 불을 태울 수 있을 것입니다.

구멍떡이나 범벅들은 죽 보다는 소화하는데 시간은 걸리지만 먹이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죽은 빨리 타고 빨리 꺼지지만, 구멍떡이나 범벅은 타기도 잘 타지만 죽 보다는 불이 타는데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다시 먹이를 주는 시간이 죽 보다는 더 긴 시간이 걸리는 것입니다. 죽 등이 잘 타는 종이나 짚과 같다면 구멍떡이나 범벅은 마른 싸리나무나 장작 조각 등으로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그럼 고두밥은 어떨까요. 고두밥은 두꺼운 장작과 같을 것입니다. 고두밥은 처음에 태우기가 힘든 단점이 있지만 한 번 불이 붙게 되면 아주 오랜 시간 불을 유지하는 지속성을 가지고 있어 먹이를 빨리 갈아줄 필요가 없습니다. 처음부터 고두밥을 태우기 위해서는 종이 몇 장이나 소량의 짚으로는 힘들 것입니다. 고두밥을 태우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종이나 짚을 이용해야 될 것입니다. 불이 잘 탈 때, 두꺼운 장작을 올려 놓는다면 불이 잘 붙고 오랜 시간 동안 먹을 수 있는 식량이 될 것입니다.

똑 같은 양의 짚과 종이 그리고 싸리나무, 두꺼운 장작 등으로 불을 태울 때, 가장 먼저 타고 가장 먼저 꺼지는 것은 종이와 짚일 것입니다. 그리고 싸리나무는 종이와 짚 보다는 오래 타겠죠. 장작은 처음이 힘들지 한 번 타고 나면 오랜 시간 지속될 것입니다. 이런 차이는 바로 조직의 치밀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죽처럼 쌀 가루를 높은 불에 오랫동안 가열한다면 조직의 치밀도는 거의 없어질 것입니다. 그러니 빠른 시간 안에 소화되겠죠. 그러나 범벅 처럼 높은 불에 단 시간(죽보다는) 노출되는 것은 조직의 치밀도가 죽 상태 보다는 좀 더 치밀성을 가져 소화되는데 죽 보다는 오래 걸리는 것입니다. 고두밥은 말을 하지 않아도 잘 알겠죠.^^

고두밥은 증기를 이용해 쌀 속에 있는 전분을 익히는 것입니다. 장 시간 동안 높은 열에 노출되지만 죽이나 범벅 상태 보다는 조직이 더 치밀하기 때문에 소화 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거기에 또 보호막까지 있잖아요.(쌀 안쪽에 전분이 있어서..) 잘 말려 놓은 장작을 두꺼운 천 등으로 감싸고 불을 태우는 것과 같습니다.


오늘 이렇게 불을 태우는 것과 쌀의 상태를 비교한 것은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응용 능력을 키웠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죽, 범벅, 설기, 고두밥 등의 상태에 따라 미생물이 소화시키는 시간이 다르니 덧술 시기를 잘 조정하라는 것입니다.

술의 상태를 봐서 먹이를 다 먹은 것 같으면 먹이를 넣어 줘야겠죠. 미생물이 더 이상 먹이가 없으면 살기 힘듭니다. 사람도 먹지 못하면 죽잖아요.^^ 더군다나 그게 성인이 아니고 간난아기라면 아주 치명적일 것입니다. 사람이 20살이 되었을 때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는다면 미생물(효모)은 단 2시간 정도면 충분합니다.

술도 말을 합니다. 소리로 말하고(술 끓는 소리), 얼굴 표정도 바뀌지요(술 표면), 가끔은 술에 거품을 만들기도 합니다.(오염)^^ 이러한 모습들을 잘 기억해 놓았다가 술을 빚을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신 : 괜히 글만 길게 써서 혼란만 준 것은 아닐런지요. 글 솜씨가 없어 그러니 이해해 주시구요. 좋은 술 빚으시길 바랍니다.


우리술 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석에 마실 술 빚기..5 file

10정도 지난 모습인데.. 아직 윗쪽에 술이 고여있지는 않습니다.. 잘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불안불안한데.. 언제쯤 위에 술이 고이나요?? 이미 고였어야 하나요??

  • 2008-08-22
  • 조회 수 2750

세상의 모든 남자들이 꿈꾸는그술 [2]

선령비주를 만들어 보았읍니다

추석에 마실 술 빚기..6 file [3]

술거르고 냉장 보관중... 첫날 마셨을때는 조금 신맛이 있었는데.. 3일 지난 오늘 마셔보니..신맛은 거의 안나고.. 맛있네요.. 우왕~~ 굳~^^ 3잔 마시고 기분 좋아라..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 2008-09-04
  • 조회 수 2802

술독 교육프로그램 참가회원 전용 게시판

"나만의 술" 게시판은 술독의 교육에 참여하신 분들 만을 위한 공간입니다. 교육이 단시간에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니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 공간은 술독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2802

추석에 마실 술 빚기..2 file

1차 밑술 발효중인데.. 처음이라보니.. 잘되는건지.. 안되는건지.. 알 수 없음...아놔~~

  • 2008-08-14
  • 조회 수 2806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4 file [1]

12월 1일 월요일 밤에 초일주 덧술은 한지 3일이 지났습니다. 보관된 곳의 온도는 21도 내외이며 우려와는 달리 술이 상한 것 같지는 않으며 잘 발효되고 있는 듯합니다. 휴지를 꼬아 만든 실에 불을 당겨서 술독에 넣으니 바로 불이 꺼져 버립니다. 위 사진...

양조용 원료

양조용 원료 탁. 약주에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에는 전분질을 함유하는 곡류 및 서류와 이를 가공하여 만든 당류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곡류 중에는 쌀과 잡곡인 소맥분, 옥수수, 보리쌀 등이 있고, 서류로는 고구마, 당류로서는 전분당이 있다. 1) 쌀 세계적...

<b>서김에 관한 자료입니다. ^^</b> [1]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서김에 대한 연구는 전무후무 한 일이었습니다. "서김"을 단지 밑술과 동일시하거나 술이 잘 되도록 하는 정도로 인식되어왔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서김의 중요성은 이것들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서김의 역활은 전통적 방법으로 술의 ...

  • 酒人
  • 2007-11-26
  • 조회 수 2848

유리보다 맑아진 진상주 file [1]

약 한달이 조금 넘은 시점의 진상주 사진입니다. 유리처럼 아주 맑아진것이 먹음직 스럽습니다.

  • 酒人
  • 2006-09-27
  • 조회 수 2852

썩은 누룩 [2]

두 사진은 수분이 과하게 첨가됐을 경우 나타나는 대표적인 모습 인데요, 수분이 많은 상태에서 날이 덥고 습한 날씨에 짚이나 풀등으로 두껍게 쌓아주면 이렇게 썩게 됩니다. 아래 사진같은 경우에 누룩은 버릴 수밖에 없습니다.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861

처음 만들어 본 초일주 [1]

초일주 담그기 *밑술재료: 쌀가루 1.6kg. 물7.2L. 누룩1kg 2월 10일 쌀을 깨끗하게 씻어서 3시간 쯤 물에 담그어 두었다가 방앗간에서 소금을 넣지 않고 가루로 만들어 와서 친구 장헌이네 집에서 길러온 물을 팔팔 끓여서 범벅을 만들었다 (이때 시각이 오후 ...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2869

누룩과 관련된 사진 [4]

사진은 이번에 여러분들과 함께 만든 만전향주국의 사진입니다 아래는 만전향국을 이용한 밑술입니다 보시다시피 위 사진은 아주 잘 뜨고 법제까지 마친 상태입니다. 강의실에서 보여드린 누룩처럼 검게 썩은 곳이 없지요. 누룩이 잘 뜨면 검지않고 노랗습니...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876

오늘은 날씨가 흐리고 조금씩 비가 옵니다.

오늘 점심때부터 술을 빚어야 하는데 날씨가 흐리네요~ 이렇게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올때는 술 빚을 때 사용하는 도구나 재료에 특별히 많은 신경을 써야 합니다. 외부 온도가 낮고 실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잡균으로 술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입니...

  • 酒人
  • 2006-01-31
  • 조회 수 2882

<b>"삼백주" 그 맛에 반하다.</b> file [3]

약재를 우려낸 물로 술을 빚다 보니 아주 맑은 것은 아니지만 그 맛과 향은 어디 따라올 술이 없을 정도의 가히 명주라 할 수 있었습니다. 삼백주를 처음 빚을 때만해도 약술로서의 기능 이외에는 크게 기대를 하지 않았던 술입니다. 백출, 백하수오, 백봉령...

  • 酒人
  • 2006-11-14
  • 조회 수 2884

누룩 이야기 4

4. 한말(韓末)의 곡자(누룩) 한말(韓末)의 누룩은 각자 소량씩 만들어 시장에 내어 팔고 남은 것은 도매상에게 맡긴다. 또한 곡물상에서는 대개 곡자를 판매하였다. 이 시대의 누룩은 분곡과 조곡 2종류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는데 여기서 분곡이란 밀가루로 ...

술독을 엎으면서... [2]

구정에 먹을려 시작했던 술이 밑술 과정에서 실패로 엎었답니다 왠지 아깝고 실패를 거듭하여 속상한 마음이었음니다만 덧술로 인하여 더많은 재료를 버리기 아까워 미련없이 버렸지요. 담은과정을 보면 1월 14일 물3.6리터에 맵쌀가루 1,5키로로 범벅을만들어...

<b>치풍주에서 중요한 것은...</b> [1]

치풍주에서 중요한 것은 꿀물을 만들어 막 쪄서 나온 고두밥과 혼합하는 것이다. 막 쪄서 나온 고두밥 고두밥을 식히지 않고 꿀 물과 혼합한다. 혼합하면 밥이 꿀 물을 흡수하게 된다. 다 흡수되면 차게 식힌다. 이 방법은 술의 양을 대량으로 늘리는 제조법을...

  • 酒人
  • 2007-05-02
  • 조회 수 2943

봇뜰에서 빚은 복분자주 file

※복분자 주 ◈밑술 : 2008년 10월 19일. 멥쌀3되(2.4kg), 누룩(백곡1되, 조곡2되), 물9리터 ◈덧술 : 2008년 10월 22일. 찹쌀 1말반(12kg), 복분자(10kg) *밑술과 고두밥을 혼합해서 10분정도 치덴후 복분자를 넣고 30분정도 더 혼합해서 술독에 담았다. ◈채주:...

  • 봇뜰
  • 2008-12-23
  • 조회 수 2943

<b>술의 맛을 내는 방법의 차이</b>

술의 맛을 무엇으로 내는가. 요즘 현대인들의 입맛은 술에서 약간의 단맛이 남아 있어야 맛있다고들 합니다. 그렇다면 술에 단맛을 남게 한다면 문제는 쉽게 해결 되겠죠.^^ 양조장에서 술을 빚을 때는 물을 원료의 양 대비 160% 정도를 넣습니다. 즉, 쌀 1말...

  • 酒人
  • 2006-09-19
  • 조회 수 2985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3 file [1]

안녕하세요 초일주 술덧을 만든지 72시간 정도 후에 고두밥을 쪄서 덧술을 빚었습니다. 찹쌀이라 그런지 찜통에 찌면서 찬물을 좀 넉넉히 부어서 약간 물기가 많은 고두밥이 되었습니다. 덧술에 사용한 찹쌀의 양은 멥쌀(밑술) : 누룩(밑술) : 찹쌀(덧술) =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