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실패와 100%성공의 조건

조회 수 3571 추천 수 48 2006.07.07 09:51:52
술을 어떤 방식으로 빚을 것인가.

술을 만드는 방법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에탄올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문제는 에탄올을 만들 때 무엇을 사용하냐에 따라 술의 맛과 향, 그리고 술의 질이 확연한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술을 빚을 때, 자연에서 얻어진 미생물을 이용하느냐 아니면 무균실에서 배양된 발효제를 사용하냐에 따라 술의 상태는 큰 차이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술의 안정된 발효를 위해 구연산 넣어 사용하느냐 아니면 자연적으로 구연산이 만들어 지도록 하느냐의 차이, 술에 단맛을 내기 위해 원료(곡물)를 투입하느냐 감미료(아스파탐 등)을 사용하느냐의 차이, 다양한 균을 가진 효모를 사용하느냐 아니면 특정히 배양된 효모를 사용하느냐의 차이 등에서 술을 빚는 많은 사람들이 고민에 빠져 있는 것 같습니다.

처음부터 전통방식(자연 그대로의 방식)을 배운 사람들은 자신의 방법대로 빚은 술이 최고라 하고, 스스로 현대식방식(양조장 방식)이라 일컬으며 이런 방법을 배운 사람들은 옛 방법이 시대와 뒷 떨어졌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두개의 방식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두가지 방법으로 술을 다 빚어 보았는데요. 결론은 고민 할 것도 없이 아주 간단했습니다.

일반 가정에서 구연산이나 아스파탐 아황산 메타카리 등을 사용한는 것은 정확히 말하면 양조장에서 술 만든느 법과 단 하나의 차이도 없습니다. 그 양이 많고 적고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술 만드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양조장에서 이러한 첨가물을 넣는 이유는 술을 대량으로 만들어 한 번 실패하면 큰 손실을 보기 때문에 이상 발효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여러 감미료를 첨가하는 것은 대량으로 술을 빚음으로 해서 술의 맛과 향이 떨어져 이를 보충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제가 가장 의아해 하는 것은 일반 가정에서 양조장방식으로 술을 빚고 있는 현실입니다. 어차피 같은 방식이면 마트에서 구입하여 먹으면 더 맛이 좋을텐데 말입니다. 단지 만드는게 재밌어서 한다는 분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말이지만요. 그렇다고 일반가정에서 양조장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잘못됐다는 것은 아닙니다.

저와 생각이 100% 틀릴 수 있겠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양조장방식의 술보다 전통방식의 술이 성공률이 높습니다. 의아해 할 수 있겠지만 사실이 그렇습니다. 양조장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효소, 효모 등은 특별환 환경을 요구합니다. 때문에 양조장에서는 항상 같은 조건에서 시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술이 잘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특정한 관리가 가능하지 않습니다. 온도와 습도, 작업환경등에서 양조장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특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배양된 효소, 효모들이 온도와 습도가 하루하루 다른 일반가정에서도 잘 자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안정된 발효를 위해 배양 발효제와 효소제를 사용한다고 하지만 술이 다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이 바로 양조장 방식을 일반 가정에 적용했을 때 생긱는 부작용인 것입니다.

그럼 전통누룩을 사용하는, 소히 양조장방식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부르는 “전통방식의 술”은 어떨까요.

일단, 자연에서 얻어진 미생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적응력은 상당히 뛰어납니다. 즉, 일반 가정에서 쉽게 제어할 수 없는 온도와 습도에 잘 적응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진 술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양조장의 방식은 맛을 첨가 하지만 전통방식은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맛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미생물들의 환경적응 능력으로 일반 가정에서 옛부터 내려오는 방식으로 빚는 술이 양조장 방식의 술빚기보다 성공률이 높을 수 있는 것입니다.

가능하면 일반 가정에서는 우리 고유의 방법을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그래야 우리술이 발전할 수 있습니다. 좋은 술을 먹은 사람은 좋은 술을 찾게 되어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시장에 나오는 술은 변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좀 더 좋은 재료, 원료를 사용할 것이고 맛을 맞추기 보다는 만들어 낼 것입니다. 우리가 변해야 우리술이 변하는 것입니다.

추신> 일반 가정에서 양조장 방식으로 빚고 있는 분들을 비판하고자 쓴 글이 아닙니다. 좀 더 우리술이 좋은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술의 편의 보다는 술의 질과 맛이 향상되어야 하기에 몇자 적어 봤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술 표면의 오염

보통 술 표면에 흰 거품이 생기는 오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것은 술독이나 술 빚는 도구들을 깨끗이 소독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현상입니다. 최대한 사용하는 도구들을 끓는 물로 소독하고 술을 담거나 버무릴 때 사용하는 모든 도구들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

  • 酒人
  • 2005-12-28
  • 조회 수 3669

설날에 마실 술을 채주하다. [4]

2008.12.28일 밑술을 담그고 2008.12.30일 1차 덧술을 담근 다음 2009.1.1일 2차덧술을 담근지 14일만에 술을 채주를 하였습니다. 상당히 빨리 채주를 하였고 요즈음 같이 추운 겨울 날씨로 볼 때 가히 기록적으로 빠른 채주이기에 놀랄 뿐입니다. 이번 술은 ...

<b>현재 띄우고 있는 백곡</b> file

우리밀을 이용한 백곡입니다. 모양은 이화곡 만들때 사용하는 방식인데요. 이번에는 우리밀을 이용해서 이화곡처럼 만들었습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누룩을 띄우는 일은 재미도 있지만 어려움도 많은 것이 누룩입니다. 현재 누룩 표면이 누렇게 떠 가고 있는 ...

  • 酒人
  • 2007-01-15
  • 조회 수 3664

냉동실에서 만들어진 현미찹쌀누룩? 이것두 술이 될까? [3]

제가 하는 일이 내맘대로 발효식품연구입니다,당연히 아마츄어고 아줌마의 부엌연구입니다. 저의 사업화추진 1호는 고추장 만들기입니다. 현재 특허출원하였고 지난 11월29일 원주시 여성기업인창업아이디어경진대회에 나가 당당히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우리술이야기..누룩편~☆ [3]

^^ 누룩에 대해서 정리하다 보면서..눈에 보기 쉽게..올려봅니다..^^ 우리술이..좋은..것이여~얼쑤~ 두개만 사진이 올라가서..나머지는..☞ http://blog.naver.com/owlwine/60036455134 지난번 우리가 만든 누룩은 분국이네요..분국중..백국..^^ 총총총... 최...

<b>여름에 술 잘 빚기 </b>

여름에 빚는 술 먹다 남은 음식 찌꺼기를 가만히 두면 썩어 버립니다. 그것도 겨울이나 봄 보다 여름에 더 빨리 썩어 버립니다. 그 이유는 간단하죠. 여름이 겨울이나 봄 보다 공기 중에 “균”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술을 빚어 놓으면 겨울이나 봄,...

  • 酒人
  • 2008-06-30
  • 조회 수 3655

호산춘 1차 덧술후 8시간후 file [2]

호산춘 1차 덧술후 8시간후 끌어 넘었네요 발효가 멈추어 산패하여 버렸어요

<b>시간이없어 술빚기를 못하는 분들에게..</b>

시간이없어 술빚기를 못하는 분들에게.. 너나 할 것 없이 너무 바쁜 세상입니다. 현실이 이러한데 짬을 내서 술을 빚는 다는 것이 쉬운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소개합니다. "어떤술을 빚을까? 밑술을 담아놓고 있습니다." - 이 글은 김정옥...

  • 酒人
  • 2006-05-19
  • 조회 수 3642

<b>맑게 고인 상근백피주</b> file [2]

위에 있는 술덧이 천천히 가라앉고 아래 맑은 술이 위로 올라온 사진입니다. 이렇게 술덧 위로 술이 올라오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사항을 잘 숙지해야 합니다. 1. 쌀과 물의 비율을 1:1 정도로 물의 비율이 높을 수록 술덧 위로 술이 고이게 됩니다. ...

  • 酒人
  • 2007-09-08
  • 조회 수 3639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지황주를 말하다. 술을 어떻게 빚든 상관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빚을 때 들어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약재가 들어가는 술은 약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조법으로 술을 ...

  • 酒人
  • 2008-07-27
  • 조회 수 3630

80리터 술독에 가득히 담그었습니다^^ [3]

청주가 많이 나오는 술빚기에 들어갔습니다 주인님이 가르쳐준 비법의 량을 비율대로 늘려서 80리터 독에 가득 채웠습니다 밑술을 만들고 1차 덧술을 하고 2차 덧술을 13일 저녁에 하였습니다 술독 온도를 25도씨로 맞추고 있는데요 얼마정도쯤 걸려야 술이 완...

  • 두메
  • 2007-03-15
  • 조회 수 3626

추석에 마실 술 빚기..4 file [3]

고두밥+밑술1,2 후 옹기에 잘넣어둔 상태인데요.. 일단 밑술 2차 발효후 맛은 밍밍함... 향은 막걸리 냄새가... 지금 불안함이 가시질 않는것은... 1. 덧술시기가 좀 늦어진듯함.. 2. 아마도 제일 큰 이유... 쌀 1되는 쌀가루 약 1.5되 정도 되는거 같은데.. ...

  • 2008-08-14
  • 조회 수 3623

누룩 [2]

위 사진은 당시 복원했던 누룩 사진입니다. 모두 완성된 상태이고, 법제를 하는 과정중 하나인 건조중입니다. 당시 55가지를 복원했는데, 모양은 비슷하지만 성격은 모두 다른 것이었습니다. 일부에는 몸뚱이에 쑥이 묻어 있습니다. 쑥에 묻어서 띠우는 것이...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3621

호산춘 따라하기 2 file [4]

호산춘을 그냥 방치하듯 내버려 두었는데 지금 온도를 확인하니 너무 낮네요 밤에는 11~12도 정도이고 낮에는 14도 정도되니 계속 내버려 둬야 할지 술덧에 변화가 거의 없는듯 합니다. 위의 사진이 6일전에 찍은 거고 아래의 사진이 현재의 상태입니다. 보쌈...

1주일째 끓고 있는 술

지난번에 동영상으로 보셨던 그 술을 이용해 계속해서 술을 빚었습니다. 약 5-6일 동안 미생물을 굶긴 후에 술을 빚은 것이라 애들이 힘이 좋아 아직까지 끓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 술은 도수가 상당히 높은 청주가 완성되리라 보여집니다. 주모가 완성된 후에...

  • 酒人
  • 2008-09-30
  • 조회 수 3606

<b>새로운 단양주의 표본 - 단백주 제조</b> file

단백주는 제가 지은 이름입니다. ^^ 요즘 여러가지 단양주(한 번에 빚어지는 술)를 빚고 있는데요. 지난번에 빚은 술이 범벅과 고두밥을 동시에 혼합하는 방식이라면, 이번 단백주는 좀 더 쉽고 빨리 완성되는 방법으로 빚었습니다. 1. 쌀가루 1.6kg을 곱게 ...

  • 酒人
  • 2008-04-21
  • 조회 수 3605

봇뜰에서 빚은 쑥술 file [2]

※애주(쑥 술) ◈밑술 : 2008년 9월 27일. 멥쌀가루3되(2.4kg), 누룩2되(1kg), 쑥물9리터(쑥50g). ◈덧술 : 2008년 9월 30일. 멥쌀가루3되(2.4kg), 산성누룩1되(500g), 백곡1되(500g), 쑥물9리터(쑥50g). ◈덧술 : 2008년 10월 2일. 찹쌀 1말반(12kg),(쑥200g). *...

  • 봇뜰
  • 2008-12-23
  • 조회 수 3592

<b>술이 실패한 항아리 관리법</b> [1]

술이 잘 된 항아리와 산패를 일으킨 항아리 술이 잘 된 항아리는 술을 거르고 난 다음에 깨끗하게 물로 씻어내고, 사용하기 전에 증기나 연기를 이용하여 살균을 하면 됩니다. 그러나 술에서 신맛이 강하게 난 항아리나 산패한 것은 깨끗이 씻는다고 해결되는 ...

  • 酒人
  • 2006-10-26
  • 조회 수 3580

<b>좋은 술 만드는 방법</b> [1]

좋은 술 만드는 방법 좋은 술이란 자신이 먹었을 때 좋다고 느끼는 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당히 주관적일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께서는 좋은 술을 만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정성도 중요하고 술 빚는 재료도 ...

100%실패와 100%성공의 조건

술을 어떤 방식으로 빚을 것인가. 술을 만드는 방법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에탄올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문제는 에탄올을 만들 때 무엇을 사용하냐에 따라 술의 맛과 향, 그리고 술의 질이 확연한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 酒人
  • 2006-07-07
  • 조회 수 35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