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답글 : 동동주 맛은 이렇습니다.^^</b>

조회 수 4273 추천 수 78 2007.11.16 01:07:56




"수정처럼 맑고 사탕처럼 달콤하며 가을 하늘처럼 깔끔하다."

동동주는 위 사진처럼 밥알이 동동 떠 있다하여 동동주가 된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동동주=부의주"라고 하지만, 동동주는 좀 더 폭을 넓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부의주는 '부의주라는 술 자체가 존재'하고 제조법이 명확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동동주는 부의주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해도 다르게 봐야 옳을 것입니다. 즉, 동동주는 적당량의 물이 들어간 술에서 모두 볼 수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동동주를 부의주라 정의해 버리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동동주의 맛은 술을 빚어 시간이 지나면 위 사진처럼 술이 맑게 고이게 되는데요. 이때 맑게 고인 술을 작은 바가지를 이용해 떠냅니다. 그러면 바가지 않에 맑은 술 위에 밥알이 몇 개 동동 떠 있습니다.

이때 '한 모금의 술'이 동동주라 생각합니다. 술 맛은 이때 떠낸 술이 가장 맛이 좋습니다. 용수를 박아 맑게 된 술을 떠 내는 것은 두번째, 떠내고 다시 고인 술이 세번째, 그리고 거르고 남은 술에 물을 타 만든 막걸리가 있습니다.

맛은 처음에 밥알과 함께 마시는 동동주가 가장 맛있습니다. 위에 수정처럼 맑고 사탕처럼 달콤하다 했는데요. 이것은 저의 아주~~~ 주관적인 판단일 뿐입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맛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지금껏 제가 마셔본 술의 대부분은 술을 빚어 처음에 맑게 고인, 밥알 몇 개가 동동 떠 있는 상태에서 떠낸 동동주가 가장 맛이 좋았습니다. 수정처럼 정말 맑고,, 사탕처럼 달콤하고,, 가을 하늘 처럼 뒷 맛이 깔끔합니다.

이때의 쌀과 물의 비율은 1:08 정도로 쌀 10리터가 들어갈 때, 물 8리터 정도가 들어간 비율입니다. 사진 속 술은 삼양주인 호산춘의 동동주 상태 술로서 아주 맑고 달콤한 맛을 지녔습니다.


1. 동동주 상태가 되고 나서 -> 술이 완성된 상태
2. 사람들은 용수를 박는다. -> 완성된 직후 동동주를 뜨고 난 다음 박는다.
3. 시간이 지나면 용수 않에 맑은 술이 고인다. -> 최고의 상태가 지난다.
4. 막걸리를 만든다. -> 배꽃 처럼 흰 막걸리가 된다.


술을 빚으면

1. 술밥이 밑으로 가라 앉고
2. 아래 있던 맑은 술이 위로 올라온다.
3. 밥알이 거의 다 가라 앉은 상태에서
4. 맨 위에 밥알 층이 남아 있게 된다.
5. 이것이 나중에 밥알이 뜬 것처럼 보이게 된다.

* 밥알이 뜨는 것이 아니라 최후에 가라 앉기 전의 상태로 가장 술 맛이 좋습니다.


추신 : 제가 만든 술 대부분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맨 마지막에 남은 지게미를 이용해 막걸리를 만들어 부모님께 드리면 부모님께서 친구분들께 선물로 드립니다.^^

그럼 자넨 술 빚어 놓고 술은 언제 마시나.?  어르신들께서 물으면...

"처음에 뜨는 동동주를 마십니다."



세상 다 가지라 해도 동동주 한 모금과 바꿀수는 없지,,,..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3051

'한국전통주교과서' 출판기념회에 초대합니다. file [9]

  • 酒人
  • 2014-02-19
  • 조회 수 4477

주말 잘보내세요. [1]

2012 한국 궁중술빚기 대회 공지

  • 酒人
  • 2012-07-25
  • 조회 수 4461

제7회 고문헌 주인반 5월6일 개강 모집 안내(마감)

  • 누룩
  • 2013-04-22
  • 조회 수 4459

술공식다운받기 file

  • 酒人
  • 2014-03-18
  • 조회 수 4453

물어볼 게시판이 없어서.. 종초요. [5]

  • 하제
  • 2013-08-06
  • 조회 수 4435

6월 3일(일) 8기 졸업식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file

  • 酒人
  • 2012-05-16
  • 조회 수 4434

백운양조장 견학 사진들 file [1]

  • 酒人
  • 2012-01-23
  • 조회 수 4430

고생합니다 [1]

알콜농도측정기구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1]

  • 빅툴
  • 2013-02-25
  • 조회 수 4408

맑은 술, 밥알 띄우기 [3]

  • 酒人
  • 2006-03-02
  • 조회 수 4396

2012 신.년.여.행 일정 [2]

  • 누룩
  • 2012-01-11
  • 조회 수 4393

증편 만들기 도움 [4]

제 4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모집안내 file [1]

  • 누룩
  • 2013-06-13
  • 조회 수 4380

2014년 1월 우리술빚기과정 수강생모집(마감) file

  • 누룩
  • 2013-10-08
  • 조회 수 4372

(모집) 10월 명주반 수강생 모집(마감)

  • 누룩
  • 2011-08-30
  • 조회 수 4369

2011 대한민국 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최종 진출자 명단

  • 누룩
  • 2011-09-28
  • 조회 수 4367

아카시아 술이 완성되었습니다. [3]

  • 酒人
  • 2006-06-26
  • 조회 수 4358

바람 많이 부네요. [1]

도토리술 용수 박은 모습 file

  • 酒人
  • 2006-11-14
  • 조회 수 4346

전통주소믈리에과정 - 국비지원 수강생 모집(마감) file

  • 누룩
  • 2013-02-05
  • 조회 수 4345

<b>술에서 신맛나는 이유 총정리</b>

  • 酒人
  • 2006-02-24
  • 조회 수 4342

시인 조지훈의 주도 18단계 [2]

  • 音美
  • 2011-07-12
  • 조회 수 4338

고두밥 질 때 사용하는 삼베천 구입처 file

공개특강이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file

  • 누룩
  • 2011-11-07
  • 조회 수 4328

여기가 길인지 강인지... file [2]

  • 酒人
  • 2011-07-27
  • 조회 수 4325

전통 가양주 빗는법

졸업여행 일정 - 1박 2일 file [8]

  • 누룩
  • 2011-06-23
  • 조회 수 4316

송명섭명인탐방 - 죽력고내리기체험 (모집마감)

  • 누룩
  • 2013-04-18
  • 조회 수 4314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영광의 주인공들 file

  • 酒人
  • 2011-12-07
  • 조회 수 4307

석탄주 거르는 시기? [1]

막걸리속의 유산균... file [3] [1]

찜솥 실리콘 깔개 보자기 file

제 5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모집안내 file

  • 누룩
  • 2013-10-16
  • 조회 수 4285

<b>답글 : 동동주 맛은 이렇습니다.^^</b> file

  • 酒人
  • 2007-11-16
  • 조회 수 4273

<b>술빚기 좋은 항아리 구입하는 방법 </b> [3]

낙향한 선비의 술 "손처사하일주"에 대하여 [2]

  • 酒人
  • 2006-03-24
  • 조회 수 4271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막걸리와 안주 file

  • 酒人
  • 2011-12-07
  • 조회 수 4268

보은 송로주 탐방 file [4]

12월 20일(화) 한국가양주연구소 - 가양주인의 밤 [9]

  • 酒人
  • 2011-12-07
  • 조회 수 425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