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빚으며 (등단 추천글)

조회 수 2439 추천 수 155 2006.05.16 09:47:14
상현달이 키워져 사나흘이면 보름 입니다.
축시가 가까워 오는 시각,사위는 조요하고 대기는 가라앉아 있습니다.
정갈히 개어둔 새입성 챙겨들고 뒷뜰 우물가로 갑니다.
파리한 달빛담아 찬물 한 바가지 끼얹고 차분히 기를 다스립니다.

소쩍새 울음 따라 물동이 챙겨들고 뒷산 샘터에 이릅니다.
만월에 이르기 직전의 충만한 음기를 머금은 샘물위엔 나즈막히
서기가 깔려있고 인시의 시작에 맞춰 영계와 육계의 나눔의시간,
물의 정기는 가장 순하게 정화되어 있을 때 입니다.
윗물을 조심스레 걸러,시계반대 방향으로 조심스레 퍼 담습니다.
되돌아 오는 길엔 여명이 스며들고 길을 재촉해야 합니다.
일출의 가득한 양기를 받아 밑술을 앉혀야 할 때가 이른 까닭 입니다.

어제 아침 일출에 맞춰 미리 참나무 숯으로 쪄 논 고슬한 밑밥을 깔고
볕좋을때 잘 말렸다 빻아둔 누룩가루를 조심스레 켜켜이 올린뒤,
사이사이 길어온 정화수로 정갈히 독을 채워 갑니다.
거친 숨,탁한기 배일세라 한지 한장 입에 물고 기도 섞어 술을 앉힙니다.
헛간동녘으로 단모은 독속에 가득히 밑술이 채워질 즈음,붉게 일출 입니다.

밑술을 채운지 일주일여,매일 새벽녘 자시께에 일어나 독을 만져봅니다.
술을 익히는 누룩의 성정이 마치 젖먹이 하룻거리와 같은지라,
낮동안은 칭얼대며 서너번은 뒤척이고,새벽녘엔 깨어나 부산히 노는것이라,
냉하다 싶으면 이불두루마리에,혹은 멍석을 감아주고
독위에 덮은 한지에 수분이 마르거나 독이 더워졌다 싶으면 물수건으로훔쳐
아이 젖물릴때의 어미젖무덤의 온도와 가깝게 숧독을 보살핍니다.

간간이 물푸레 나무로 만든 동댕이로 한두번 휘휘 저어주고는
이내 한지를 덮어서 바깥공기 들어감을 최소화 해야 합니다.

술을 앉히기전엔 헛간은 정갈히 청소해두고,
독을 얹은뒤에는 미동도 없도록
일체의 드나듦을 통제하고 차분히 가라앉은 대기의 상태를 지켜 줍니다.

술이 익는 기간내내 매일새벽에 독을 만지기전 목욕재계를 하며,
헛간은 물론이며 집안내에서는 장독대나 김치독 따위도 열지 않습니다
살아 있는 생물이라,유사한 숙성음식으로 일체의 영향주지 않음 입니다.

열흘 가까운 새벽정성이 다 해가면 독에선 달디단 향이 흘러 나옵니다.
맘속 깊이 정성을 드리며 한지뚜껑을 열어 봅니다.
초유먹은 젖먹이의 대변처럼 황금빛 보풀이 엉겨 있습니다.
참으로 감사 하며 밑술 걸러낼 채비를 갖춥니다.

정성껏 마련해둔 삼베를 깔고 함지박에 조심조심 독을 기울여 냅니다.
천천히 보의 윗단을 비틀어 맑은술 초벌로 걸러 냅니다.
굵은체,중간체,가는체,고운체로 네번을 다시 걸러 냅니다.
이제는 어느정도 노르스름 한빛으로 술이 제법 맑아 있습니다

.

참나무 숯으로 선불을 거른뒤 적당히 중불이 오르는 아궁이에 고리를 겁니다
아랫단 소주고리에 맑은 밑술을 붓고 나서 밀가루로 윗단고리사이 틈을 막고
역시,맨 윗단의 증류고리에도 사이에 밀막음을 해 둡니다.

얹어둔 고리를 정갈히 닦아낸 다음,백자 항아리를 받쳐 둡니다.
증류된 소주는 옹기나 철화등의 이물이 섞인 항아리에서는 맛이 변하기때문에
받아두고 최소한 석달은 숙성할 동안에는 반드시 백자항아리로 받아둡니다.
이제는 불조절만 남았습니다.

땀이 비오듯 하고 눈은 벌겋게 충혈 되어 가지만
아궁이의 샛노랗고 붉은 화기에 몸이 익어 가는 동안 기분이 더 맑습니다.
정신은 오직 술고리를 따라서 흘러 나올 맑은술과 함께 증류되어 갑니다.

톡~...첫방울이 흘러서 백자 항아리에 떨어 집니다.
첫울림 소리는 마치 산사의 풍경소리처럼 전신을 흔드는 전율로 타고 옵니다.
두식경 남짓의 방우방울이 모여서 항아리 그득히 맑은술이 고였습니다.
백자바닥은 하늘이 되고 흘러든 술은 감로수가 되어
그름도 흘러가고 새소리도 담겨 있고,달의 맑음과 해의 열기도 담깁니다.

조심스레 세겹으로 한지뚜껑을 동이고 천천히 들어 자리를 잡아 둡니다.
이제 술한독 걸러서 맑은 술 항 항아리 빋었습니다.
피로가 엄습하면서,뭉클한 서러움도 밀려 옵니다.
참 모를 일 입니다. 매번 술을 받을때마다 딸아이 시집보내듯 애잔해집니다.
이제는 들어가 죽은듯 밀린잠을 청할 것입니다

먼 산의 산새 울음이 아이웃음처럼 맑아 있습니다.

<아빠~나 딸이야..언제 와? 너무 늦게 오지마.....>
꿈결인듯 아닌듯 아이의 목소리....눈시울이 붉어 집니다.
한잠들어 깨고 나면 남은 막지술이나 한 잔 해야겠습니다.....


   -2002년 10월 어느날에-        정훈

酒人

2006.05.16 11:18:12
124.61.

정성스럽게 술 빚는 모습이 옛 흑백 영화처럼 스쳐지나가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6567
64 송명섭 명인 탐방 - 죽력고를 찾아서(모집) file [1] 누룩 2012-09-27 6069
63 혜전대학교 전통주품평회 file 酒人 2012-12-09 6071
62 한국가양주연구소 공개특강안내(마감) [22] 누룩 2011-10-25 6108
61 제천 양조장 탐방 (백운양조장, 조은술) 단체사진 file [1] 酒人 2012-01-19 6130
60 지식나누기 - 대학생 우리술 바로알기 (마감) [4] 누룩 2012-06-17 6134
59 10월 18일(화) 보은 송로주 견학 (접수 마감) [6] 酒人 2011-09-25 6137
58 한국가양주연구소 8월 술탐방 일정(비와도 고) [5] 酒人 2011-08-04 6156
57 <b>2010 대한민국 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b> file [12] 酒人 2010-10-11 6249
56 누룩, 곡자(麯子)와 국자(麴子)에 대하여 누룩 2015-04-01 6334
55 증류기 공동구매 (증류기+발효조+증숙기+찜기) 30개 확정 file [1] 누룩 2013-11-10 6342
54 전통주 최고전문가과정 상반기(3~4월) 교육일정 누룩 2012-03-08 6379
53 경기대학교 대학원 주류산업경영학과 신입생 모집 안내 file 회사후소 2020-10-25 6401
52 대학생 우리술지식나누기 10.21(일)(마감) 酒人 2012-09-22 6502
51 옥수수대의 놀라운 효능! 치아걱정 끝! [1] 김우빈 2019-11-16 6530
50 오가피,가시오가피,오갈피 라퓨타 2011-12-22 6593
49 요즘 전통주가 대세! 우리 술상 위 찰떡궁합 안주 file 모수 2010-06-28 6612
48 간만에...... [1] 최소희 2005-09-29 6618
47 소주 만들기 도전 파편화 2019-11-12 6639
46 졸업을 축하드립니다. (사진) file 酒人 2012-11-19 6745
45 전통주명인 1호 송화백일주 탐방(마감) file [6] 누룩 2012-02-02 6814
44 동 증류기 공동구매입니다. file [2] 누룩 2014-03-18 6953
43 <b>상근백피주(뽕나무뿌리껍질)</b> file 酒人 2006-05-30 6989
42 감압여과기 사용시 규조토와 필터 구매처가 궁금 합니다 [1] 죽림산방 2019-09-29 7147
41 2013년 1월 전통주 입문과정(명주반) 수강생 모집(마감) file [5] 누룩 2012-10-23 7188
40 <b>술독이 제작한 알코올도수 측정 증류기</b> 酒人 2007-03-06 7209
39 국비지원 - 9월 농림부 우리술빚기과정 수강생모집 file 누룩 2013-05-29 7230
38 농림수산식품부 지원 교육프로그램(마감) file [8] 누룩 2012-06-04 7298
37 역사속으로 - 1. 삼일주와 부의주 [3] 酒人 2006-03-08 7333
36 독일 프랑크푸르트 알트-작센하우젠 전통주~ file [2] 모수 2010-06-22 7385
35 발효주의 알코올 도수가 낮은 이유 [1] 酒人 2006-03-30 7412
34 전통주 전문가과정 마스터반 교육생 모집(마감) file 누룩 2011-12-26 7527
33 증류시 메틸알콜을 버리는 시점은? [2] 비야 2007-12-06 7688
32 名酒 시음회 - 백수환동주(백발의 노인이 아이가 된다는 술) [12] 누룩 2012-02-05 7794
31 <b>2월 28일(토) "술독정기모임" - 잣술 빚기</b> file [14] 관리자 2009-02-04 7855
30 막걸리-천상병 [1] 音美 2011-04-27 7888
29 식초학교 '제 2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마감) file [4] 누룩 2012-11-06 8047
28 MBC 특집 < 한국의 전통주 > [4] 아리랑 2012-03-07 8136
27 7월 13일 초복 누룩만들기(벼누룩 시연) 행사 (마감) file [3] 누룩 2013-06-25 8154
26 제 8기 정규과정(전통주기능사) 모집 3월 5일 개강(마감) 누룩 2012-01-27 8185
25 <b>초파리 제거하는 방법</b> [3] 酒人 2006-10-25 84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