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소주에 대하여.............

조회 수 4320 추천 수 139 2006.03.13 04:43:36
"도소주(屠蘇)는 원기가 회복되어 병을 물리친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술은 정월 초 하루 동이 틀 때에 술을 만들어 온 식구들이 동쪽으로 향하여 마시는 술로서 한 사람이 이 술을 먹으면 한 집안이 전염병에 걸리지 않고, 한 집안이 이를 먹으면 한 마을에 전염병이 없다.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1. 도소주는 <고사촬요, 민천집설, 임원십육지, 주찬, 의방합편>에 기록되어 있으며, <고사촬요, 의방합편, 주찬>에 기록된 "도소주"는 같은 제조법으로 백출, 대황, 천초, 지모, 도라지, 호장근, 오두 껍질 벗긴것이 들어갑니다. 그러나 <임원십육지>와 <민천집설>은 원문이 없어 확인하지 못했으나 제조법은 모두 비슷하고 재료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듯 보입니다. 계심, 방풍, 완계, 수유가 그것입니다.

2. "자주(煮酒)"에서는 "중탕(重湯)"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고사촬요, 의방합편, 주찬>에서는 "수비(數沸)"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찬>에서는 "수비"를 '몇 소큼 끓여'로 해석하였으며, <고사촬요>에서는 '몇 번 끓임"으로 되어 있습니다. <의방합편>은 한글 해석이 나온것이 없었습니다.

3. "수비(數沸)"<셀 수, 끓을 비>는 "몇 번 정도 끓인다"로 해석하면 될 듯 합니다. 뜻이 맞다면, 도소주는 자주와 같이 중탕기 같은 방식이 아닌 "재료에 술을 넣고 끓이는 방식"을 사용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재료에 술을 넣고 몇 번 끓이게 되면 알코올이 날아가 술의 도수가 약해질 것입니다. 왜 도수가 약해지게 만들었을 까요??

4. 그 이유는 도소주의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가족(어린아이부터 노인들까지) 모두 마실 수 있는 도수가 낮은 약술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도소주는 일부러 알코올을 증발 시킬 목적으로 술을 약재와 섞어 끓이는 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는 끓이는 시간입니다. 도소주는 정월 초 하루 아침에 마시는 술입니다. 제조법에서도 "섣달 그믐날에 우물속에 매달아서 우물밑바닥이 닿는 곳에 담가둔다. 정월 초하루 동이 틀 때에 꺼내어 술을 붓고 함께 달인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봐서 동이 틀 때 부터 아침까지가 술을 끓여 식히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제가 조선시대에 살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1-2시간 정도 끓이고 1시간 정도 식혔다가 아침 차례를 지낸 후에 "도소주"를 한잔씩....^^


5. 자주와 도소주는 들어가는 재료뿐 아니라 제조법 또한 다른 것 같습니다. 자주는 대부분 청주(淸酒)를 사용하였지만, 도소주는 그냥 술(酒)로 표기되어 있어, 이 술이 청주인지, 소주인지는 확실히 나와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4번에서 설명했듯이 "도수가 낮은 술"을 만들기 위함이라면 소주보다는 도수가 낮은 청주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6. 따라서 두 술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도소주가 알코올을 낮춰 가족 전체(아이들까지)가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술"이라면, 자주는 술을 중탕하여 알코올이 날아가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면서도 약효를 얻기위한 제조법이라는 것입니다.

7. 정리하면, 도소주는 "어린아이부터 노인들까지 모든 사람들이 쉽게 먹을 수 있는 술"이기 때문에 "재료에 술을 넣어 끓이는 방법"으로 알코올 도수를 낮춰 술을 만드는  제조법을 사용한 것 같습니다. 알코올이 약간 섞여 있으면서 쓰고, 맹물에 약을 다린 맛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상훈님 덕분에 "도소주"와 "자주"를 재밌게 공부했습니다. 이 글을 읽으면 아시겠지만 새벽에 공부한 보람은 찾은 것 같습니다.

이상훈

2006.03.13 14:29:15
61.81.1

도소주에 대해 찾아보셨군요.
우선 제가 추가로 확인한 내용만 몇 자 적습니다.

1. <민천집설>의 내용은 <고사촬요>나 <주찬>과 같습니다.

2. <임원십육지>에서의 제법은 위의 문헌과 거의 대동소이합니다. 지적하신대로 약재만 약간 다릅니다.
임원 십육지엔 두 가지 주품이 소개되어 있고, <본초강목>의 내용을 소개하며 도소주 유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법을 약간 설명드리면 <진씨소품방>에서는 원단에 마시면 질병을 피하고 일체의 부정기를 막을 수 있다고 하면서 적출, 계심, 방풍, 완계, 촉초(?), 도라지, 대황, 오두, 적소두 등을 넣는다고 되어 있고, 다른 방에서는 대황, 도라지, 천초, 계심, 오두, 백출, 방풍 등을 넣어 진씨소품방과 같이 빚으라고 되어 있습니다.

3. 문제가 되는 것은 '數沸'라는 용어입니다. <주찬>에는 <몇소큼 끓여 낸 후'라고 해석했는데 사실 '數'라는 뜻에는 '두서너' 또는 '빨리하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또 <임원십육지>에는 '煎數沸'라고 되어 있습니다.
'전'이란 '달인다'는 의미이니 주인님이 해석처럼 '두서번 끓인다' 또는 '빨리 끓인다'고 해석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酒人

2006.03.13 14:58:50
58.77.1

<민천집설>과 <임원십육지>의 원문이 없어 아쉬웠는데 추가자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1. 촉초는 천초의 오타가 아닌가 봅니다.

2. 數沸라는 용어는 말씀하신대로 "두서번 끓인다"로 해석하면 될 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4390

'한국전통주교과서' 출판기념회에 초대합니다. file [9]

  • 酒人
  • 2014-02-19
  • 조회 수 4548

진드기가 알코올의 역사를 생각하게 한다. [1]

  • 酒人
  • 2006-02-14
  • 조회 수 4546

천주와 지주 [2]

  • 酒人
  • 2012-01-23
  • 조회 수 4544

주말 잘보내세요. [1]

제7회 고문헌 주인반 5월6일 개강 모집 안내(마감)

  • 누룩
  • 2013-04-22
  • 조회 수 4519

술공식다운받기 file

  • 酒人
  • 2014-03-18
  • 조회 수 4518

고생합니다 [1]

백운양조장 견학 사진들 file [1]

  • 酒人
  • 2012-01-23
  • 조회 수 4509

물어볼 게시판이 없어서.. 종초요. [5]

  • 하제
  • 2013-08-06
  • 조회 수 4493

(모집) 10월 명주반 수강생 모집(마감)

  • 누룩
  • 2011-08-30
  • 조회 수 4483

2011 대한민국 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최종 진출자 명단

  • 누룩
  • 2011-09-28
  • 조회 수 4475

2012 신.년.여.행 일정 [2]

  • 누룩
  • 2012-01-11
  • 조회 수 4475

알콜농도측정기구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1]

  • 빅툴
  • 2013-02-25
  • 조회 수 4471

시인 조지훈의 주도 18단계 [2]

  • 音美
  • 2011-07-12
  • 조회 수 4462

공개특강이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file

  • 누룩
  • 2011-11-07
  • 조회 수 4459

맑은 술, 밥알 띄우기 [3]

  • 酒人
  • 2006-03-02
  • 조회 수 4451

제 4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모집안내 file [1]

  • 누룩
  • 2013-06-13
  • 조회 수 4446

2014년 1월 우리술빚기과정 수강생모집(마감) file

  • 누룩
  • 2013-10-08
  • 조회 수 4437

<b>술에서 신맛나는 이유 총정리</b>

  • 酒人
  • 2006-02-24
  • 조회 수 4437

여기가 길인지 강인지... file [2]

  • 酒人
  • 2011-07-27
  • 조회 수 4436

송명섭명인탐방 - 죽력고내리기체험 (모집마감)

  • 누룩
  • 2013-04-18
  • 조회 수 4428

바람 많이 부네요. [1]

증편 만들기 도움 [4]

석탄주 거르는 시기? [1]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영광의 주인공들 file

  • 酒人
  • 2011-12-07
  • 조회 수 4411

찜솥 실리콘 깔개 보자기 file

졸업여행 일정 - 1박 2일 file [8]

  • 누룩
  • 2011-06-23
  • 조회 수 4400

전통 가양주 빗는법

전통주소믈리에과정 - 국비지원 수강생 모집(마감) file

  • 누룩
  • 2013-02-05
  • 조회 수 4397

고두밥 질 때 사용하는 삼베천 구입처 file

백수환동주 시음회 file

  • 酒人
  • 2012-02-12
  • 조회 수 4389

아카시아 술이 완성되었습니다. [3]

  • 酒人
  • 2006-06-26
  • 조회 수 4382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막걸리와 안주 file

  • 酒人
  • 2011-12-07
  • 조회 수 4381

사진으로 누룩 평가 가능할까요? file [6]

머루와인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 file [4]

  • 신원
  • 2010-10-14
  • 조회 수 4367

도토리술 용수 박은 모습 file

  • 酒人
  • 2006-11-14
  • 조회 수 4364

보은 송로주 탐방 file [4]

한국가양주연구소 신.년.여.행. (마감)

  • 누룩
  • 2011-12-29
  • 조회 수 4356

농가형 식초 제조장 탐방 안내(마감)

  • 누룩
  • 2013-04-22
  • 조회 수 4349

쌀 누룩 소개 file

  • yung
  • 2014-03-17
  • 조회 수 434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