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향한 선비의 술 "손처사하일주"에 대하여

조회 수 4409 추천 수 181 2006.03.24 18:03:53
손처사하일주


제조법을 적기 전에,

이 술은 뭔가 사연이 있는 술빚기라 생각든다. 손처사(孫處士)..손자 손, 곳 처, 선
비 사.....쉽게 이해할 수 없는 술 이름이라 "손처사하일주"를 가지고 하룻동안 생각한 적도 있다. 술 이름도 그렇지만, 제조법 또한 독특한 술빚기를 하고 있어 지금껏 빚어왔던 주방문의 공식을 깨고 있다.

처사(處士) 사전적 의미로는 '세상 밖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묻혀 사는 선비'란 뜻을 가진 단어이다. 술의 이름을 '처사하일주'라고 했으면 이해가 빨랐을 텐데 '손처사하일주'라 하여 '孫'자가 하나 더 붙는다. 손(孫)의 의미는 손자, 자손, 겸손하다, 달아나다. 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는 "달아나다"의 뜻이 어울리지 않을 까 생각해본다.

달아나다....조용히 묻혀사는 선비...그리고 여름에 빚는 술....

세상을 등지고 조용히 살고 있는 선비가 여름에 빚는 술..^^ 풀이가 길지만 꽤나 재밌는 이름임에 틀림없다.

손처사하일주가 기록되어 있는 문헌은 1450년대의 <산가요록>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550년 전에 쓰여진 것이다.

술빚는 법은 이렇다.

1. 멥쌀 1말 5되를 물에 담갔다가 씻어 작은 항아리에 담는다.
2. 베로 아가리를 봉해 가마솥 속에 넣고 약한불로 물을 넣어가며 익힌다.
3. 다 익었으면 하룻밤을 보낸다.


하룻밤 지나 향기가 나면 꺼내서 동이 안에 쏟아 식힌다.

1. 식힌 밥과 누룩 1말 5되를 섞어 앞의 작은 독에 넣고 밀봉한다.
2. 즉시, 멥쌀 5말을 물에 씻어 푹 쪄서 식힌다.


다시 하룻밤 두었다가..

1. 누룩 1말 5되와 밑술을 고르게 섞어 술독에 담는다.
2. 베로 아가리를 잘 봉해둔다.


10월 이후에 술이 만들어지는데 해가 지나도 뿌옇게 되지 않으니 신묘하다.기록하고 있다.

제조법을 보면, 밑술에서 독특한 방식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쌀을 불린 상태에서 독에 넣어 중탕하여 익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주조법을 본 일이 없어 무척 난감했다.

보통 중탕이라 하면, 다 빚어진 청주를 약재와 섞어 병에 넣어 중탕하는 방식인데 여기서는 쌀 자체를 중탕으로 익히고 있다. 즉, 찌거나 삶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열(熱)로 익히는 것이다.

쌀은 물을 흡수하여 불려진 상태이고, 물을 넣어가며 중탕하는 방식이기때문에 쌀은 독 안의 열에 의해 곧 익게 될 것이다. 삶거나 증기로 찌는 것 보다는 오래 걸리겠지만 충분히 가능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누룩의 양에서는 원문을 보지 않아 모르겠으나 잘못 기록된 것이 아닌가 한다. 왜냐하면 "덧술할때 앞의 작은 독에 넣고"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은 멥쌀을 넣어 중탕했던 독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멥쌀 1말 5되와 누룩 1말 5되를 섞으면 부피가 2배가 되기때문에 앞의 독에 다 담을 수가 없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누룩 1되 5홉을 잘 못 적은 것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그래야 "앞의 작은 독에 넣고"가 들어 맞기 때문이다.

<산가요록>의 술빚기에서 누룩의 양은 대부분 쌀 양의 20~30%정도, 물 양의 10~20% 정도가 들어가는데 비해 "손처사하일주"의 경우는 물은 거의 들어가지 않고 쌀 양의 거의 50%에 가까운 누룩이 들어간다.

그런데 밑술의 누룩의 양이 1되 5홉이라면, 쌀의 양에 비해 누룩이 30%정도가 들어가 다른 술빚기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물론 내 자신이 기존의 제조법을 맹신한 나머지 끼워맞추기를 할 수도 있다고 보기때문에 개인적인 생각으로 밝히는 것이다.

또한, 여름철 술빚기라 술이 잘못될 것을 염려하여 누룩의 양을 많이 넣을 수도 있겠지만, 손처사하일주는 물이 거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술이 크게 실패하지는 않을 것이다. 여름철 "감주(甘酒)" 처럼 "손처사하일주"도 술이 다 되었을 때, 달고 맛있는 술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10월 이후에야 술이 된다고 하였으니 7,8월에 술을 빚어 2-3달 후에 술이 되는 것 같다.

제 생각은 이러한데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지요..


추신 : 편의를 위해 존칭어를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이상훈

2006.03.28 10:33:13
61.81.1

몸이 좋지 않아 추가로 찾지는 않습니다.
단지 누룩양만은 확인했습니다.
원문에 누룩은 1말 5되가 맞습니다.
그것도 누룩이 아닌 누룩가루입니다.

酒人

2006.03.28 23:22:22
125.188

쌀 1말 5되와 누룩 1말 5되....

좀 더 시간을 갖고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무섭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6822
984 조은술양조장 file [2] 최형순 2012-01-28 4696
983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술빚기 "보경가주" [4] 酒人 2006-02-20 4696
982 누룩!........... file [2] 라퓨타 2011-11-11 4695
981 사진으로 누룩 평가 가능할까요? file [6] 복드림 2008-08-21 4694
980 공개특강이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file 누룩 2011-11-07 4691
979 고생합니다 [1] 김수로 2019-09-18 4688
978 진드기가 알코올의 역사를 생각하게 한다. [1] 酒人 2006-02-14 4686
977 3월 전통주 명주반(입문과정) - 모집(마감) file 누룩 2013-01-30 4683
976 물어볼 게시판이 없어서.. 종초요. [5] 하제 2013-08-06 4680
975 <b>술에서 신맛나는 이유 총정리</b> 酒人 2006-02-24 4672
974 복분자 구입처(고창선운산농협) [1] 酒人 2006-07-13 4669
973 석탄주 거르는 시기? [1] 하늘이랑 2017-08-24 4656
972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영광의 주인공들 file 酒人 2011-12-07 4653
971 백운양조장 견학 사진들 file [1] 酒人 2012-01-23 4648
970 '한국전통주교과서' 출판기념회에 초대합니다. file [9] 酒人 2014-02-19 4641
969 주말 잘보내세요. [1] 이지예 2019-08-25 4639
968 제7회 고문헌 주인반 5월6일 개강 모집 안내(마감) 누룩 2013-04-22 4636
967 송명섭명인탐방 - 죽력고내리기체험 (모집마감) 누룩 2013-04-18 4636
966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막걸리와 안주 file 酒人 2011-12-07 4633
965 백수환동주 시음회 file 酒人 2012-02-12 4631
964 머루와인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 file [4] 신원 2010-10-14 4631
963 <b>술독 누룩전문교실 - 마감되었습니다. </b> [34] 酒人 2007-03-15 4622
962 졸업여행 일정 - 1박 2일 file [8] 누룩 2011-06-23 4614
961 술공식다운받기 file 酒人 2014-03-18 4613
960 2012 신.년.여.행 일정 [2] 누룩 2012-01-11 4608
959 맑은 술, 밥알 띄우기 [3] 酒人 2006-03-02 4608
958 찜솥 실리콘 깔개 보자기 file 오렌지컴 2015-12-27 4599
957 보은 송로주 탐방 file [4] 농부와풀피리 2011-10-19 4593
956 알콜농도측정기구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1] 빅툴 2013-02-25 4591
955 한국가양주연구소 신.년.여.행. (마감) 누룩 2011-12-29 4590
954 농가형 식초 제조장 탐방 안내(마감) 누룩 2013-04-22 4571
953 보은 송로주 견학...소풍 나간 아이 마냥... file 선녀마을 2011-10-20 4566
952 스코틀랜드 위스키 여행기 1 - 보모어에서의 하루 酒人 2014-09-14 4563
951 요즘 어깨가 안좋아 저같은분 계실까봐 어깨마사지에 대해 얘기해봐 사이런트힐 2024-04-22 4562
950 자연은 내 인생의 스승 酒人 2005-10-19 4562
949 제 4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모집안내 file [1] 누룩 2013-06-13 4560
948 쌀 누룩 소개 file yung 2014-03-17 4548
947 2014년 1월 우리술빚기과정 수강생모집(마감) file 누룩 2013-10-08 4547
946 전통 가양주 빗는법 시우러브 2012-01-01 4544
945 바람 많이 부네요. [1] 이지예 2019-09-07 454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