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주반 수업 내용 (질문)

조회 수 2841 추천 수 0 2016.01.06 15:06:39

안녕하세요,


명주반 수업 질문이 있어 게시판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1. 곰팡이가 전분분해효소인가요?

  2. 술이 시어지는 이유는 물량이 쌀량보다 많기 때문이라고 들었는데요,

    전분의 양이 한정되어 있으면 포도당의 양도 한정되는 부분까지는 이해가 되는데요,

    물의 양과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물의 양이 많아지면 알코올 도수가

    10% 미만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 설명 부탁 드립니다.

  3. 술 제조 recipe를 보면, 쌀과 물의 비율을 대략 1:3으로 맞추면 된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이 recipe들은 모두 범벅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인지요? 죽이나 떡 같은 걸로

    밑술이나 1차 덧술을 하는 경우의 recipe는 그럼 다르게 만들어야 하는 것인가요?

  4. 고두밥으로 최종 덧술을 하는 이유는 최종적으로 쌀과 물의 양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서라고 들었는데요, 죽이나 범벅으로 최종 덧술을 하면 이 많이 들어간다고요.

    그렇다면, 밑술이나 1차 덧술 등에 물량을 줄이고 최종 덧술을 고두밥이 아닌 다른

    형태로 하여 최종 물량만 맞추면 가능한 것이 아닌지요?

  5. 막걸리는 탁주가 아닌것인가요? 탁주의 개념이 청주의 반댓말이라면, 전내기나 막걸리도

    탁주가 될 수 있는 것인지요? ‘탁주가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백주라는

    말씀도 수업시간때 언급하셨는데요, ‘백주탁주의 차이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오후 되세요!



酒人

2016.01.06 22:25:26
*.134.198.66

1. 곰팡이가 분비하는 효소는 전분분해효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효소를 분비합니다.
곰팡이는 미생물, 전분분해효소는 전분을 분해하는 효소 즉, 효소는 단백질입니다. 미생물이 아니에요.
따라서 곰팡이와 효소는 전혀 다릅니다.

2. 포도당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포도당이 알코올로 되는 것이기때문에 포도당의 양이 적으면 당연히 알코올 양도 적게 나오겠죠. 따라서 포도당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생성될 수 있는 알코올 양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니까.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알코올 도수는 낮아지게 되겠죠. 발효가 잘 진행되지 않으면 알코올 생성이 잘 안되니까. 도수가 낮은 상태로 오랜 시간이 가게 되고 그렇게 되면 도수가 낮은 곳에서 잘 증식할 수 있는 젖산균 등이 많이 증식해서 젖산을 생성하니 신맛이 강해지게 됩니다.

3. 그렇죠. 1:3 정도는 범벅 형태가 되고 1:5 정도는 죽 상태가 되니까. 레시피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4. 그래서 떡, 떡, 떡 이렇게 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물이 적게 들어가는 방식으로 모두 진행하면 되겠죠.
이렇게 해서 최종 쌀과 물의 비율을 맞춘다면 큰 무리없이 술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

5. 탁주는 청주의 반대로 맑은술이 아닌 탁한술을 의미합니다. 술의 맑기 정도로 구분하는 것이고요.
전내기나 막걸리는 거르는 방법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전내기도 그렇고 막걸리도 그렇고 시간이 지나면
위에 맑은 술이 뜨니까. 탁주도 청주도 나올 수 있겠죠.

탁주의 의미가 탁한 술, 백주의 의미가 흰술이니까. 탁주와 백주는 같은 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의미 자체가 다르다 보니까. 가능하면 탁한술이라고 하기 보다는 흰 술이라고 하는 것이
더 좋다는 말씀을 드린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3167

제 7기 졸업작품 file

  • 누룩
  • 2012-03-28
  • 조회 수 5355

일본 흑초 및 주조산업탐방 [2]

  • 누룩
  • 2013-07-30
  • 조회 수 5353

누룩으로 빚는 멥쌀술은 왜 어려운가?

  • 酒人
  • 2011-09-18
  • 조회 수 5347

송화백일주 현장학습 이야기 [1]

  • 酒人
  • 2012-09-12
  • 조회 수 5344

누룩을 빻을때 크기 [1]

농림수산식품부 전통주교육훈련기관 "한국가양주연구소" file [10]

  • 누룩
  • 2012-05-23
  • 조회 수 5306

[찹쌀단가안내-하락세] 찹쌀을 소개합니다.

무농약 설갱미 단기 판매

청주에 약재를 넣어 중탕하는 법. [2]

  • 酒人
  • 2006-03-11
  • 조회 수 5278

2013 전통주페스티벌 4월 25일~27일 file

  • 누룩
  • 2013-04-05
  • 조회 수 5261

동문 이현주님께서 '전통주소믈리에 대회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 酒人
  • 2012-10-19
  • 조회 수 5255

사가신사(일본술의 뿌리를 찾아서) file

  • 酒人
  • 2012-10-16
  • 조회 수 5246

온도조절기계 추천 해 주실만한게 있을까요? [3]

  • ilch
  • 2020-05-07
  • 조회 수 5242

전통주 담글때 에어락 설치하면? [4]

  • 상갑
  • 2008-10-31
  • 조회 수 5218

오늘의 명언 [1]

술독 "보온" 쉽게 끝내기

  • 酒人
  • 2006-02-27
  • 조회 수 5204

식초학교 '제 3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마감) file

  • 누룩
  • 2013-03-07
  • 조회 수 5184

쌀누룩 막걸리 질문입니다 [1]

  • MINGUS
  • 2021-02-19
  • 조회 수 5183

큰 양조용 술독

  • 酒人
  • 2006-05-24
  • 조회 수 5178

안녕하세요? 2기졸업생 김운학입니다.

양조 도구를 구입 노하우 file

알콜 생성 도수가 낮은데 이유는? [1]

청주 술이름에 청주라는 말을 넣을 수 있나요?

  • 퐁스
  • 2021-01-18
  • 조회 수 5062

시원 하네요. [1]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1]

병 디자인~ ^^ file [4]

  • 酒人
  • 2008-11-02
  • 조회 수 5002

코로나 너무 오래가네요. [1]

봄비가 내리는 날이네요 [2]

1월 전통주정규과정 신입생 모집 (마감)

  • 누룩
  • 2011-11-29
  • 조회 수 4965

주말 잘 보내세요~ [1]

7기 졸업식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누룩
  • 2012-03-19
  • 조회 수 4953

반애주가의 자작 발효실 file [3]

백수환동곡 전과 후 file

  • 酒人
  • 2013-07-29
  • 조회 수 4938

동문 소지섭님이 국선생대회 우수상을 탔어요^^ file [5]

  • 酒人
  • 2012-10-21
  • 조회 수 4936

술을 담궜는데 제가 잘못한걸까요?? file [1]

밑술 및 덧술 용기 사이즈 문의드립니다. [1]

굿밤되세요. [1]

강원도 홍천 양조장 탐방 안내(마감) file

  • 누룩
  • 2013-05-16
  • 조회 수 4909

송로주 견학 그 향에 취하다. file [2]

  • 酒人
  • 2011-10-21
  • 조회 수 4896

어느 선술집에 걸린 글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