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향한 선비의 술 "손처사하일주"에 대하여

조회 수 4528 추천 수 181 2006.03.24 18:03:53
손처사하일주


제조법을 적기 전에,

이 술은 뭔가 사연이 있는 술빚기라 생각든다. 손처사(孫處士)..손자 손, 곳 처, 선
비 사.....쉽게 이해할 수 없는 술 이름이라 "손처사하일주"를 가지고 하룻동안 생각한 적도 있다. 술 이름도 그렇지만, 제조법 또한 독특한 술빚기를 하고 있어 지금껏 빚어왔던 주방문의 공식을 깨고 있다.

처사(處士) 사전적 의미로는 '세상 밖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묻혀 사는 선비'란 뜻을 가진 단어이다. 술의 이름을 '처사하일주'라고 했으면 이해가 빨랐을 텐데 '손처사하일주'라 하여 '孫'자가 하나 더 붙는다. 손(孫)의 의미는 손자, 자손, 겸손하다, 달아나다. 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는 "달아나다"의 뜻이 어울리지 않을 까 생각해본다.

달아나다....조용히 묻혀사는 선비...그리고 여름에 빚는 술....

세상을 등지고 조용히 살고 있는 선비가 여름에 빚는 술..^^ 풀이가 길지만 꽤나 재밌는 이름임에 틀림없다.

손처사하일주가 기록되어 있는 문헌은 1450년대의 <산가요록>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550년 전에 쓰여진 것이다.

술빚는 법은 이렇다.

1. 멥쌀 1말 5되를 물에 담갔다가 씻어 작은 항아리에 담는다.
2. 베로 아가리를 봉해 가마솥 속에 넣고 약한불로 물을 넣어가며 익힌다.
3. 다 익었으면 하룻밤을 보낸다.


하룻밤 지나 향기가 나면 꺼내서 동이 안에 쏟아 식힌다.

1. 식힌 밥과 누룩 1말 5되를 섞어 앞의 작은 독에 넣고 밀봉한다.
2. 즉시, 멥쌀 5말을 물에 씻어 푹 쪄서 식힌다.


다시 하룻밤 두었다가..

1. 누룩 1말 5되와 밑술을 고르게 섞어 술독에 담는다.
2. 베로 아가리를 잘 봉해둔다.


10월 이후에 술이 만들어지는데 해가 지나도 뿌옇게 되지 않으니 신묘하다.기록하고 있다.

제조법을 보면, 밑술에서 독특한 방식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쌀을 불린 상태에서 독에 넣어 중탕하여 익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주조법을 본 일이 없어 무척 난감했다.

보통 중탕이라 하면, 다 빚어진 청주를 약재와 섞어 병에 넣어 중탕하는 방식인데 여기서는 쌀 자체를 중탕으로 익히고 있다. 즉, 찌거나 삶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열(熱)로 익히는 것이다.

쌀은 물을 흡수하여 불려진 상태이고, 물을 넣어가며 중탕하는 방식이기때문에 쌀은 독 안의 열에 의해 곧 익게 될 것이다. 삶거나 증기로 찌는 것 보다는 오래 걸리겠지만 충분히 가능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누룩의 양에서는 원문을 보지 않아 모르겠으나 잘못 기록된 것이 아닌가 한다. 왜냐하면 "덧술할때 앞의 작은 독에 넣고"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은 멥쌀을 넣어 중탕했던 독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멥쌀 1말 5되와 누룩 1말 5되를 섞으면 부피가 2배가 되기때문에 앞의 독에 다 담을 수가 없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누룩 1되 5홉을 잘 못 적은 것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그래야 "앞의 작은 독에 넣고"가 들어 맞기 때문이다.

<산가요록>의 술빚기에서 누룩의 양은 대부분 쌀 양의 20~30%정도, 물 양의 10~20% 정도가 들어가는데 비해 "손처사하일주"의 경우는 물은 거의 들어가지 않고 쌀 양의 거의 50%에 가까운 누룩이 들어간다.

그런데 밑술의 누룩의 양이 1되 5홉이라면, 쌀의 양에 비해 누룩이 30%정도가 들어가 다른 술빚기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물론 내 자신이 기존의 제조법을 맹신한 나머지 끼워맞추기를 할 수도 있다고 보기때문에 개인적인 생각으로 밝히는 것이다.

또한, 여름철 술빚기라 술이 잘못될 것을 염려하여 누룩의 양을 많이 넣을 수도 있겠지만, 손처사하일주는 물이 거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술이 크게 실패하지는 않을 것이다. 여름철 "감주(甘酒)" 처럼 "손처사하일주"도 술이 다 되었을 때, 달고 맛있는 술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10월 이후에야 술이 된다고 하였으니 7,8월에 술을 빚어 2-3달 후에 술이 되는 것 같다.

제 생각은 이러한데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지요..


추신 : 편의를 위해 존칭어를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이상훈

2006.03.28 10:33:13
61.81.1

몸이 좋지 않아 추가로 찾지는 않습니다.
단지 누룩양만은 확인했습니다.
원문에 누룩은 1말 5되가 맞습니다.
그것도 누룩이 아닌 누룩가루입니다.

酒人

2006.03.28 23:22:22
125.188

쌀 1말 5되와 누룩 1말 5되....

좀 더 시간을 갖고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무섭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9532

술독에서 술이 끓고 있다. file [3]

  • 도사
  • 2009-04-22
  • 조회 수 1712

술독모임다녀와서 [2]

  • 본치
  • 2008-06-23
  • 조회 수 1711

저번 질문한 후, 더 자세히 알고싶어서.. [2]

완성된 누룩... file [2]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711

8월 정기모임--실습 및 시음 file [3]

  • 도사
  • 2008-08-24
  • 조회 수 1710

다른생각 하는 팀들... file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709

25일날 막걸리 축제 가시는분~ [1]

즐거운 명절되세요...^^ [1]

  • 봇뜰
  • 2008-02-06
  • 조회 수 1708

<b>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 </b>

  • 酒人
  • 2008-09-09
  • 조회 수 1708

부부팀으로 시작~~ file [3]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707

유익한 강좌 잘 들었습니다. [1]

  • 미루
  • 2007-11-25
  • 조회 수 1707

많이 배우고 왔습니다. [1]

벌써~~~ [2]

열강~~~ file [3]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706

설날을 앞둔 우리의 바램 [2]

전통주에 관심이 많습니다! [3]

안녕하세요~ [2]

밀가루 꽉 채운 틀... file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705

11월 정기모임에서 얻은 수확 [5]

  • 도사
  • 2008-11-30
  • 조회 수 1704

세번째 작업 사진입니다. file [1]

오랫만입니다~! [1]

신문 벗긴 누룩 입니다... file [2]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704

<b>8월 정기모임, 즐거웠습니다. </b> [3]

  • 酒人
  • 2008-08-24
  • 조회 수 1703

봇뜰에 두고간 석탄주님 누룩 입니다. file [5]

  • 봇뜰
  • 2008-07-23
  • 조회 수 1703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무료함을 달래며 한잔 ~~~~~~~~~`` file [2]

  • 도사
  • 2008-08-15
  • 조회 수 1702

베란다에 &#52287;아온 봄.............. file [1]

  • 도사
  • 2009-02-25
  • 조회 수 1701

감기조심하세요~~~ [3]

술독 교육프로그램에 관하여 [1]

  • 공주
  • 2008-02-15
  • 조회 수 1699

채주해서 한잔 했습니다...^^ [3]

  • 봇뜰
  • 2008-07-26
  • 조회 수 1699

틀에 밀가루 담기... file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698

유월 마지막 날에 쓴 산골일기 [2]

봇뜰네 시계꽃 file [3]

짝꿍 끼리... file [1]

  • 봇뜰
  • 2008-07-16
  • 조회 수 1697

봇뜰네 file [5]

술 흘리는 술독.. ^^ 100점 짜리 주모 [2]

  • 酒人
  • 2008-09-19
  • 조회 수 1695

백곡 두번째 뒤집기.2 file [2]

  • 봇뜰
  • 2008-07-25
  • 조회 수 1695

"정기모임" 대중교통 이용하시는 분들께,,

오랜만에 들렀습니다. [1]

기축년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1]

  • 녹야
  • 2009-01-02
  • 조회 수 169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