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현재 상태

조회 수 2550 추천 수 0 2007.03.19 22:09:04


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상태입니다. 오늘이 19일이니 벌써 8일이나 지났네요

덧술은 안했습니다.

매일 매일 사진을 찍어놓았어야 하는데 지난주 좀 정신없이 지나가서
이제 겨우 사진 한 장 올립니다.

실내온도 20~22도 사이에 두었는데 그렇게 큰 오염은 없이 주모가 잘 만들어 진것 같습니다.

3일쯤 지나 덧술을 한 분은 술이 잘 익어가고 있을 듯 합니다.

8일이 지났는데도 술 향기는 좋은데 신맛이 있더군요

술은 향으로만 판단할 수 없나 봅니다.

다른 교육생들께서도 주모가 어떻게 변해가는지 글을 올려주세요

이상 1기 교육생의 관찰기였습니다.

酒人

2007.03.19 22:55:02
*.188.85.106

보시다시피 주모가 잘 됐네요. 시간이 지나도 특별한 이상이 없으니 잘 됐다고 봐야겠죠. 말씀하신 것처럼 술의 향기가 좋다고 해서 술이 잘 된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맛을 봐야하죠.

그리고 술에서 신맛이 난다고 해서 술이 실패한 것은 아니에요. 단지, 전분이 부족해서 만들어진 당과 알코올이 적어서 상대적으로 신맛이 강해 보이는 것입니다. 알코올 도수가 낮으면 알코올이 공기와 접촉해서 초산발효를 일으키는데, 이렇게 되면 술에서 신맛이 강하게 납니다.

물의 양이 많으면 더욱 신맛이 많이 난다고 봐야죠.

우리가 덧술을 할 때, 쌀 2리터 정도를 넣고 물은 넣지 말라고 했는데요. 이렇게 되면 전분이 많이 들어가게 되고-> 당 생성이 많아지고 -> 알코올 도수가 올라가서 술의 맛이 좋아지게 됩니다. 물과 쌀의 비율이 1:1 정도가 되는 것이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20 7.손쉽게 만드는 현미식초 "종초투입 시점"에 대한 문의 태평백수 2016-08-01 4468
219 애주(艾酒) 빚기 file 줄리 2016-05-16 4123
218 처음 시도한 동동주인데요...ㅠㅠ file aladinn 2015-02-24 6602
217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스투찌 2014-09-18 5547
216 무늬만 석탄주?? file 보리콩 2014-02-19 7261
215 초보의 두번째 단양주 빚기. 이번엔 성공인 듯 합니다. anakii 2013-10-21 10017
214 첫 막걸리 빚기. 실패인지 성공인지..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려요. [1] anakii 2013-10-17 19933
213 막걸리를 깔끔하게 걸러내는 방법 [1] 빨아삐리뽀 2013-06-22 11319
212 진달래주를 담그려고 하는데요. file [1] 스투찌 2013-04-18 7746
211 두꺼운 산막효모 생긴 밑술도 서김으로 한방에 보내고.. file [1] 허허술 2012-10-19 9705
210 술에서 포도 냄새가 나면 jadoojadoo 2012-10-04 7197
209 주인님이 댓글 달아 주셔요^^ [1] 민속주 2012-07-11 6215
208 조언 부탁드립니다. [1] 空有 2012-05-16 5352
207 효모 사진 400배, 1000배 file 酒人 2012-01-13 15375
206 생의 첫 동동주가~~~ file [2] 밥한술 2011-10-14 8075
205 이건 뭘까요? file 눈사람 2011-09-15 6968
204 mouldy alcohol 2. file 눈사람 2011-09-14 10798
203 실패한 술 사진 1 file 눈사람 2011-09-14 8789
202 여름 술빚기의 성공 조건 酒人 2011-07-10 7538
201 집에서 빚은 분곡으로 시나브로 2010-04-26 655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