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좋은 술 만드는 방법</b>

조회 수 3614 추천 수 35 2006.06.11 08:29:02

좋은 술 만드는 방법


좋은 술이란 자신이 먹었을 때 좋다고 느끼는 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당히 주관적일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께서는 좋은 술을 만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정성도 중요하고 술 빚는 재료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이해"라고 생각합니다. 술에 대한 이해 없이는 결코 좋은 술을 빚을 수 없을 것입니다. 제가 처음 술을 빚었을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술 빚는 도구들의 살균 이었습니다. 시간이 좀 지나서는 온도 관리라 생각했고, 시간이 더 지나니까 가장 중요한 것이 술에 대한 이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남을 이해하고 배려하지 못한다면 결코 좋은 세상을 만들 없을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일이라 술 빚는 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말 못하고 보이지 않는 것이라도 우리는 살아있는 생명체를 다르는 것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술 빚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술 속에 무엇이 있는지 볼 수는 없지만 우리는 보이지 않은 미생물들과 함께 공존하고 있는 것입니다.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 그것들을 보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려면 상대방의 입장에 서서 생각을 해야 그것들을 보고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것처럼 우리가 술 빚는 것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저는 아직 아이를 키워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우리가 술 빚는 것을 말 못하는 아기를 대하는 것과 같이 한다면 분명 좋은 술을 빚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아기가 말을 못한다고 그 아이를 무시하는 부모는 단 한 명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모님들은 언제나 생각합니다. 이 아이가 왜 우는지, 밥이 먹고 싶은 건지, 아니면 더운지, 아니면 어디가 가려운지 등, 수  많은 생각을 하면서 우리는 말 못하는 아이를 이해해 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어느 순간에는 아이의 울음소리만 들어도 아이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안다고 합니다.

술을 빚는 우리들은 모두 부모가 되는 것입니다. 말 못하는 미생물들의 부모가 되는 것입니다. 이 아이들은 말은 못하지만 여러 가지 표시로 부모에게 원하는 것들을 이야기 합니다. 그들에게 관심만 갖는다고 될 일이 아니라 그들을 이해하려 노력해야 하는 것입니다.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이 필요한지 그들의 입장에 서서 생각을 해야 그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좋은 술이란 이러한 이해 없이는 나올 수 없는 것입니다. 우리의 모든 가정에 세상 어디에서도 구할 수 없는 명주의 탄생을 바랍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우정

2007.06.16 06:40:25
*.68.199.235

부모 입장에서, 자녀가 하라는 공부 (발효)는 않고 엉뚱한 문제나 일으키고 있으면 무지 속상하죠. 그 심정이 이해가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막걸리 발효중 이물질이 떠요 file

막걸리 20도 발효 8일찬데 이물질이 떠요 실패일까요,..?

매번 과실주만 담구다가 처음으로 곡주에 도전했는데요 [1]

하루만에 신내가 납니다 딱봐도 망한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온도조절을 너무 얕본거 같습니다 성능안좋은 궁뎅이전용 전기난로에 천씌어놨는데 이게 아무래도 쉰거같습니다... 살릴길이나 다른걸로 써먹을방법은 없을까요 나름 온갖정성으로 불...

경주서 [1]

지금은 방송중 주객님도 계시네요 ㅋㅋ

  • 산우
  • 2007-05-07
  • 조회 수 2562

안녕하세요? [1]

태양이 작렬하는 찬란한 봄입니다. 다들 건강하신지요? 저는 여러분들과 함께 누룩을 빚었던 최 원입니다. 벌써 한달이 되었습니다. 몇분은 사진을 올려 주셨고요. 여러분들의 누룩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이제 법제 할 때가 된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밝은 곳...

  • 최 원
  • 2007-04-29
  • 조회 수 2574

<b>도대체 뭐 부터 시작해야 하나요.</b>

일단, 쌀 부터 씻으세요.^^ 술을 만들고 싶어도 도대체 뭐 부터 공부하고 실습해야 하는지 난감하실 것 같아서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뭐 부터 시작해야 하나 이론 공부 보다는 실습을 통한 경험을 늘려야 합니다. 이론은 술을 빚으면서 자연히 알게...

  • 酒人
  • 2006-11-26
  • 조회 수 2575

진상주 빚을 때 특히 주의해야 할 것

진상주를 빚을 때 다음 5가지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주의 1> 술덧의 총 부피는 33리터 정도입니다. 술덧을 담을 큰 술독이 있으면 좋겠지만 집에서 사용하기에 너무 힘들기 때문에 20리터용 술독 두 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 2> 진상주의 덧술에...

  • 酒人
  • 2006-08-24
  • 조회 수 2589

십양주 [1]

3월에 시작하여 1차 밑술 맵쌀죽1kg + 물 3L 2차 덧술 맵쌀죽1kg + 물 3L 3차 찹쌀 고두밥1kg 4차 찹쌀 고두밥1kg 5차 찹쌀 고두밥1kg 6차 찹쌀 고두밥1kg 7차 물 1L 8차 현재 찹쌀 고두밥1kg 까지 왔는데 맛을보니 살짝 산미가 도는거 같은데...

누룩 상태를 확인하세요.~~

요즘 계속 비가 와서 누룩 관리를 잘 하지 못한 분들은 술을 빚어도 잘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습기로 인한 누룩의 품질이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누룩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사용하면 발효가 힘들고 술 표...

  • 酒人
  • 2006-07-27
  • 조회 수 2594

양복에 주전자와 주걱을 들고,,^^

범벅 만들기,,^^ 다들 보셨죠.~ 범벅을 만드는 이유는 : 효모에게 밥 주는 것입니다. 익혀서 주는 이유는 : 효모가 소화 잘 시키라고.. 식혀서 주는 이유는 : 효모가 뜨거운거 잘 못먹으니까.. 뜨거운 물을 붓는 이유는 : 쌀 가루의 전분이 잘 익으라고,,, 범...

  • 酒人
  • 2007-11-26
  • 조회 수 2683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2 file [2]

12월 1일 밤 12시 30분쯤 술덧을 만든지 거의 48시간이 다 되어 갑니다. 항아리 뚜겅을 열어서 술 상태를 확인했는데 술이 부글부글 끊고 있네요. 사진은 술덧을 처음 만들었을 때와 48시간 정도 되어서 끊고 있을 때 사진입니다. 덧술을 해야 할지 고민입니...

팔도 술~

술~~

  • 산우
  • 2007-05-07
  • 조회 수 2716

누룩 법제중! [1]

잘 된건지 모르겠네요. 나름 깔끔하긴 한것 같은데...^^ 오늘로 사흘째 말리는 중입니다. 그리고, 첫 실습후 담근 술은 제 생각으로는 아주 잘 되었네요. 회장님께 한번 선보여 드려야 하는데...ㅎㅎ 이번 누룩으로 다시 한번 도전해 봐야겠어요.

공개강좌 단체 사진입니다.^^

참석해 주신 모든 회원님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리고요. 여기서 멈추지 마시고 시간이 나시는데로 꼭 한 번씩 술을 빚어 보세요. ~^^

  • 酒人
  • 2007-11-26
  • 조회 수 2757

교육이 끝난지 2주가 지나네요.

우리 회원님들은 궁금한게 많이 없어서 너무 좋아요.^^ 전화를 해라 해도 잘 안하고 질문도 안하고,, 벌써 술 빚는거 포기한건아니죠.?? ^^ 교육이 끝난지 2주가 지나네요. 그때 빚은 술들은 어찌 돼가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빚은 분들 있으면 그 진행 상황을 ...

  • 酒人
  • 2007-03-23
  • 조회 수 2764

1차 누룩교실에서 만든 누룩 [1]

안녕하세요. 요즘 많이 바쁜터라 술독 방문을 한동안 못했네요 술 빚기도 잠시 쉬고 있었는데. 만든 술을 처리하는 것도 좀 어렵긴 하고 1차 누룩교실에서 만든 누룩이 잘 뜬거 같습니다. 법제를 하려고 도토리 알 만하게 만들려고 하는데 깨뜨리기가 어렵네...

올만에 빚은 술 [2]

한동안 술빚기를 눈으로 머리로만 했습니다. 올만에 술빚기를 해봅니다. 이번에 들어간 재료는 칡과 고구마 ,쌀 입니다. 국은 입국과 우리누룩을 같이 사용했구요. 신맛,쓴맛,단맛과 탄산맛 까지 적당히 어우러져 맛있습니다. 색깔은 카페오레 커피같기도 하...

1차 누룩 교실 결과. [3]

누룩을 꺼내 보았더니.. (1)은 몇군데 썩어 곰팡이가 보이고(약제 첨가) 이넘은 띄울 때 뜨거웠었습니다. (2)은 그냥 말린것 같이 허옇습니다. 띄울 때도 열이 별로 없었거던요 맛을 보니 시지도 않구요..빵 굽는 냄새는 납니다..ㅎㅎ 酒人님 (1)은 버려야 겠...

  • 루치
  • 2007-04-24
  • 조회 수 2798

초일주에 대한 궁금증^^ [2]

초보라 이것저것 생소한 것이 많은데요~ 아직 한번도 술을 담아보지 못했는데 시작 하려니 겁이 나는군요^^ 초일주에 대한 공지 글을 읽었는데요 덧술을 할때는 물을 더 붓지 않아도 되나요? 물을 더 부으라는 내용은 없어서요^^

누룩 디딜때 사용하는 천은....

어제 말씀을 못드렸네요... 누룩 디딜 때 사용하는 천은 "마른 것"을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젖은 것을 이용하면 누룩에 달라 붙어 밀가루가 묻어 나오게 됩니다. 집에서 누룩 디딜때는 천을 빨아서 바로 사용하지마시구요. 완전히 말려 놓았다가 사용하는 것이...

  • 酒人
  • 2007-04-02
  • 조회 수 2823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단체 사진입니다.^^ [6]

언제 이렇게 친해지셨는지,,,^^ 참가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이 공간은 여러분을 위한 공간이니까요. 교육 중에 궁금했던 것을 질문해 주시면 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공간이 썰렁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8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