햅쌀술에 대하여

조회 수 2580 추천 수 177 2006.05.01 21:25:23

햅쌀술 - 신도주(新稻酒)


햅쌀술은 1800년대 말 <이씨음식법>과 1937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는 "신도주"로 기록되어 있으며 1837년 <양주방>에는 "햅쌀술"로 기록되어 있다.  

1837년 <양주방>에는 술의 이름이 "햅쌀술"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 이후의 문헌에서는  햅쌀술의 한문으로 옮긴 "신도주(新稻酒)"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양주방>에 기록된 "햅쌀술"을 나중에 편찬된 문헌에서 "햅쌀술"을 한문으로 풀이하여 "신도주"라고 기록한 것으로 보여진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는 "햅쌀술"에 대한 설명을 "이 술은 공주 땅에서 나면 담그는 것이다. 별로 좋은 줄도 모르고 술을 4-5일 만에 뜨는 것이라 마시면 배도 아프고 좋지 않으니 무슨 술이 이레 만에 뜰 것인가. 오래두면 어떠할지 모른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술의 제조법 보다는 "햅쌀술"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씨음식법>에 기록된 "신도주"는 <양주방>의 "햅쌀술"과 제조법이 거의 같은데 밑술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양주방>의 밑술 제조법에서 밀가루가 3홉이 들어가는 데, <이씨음식법>에서는 밀가루 5홉을 넣고 있다.


<양주방>에 기록된 "햅쌀술"의 제조법을 살펴보자.


밑술 빚기

1. 햅쌀 1말을 깨끗이 씻고 또 씻어 빻는다.
2. 끓인 물 2말을 술독에 담아 놓는다.
3. 흰 무리떡을 만들어 더울 때 술독에 넣어 덩어리 없게 풀어 놓는다.
4. 하룻밤을 지내 식힌다.

다음날

1. 햇 누룩가루 3되와 밀가루 3홉을 섞어 넣는다.
2. 사흘 후에 덧술 한다.



덧술 빚기

1. 햅쌀 2말을 깨끗이 씻고 또 씻어 물에 하룻밤 담가 둔다.
2. 물 한 밥그릇 쯤 뿌려가며 익게 쪄 차게 식힌다.
3. 끓인 물 1말을 차게 식혀서 밥과 함께 밑술에 버무려 넣는다.
4. 10일 후에 맑거든 마신다.


술이 다 되면 맵고 달다고 <양주방>에 기록되어 있다.

쌀과 물의 비율을 보면 햅쌀 3말(24kg), 물 3말(54리터) 로 물이 쌀의 부피보다 2배가 더 들어간다. 누룩과 밀가루의 양은 쌀 양의 10% 가 들어간다. 쌀과 물이 1:2 의 비율이 된다.

밑술에서는 미생물이 소화하기 쉽도록 흰무리떡(백설기)을 이용하여 누룩과 밀가루를 섞어 효모의 증식과 젖산 생성을 도왔으며 3일 후 덧술을 하였다. 덧술에서는 다른 술들의 제조법과 별반 다르지 않다. 다만,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이자면 덧술에서 물을 넣지 않으면 술이 더 맛있게 될것으로 보여진다.

이 술을 빚은 시기에 대해 생각해 본다.

햅쌀이라 함은 당해에 나온 쌀의 의미하므로 가을에 생산된 쌀을 이용하여 겨울이 오기 전에 빚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밑술을 하고 덧하는 시간을 3일로 하였으니 날씨가 추울 때 빚은 술은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햅쌀술"은 9월 중순에서 말에 수확한 쌀을 가지고 10월에서 늦어도 11월초 이전까지 빚었던 술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50731
584 개나리꽃술 [2] 시나브로 2009-07-15 2698
583 세번째 막걸리! file [2] 할매 2010-08-09 2697
582 <b>우리술 우리 모두의 힘으로...</b> file [3] 酒人 2009-09-12 2690
581 안녕하세요. 경제시대 2011-09-20 2687
580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 100% 실망 [2] 酒人 2006-05-15 2685
579 9월 개강 한다는데~ 여기에는 소식이 없네요~! 흠.. [3] 술바치 2010-08-09 2680
578 2016 궁중술빚기 대회 공지 누룩 2016-10-12 2673
577 외국인에게 우리 술은? [3] 모수 2010-07-14 2673
576 전통누룩으로 술을 빚는 것은 비과학적인 방법인가? 내사랑 2008-11-23 2673
575 오늘 방송 잘봤습니다~ [1] 이유미 2006-11-20 2670
574 전통주만들기보다가 이상해서 올려요~~ [4] 기우 2007-04-02 2665
573 수업 일정 문의드립니다. [1] 라즈베리 2016-04-11 2664
572 6월 술독정기모임 “복분자주 빚기” [15] 酒人 2008-05-29 2664
571 <b>술독 신년모임 찾아오시는 길</b> file 酒人 2007-01-03 2664
570 <b>“술이 끓는다.”라는 의미에 대하여</b> 酒人 2006-09-18 2663
569 <b>순무주 빚기 후기</b> 酒人 2006-12-15 2656
568 <b>오늘 점심은 = 배꽃 막걸리...^^ </b> [1] 酒人 2007-04-10 2647
567 범벅주...^^ file 酒人 2006-10-05 2639
566 오전 교육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 마타하리 2017-02-22 2637
565 전통주품질인증제 실시 file [2] 관리자 2010-08-10 2629
564 초대장 송학산방 2017-03-29 2627
563 <b>※특강※ 우리술의 스토리 텔링</b> [1] 관리자 2010-04-12 2625
562 입금관련문의 금산전여사 2017-12-09 2611
561 경남 전통주대리점 및 딜러모집 차영호 2006-12-07 2604
560 5월 31일 토요일 <b>-전통주를 맛보다-</b> ♥ file [3] 민酒 2008-05-30 2587
559 여기서~ 제 꿈을 논해봅니다. (넋두리.. ^^;;) [3] 술바치 2010-08-18 2587
558 흩임누룩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초보아빠 2017-06-26 2585
557 [re] 술독 제 1기 초보자 교육 3월 11일 일요일 노병철 2007-03-13 2585
556 수석무역, 에지있는 투톤와인 ‘블랙타워’ 출시 file 모수 2010-06-28 2583
555 내 얼굴. [5] SG오션 2007-03-12 2583
554 <font color=blue><b>전통주학교 제 2기 졸업식</b></font> [2] 관리자 2010-03-25 2580
» 햅쌀술에 대하여 酒人 2006-05-01 2580
552 서울시 교육청 특수분야 연수기관 선정 축하!!! [5] 찌이맘 2010-03-03 2579
551 오늘 tv를 보다가.. [6] 호도 2007-02-13 2578
550 홈피에 문제점이... [1] 자연사랑 2007-02-16 2573
549 일요일 오후가 즐거웠습니다. [1] 방화원 2007-03-11 2568
548 주인장께 [1] 국화사랑 2010-05-14 2565
547 날이 많이 춥네요. 감기 예방법 [1] 타조알 2007-03-06 2561
546 <11기 전통식초학교 모집안내> 누룩 2016-02-28 2560
545 양조장에서.. [1] SG오션 2006-11-10 25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