햅쌀술에 대하여

조회 수 2473 추천 수 177 2006.05.01 21:25:23

햅쌀술 - 신도주(新稻酒)


햅쌀술은 1800년대 말 <이씨음식법>과 1937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는 "신도주"로 기록되어 있으며 1837년 <양주방>에는 "햅쌀술"로 기록되어 있다.  

1837년 <양주방>에는 술의 이름이 "햅쌀술"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 이후의 문헌에서는  햅쌀술의 한문으로 옮긴 "신도주(新稻酒)"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양주방>에 기록된 "햅쌀술"을 나중에 편찬된 문헌에서 "햅쌀술"을 한문으로 풀이하여 "신도주"라고 기록한 것으로 보여진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는 "햅쌀술"에 대한 설명을 "이 술은 공주 땅에서 나면 담그는 것이다. 별로 좋은 줄도 모르고 술을 4-5일 만에 뜨는 것이라 마시면 배도 아프고 좋지 않으니 무슨 술이 이레 만에 뜰 것인가. 오래두면 어떠할지 모른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술의 제조법 보다는 "햅쌀술"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이 기록되어 있다.  

<이씨음식법>에 기록된 "신도주"는 <양주방>의 "햅쌀술"과 제조법이 거의 같은데 밑술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양주방>의 밑술 제조법에서 밀가루가 3홉이 들어가는 데, <이씨음식법>에서는 밀가루 5홉을 넣고 있다.


<양주방>에 기록된 "햅쌀술"의 제조법을 살펴보자.


밑술 빚기

1. 햅쌀 1말을 깨끗이 씻고 또 씻어 빻는다.
2. 끓인 물 2말을 술독에 담아 놓는다.
3. 흰 무리떡을 만들어 더울 때 술독에 넣어 덩어리 없게 풀어 놓는다.
4. 하룻밤을 지내 식힌다.

다음날

1. 햇 누룩가루 3되와 밀가루 3홉을 섞어 넣는다.
2. 사흘 후에 덧술 한다.



덧술 빚기

1. 햅쌀 2말을 깨끗이 씻고 또 씻어 물에 하룻밤 담가 둔다.
2. 물 한 밥그릇 쯤 뿌려가며 익게 쪄 차게 식힌다.
3. 끓인 물 1말을 차게 식혀서 밥과 함께 밑술에 버무려 넣는다.
4. 10일 후에 맑거든 마신다.


술이 다 되면 맵고 달다고 <양주방>에 기록되어 있다.

쌀과 물의 비율을 보면 햅쌀 3말(24kg), 물 3말(54리터) 로 물이 쌀의 부피보다 2배가 더 들어간다. 누룩과 밀가루의 양은 쌀 양의 10% 가 들어간다. 쌀과 물이 1:2 의 비율이 된다.

밑술에서는 미생물이 소화하기 쉽도록 흰무리떡(백설기)을 이용하여 누룩과 밀가루를 섞어 효모의 증식과 젖산 생성을 도왔으며 3일 후 덧술을 하였다. 덧술에서는 다른 술들의 제조법과 별반 다르지 않다. 다만,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이자면 덧술에서 물을 넣지 않으면 술이 더 맛있게 될것으로 보여진다.

이 술을 빚은 시기에 대해 생각해 본다.

햅쌀이라 함은 당해에 나온 쌀의 의미하므로 가을에 생산된 쌀을 이용하여 겨울이 오기 전에 빚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밑술을 하고 덧하는 시간을 3일로 하였으니 날씨가 추울 때 빚은 술은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햅쌀술"은 9월 중순에서 말에 수확한 쌀을 가지고 10월에서 늦어도 11월초 이전까지 빚었던 술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4709
64 누룩 완성도(아래것 부터 완성도가 높은 것이라 함) file [3] 모락산(진 2008-08-25 1637
63 안녕하세요~ [2] 인생의달인 2008-07-11 1636
62 밀가루 꽉 채운 틀... file 봇뜰 2008-07-16 1636
61 새해 복~~! [2] 한국인 2009-01-04 1636
60 "정기모임" 대중교통 이용하시는 분들께,, 관리자 2008-11-27 1636
59 감기조심하세요~~~ [3] 최소희 2008-09-09 1636
58 2009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 조용바람 2009-01-30 1635
57 세번째 작업 사진입니다. file [1] 빨강머리앤 2008-07-25 1635
56 열심히 하는 모습... file [1] 봇뜰 2008-07-16 1634
55 우리 전통주의 미래는 밝다. [4] 내사랑 2008-11-30 1634
54 무료함을 달래며 한잔 ~~~~~~~~~`` file [2] 도사 2008-08-15 1634
53 채주해서 한잔 했습니다...^^ [3] 봇뜰 2008-07-26 1634
52 부부팀으로 시작~~ file [3] 봇뜰 2008-07-16 1633
51 봇뜰네 시계꽃 file [3] 모락산(진 2008-06-23 1633
50 술독모임다녀와서 [2] 본치 2008-06-23 1633
49 누룩 잘 디디세요~~~~ [2] 최소희 2008-07-10 1633
48 복 많이 많이 받으세요~^^ [2] 빨강머리앤 2009-01-23 1633
47 세번째 뒤집기(7/23) file [3] 모락산(진 2008-07-24 1633
46 봇뜰네 file [5] 모락산(진 2008-06-23 1632
45 다들.. 한가위 만 같으세요들.. [1] 산우 2007-09-28 1632
44 오랜만에 들렀습니다. [1] 오야봉 2009-05-18 1632
43 술도 못마시면서... [3] 운인 2009-01-06 1632
42 벌써~~~ [2] 최소희 2008-10-02 1632
41 십중팔구님과 관악산에서... file [2] 酒人 2008-09-03 1632
40 백곡 뒤집기 2,,, file [2] 봇뜰 2008-07-19 1632
39 누룩 디디면서...^^ file [2] 봇뜰 2008-07-16 1632
38 축하 합니다^^ [1] luna 2009-03-24 1631
37 8월 정기모임--실습 및 시음 file [3] 도사 2008-08-24 1631
36 완성된 누룩... file [2] 봇뜰 2008-07-16 1631
35 설날을 앞둔 우리의 바램 [2] 내사랑 2009-01-25 1630
34 고향이그리워.. [1] 대감 2008-12-21 1630
33 10월정기모임 file [4] 복드림 2008-10-13 1630
32 신문 벗긴 누룩 입니다... file [2] 봇뜰 2008-07-16 1630
31 다른생각 하는 팀들... file 봇뜰 2008-07-16 1629
30 유월 마지막 날에 쓴 산골일기 [2] 도연명 2008-07-09 1629
29 술독화이링~ [1] 권희승 2007-11-15 1629
28 즐거운 명절되세요...^^ [1] 봇뜰 2008-02-06 1629
27 고향 내음이 그리워서... 대감 2009-04-27 1629
26 2009년 2월 제천시 농업기술센터 강의 관리자 2009-02-01 1629
25 기축년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1] 녹야 2009-01-02 16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