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도 특등급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조회 수 3705 추천 수 228 2006.03.18 17:39:26
공장에서 만드는 술은 술 속에 있는 부유물들을 없애기 위해서 화학 원료를 투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일반가정에서는 시설 등이 따라주지 못하기때문에 이렇게 할 수 없습니다.

용수를 박아 맑은 술을 얻을 수 있지만, 그것은 잠시뿐입니다. 용수에서 술을 받아 용기에 넣어 냉장고에 보관하면 언제 맑았냐는 듯이 술 속에 부유물질이 생겨서 "술이 뿌옇게 되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이것을 양조용어로는 "혼탁현상"이라 합니다.

물론, 용수에서 받은 술을 천을 이용해 한 번 걸러 용기에 담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혼탁현상"이 모두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공장에서 하는 방법(약품사용)을 사용하지 않고도 아주 깨끗한 술을 얻을 수 있어 소개하려 합니다.


먼저, 술을 보관할 수 있는 "유리병"을 준비합니다.(5리터정도) 들어가는 유리병이 좋습니다.

1. 용수를 사용하든, 체를 사용하든 술을 거른다.
2. 거른 술을 유리병에 넣는다.
3. 일반 냉장고 한쪽에 넣어 둔다.


<- 용수에 있는 술을 호스를 이용해 빼는 모습


이렇게 되면 술 속에 있는 미세한 부유물들이 온도가 내려가면서 엉겨 붙게 됩니다. 엉겨 붙은 것들은 아래로 가라앉아 위에는 투명한 맑은 술만 고입니다.

<- 용수에 있는 술을 유리병에 넣는 모습





1. 1주일 정도 후, 호스 등을 이용해 위에 있는 맑은 술을 떠냅니다.
2. 떠낸 술을 유리병등에 넣으면 더이상 혼탁현상이 생기지 않습니다.


<- 병에 담은 술을 냉장고에 2틀정도 넣어둔 모습

물론, 술에 부유물이 생긴다고 부패하였거나 인체에 해롭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힘들게 만든 술을 "더욱 가치있게" 만들수 있다고 봅니다.

한달, 두달 공들여 만든 술을 다른 사람들에게 꺼내 놓았는데, 술 밑에 부유물들이 가라앉아 있거나 하면 시각적으로 좋지 않을 것입니다.

<- 냉장고에 넣어 뒀던 술을 유리병에 옮겨 넣은 모습(완제품)
연두빛이 납니다.

이러한 방법을 양조용어로는 "냉동여과방법"이라고 하며, 위스키등은 실제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위스키의 원주 온도를 -5도~0도 로 냉각하여 고급지방산의 용해도를 낮춤으로써 혼탁현상을 일으켜 혼탁물질을 쉽게 제거하는 냉동 여과방법을 사용한다." (국세청기술연구소 교육자료에서)

물론 공장에서 처럼 온도를 아주 낮게까지 내리지 못하더라도 일반 내장고에 넣어두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용수에 있는 술을 받아 놓고 다시한번 여과하게 되는 번거로움은 있을 수 있지만, 맑고 투명한 술을 얻을 수 있다는 보람도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특등급 가양주를 향하여..~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 suldoc.com


이상훈

2006.03.19 10:46:15
61.81.1

호스로 병에 담을 때, 입으로 빱니까?
아니면 다른 과학적인 방법이 있습니까?
그림으 보면 호스 사용이 멋있는데, 그런 상상을 하니 좀 뭐한데..... 좋은 방법이 있으면 가르쳐주세요.

酒人

2006.03.19 18:12:34
125.188

위에 보이는 호스는 ***님께서 가르쳐주신 "실리콘호스"입니다. 길이는 2미터정도 되구요.

1. 실리콘 호스라 동작이 자연스럽게 됩니다. 동네에서는 구입하기 힘들구요. 큰 시장에 가면 구입할 수 있을거에요.

2. 호스 맨 끝부위에 가정에 있는 비닐랩을 쒸웁니다. 그리고 입으로 빨면 술에는 침 하나 섞이지 않습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호스 길이가 2미터 정도 되기 때문에 술이 밖으로 나올때까지 입에 물고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어지간하게 호스 안에 술이 나오는 것이 보이면 호스를 손으로 쥐고, 랩을 제거합니다.

그리고 유리병에 술을 받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4428
64 기축년 새해 건강하세요 [3] 모락산(진 2009-01-23 1633
63 누룩 아직도 따뜻하다. [2] 모락산(진 2008-07-28 1633
62 세번째 작업 사진입니다. file [1] 빨강머리앤 2008-07-25 1633
61 세번째 뒤집기(7/23) file [3] 모락산(진 2008-07-24 1633
60 안녕하세요~ [2] 인생의달인 2008-07-11 1632
59 선생님 안녕하시지요 [1] 마름 2009-02-27 1632
58 2009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 조용바람 2009-01-30 1632
57 "정기모임" 대중교통 이용하시는 분들께,, 관리자 2008-11-27 1632
56 열심히 하는 모습... file [1] 봇뜰 2008-07-16 1631
55 밀가루 꽉 채운 틀... file 봇뜰 2008-07-16 1631
54 복 많이 많이 받으세요~^^ [2] 빨강머리앤 2009-01-23 1631
53 새해 복~~! [2] 한국인 2009-01-04 1631
52 감기조심하세요~~~ [3] 최소희 2008-09-09 1631
51 무료함을 달래며 한잔 ~~~~~~~~~`` file [2] 도사 2008-08-15 1631
50 부부팀으로 시작~~ file [3] 봇뜰 2008-07-16 1630
49 술도 못마시면서... [3] 운인 2009-01-06 1630
48 벌써~~~ [2] 최소희 2008-10-02 1630
47 누룩 디디면서...^^ file [2] 봇뜰 2008-07-16 1630
46 봇뜰네 file [5] 모락산(진 2008-06-23 1629
45 오랜만에 들렀습니다. [1] 오야봉 2009-05-18 1629
44 고향 내음이 그리워서... 대감 2009-04-27 1629
43 10월정기모임 file [4] 복드림 2008-10-13 1629
42 8월 정기모임--실습 및 시음 file [3] 도사 2008-08-24 1629
41 백곡 뒤집기 2,,, file [2] 봇뜰 2008-07-19 1629
40 누룩 잘 디디세요~~~~ [2] 최소희 2008-07-10 1628
39 완성된 누룩... file [2] 봇뜰 2008-07-16 1628
38 봇뜰네 시계꽃 file [3] 모락산(진 2008-06-23 1627
37 즐거운 명절되세요...^^ [1] 봇뜰 2008-02-06 1627
36 축하 합니다^^ [1] luna 2009-03-24 1627
35 베란다에 &#52287;아온 봄.............. file [1] 도사 2009-02-25 1627
34 2009년 2월 제천시 농업기술센터 강의 관리자 2009-02-01 1627
33 설날을 앞둔 우리의 바램 [2] 내사랑 2009-01-25 1627
32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달빛아래 2009-01-23 1627
31 기축년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1] 녹야 2009-01-02 1627
30 고향이그리워.. [1] 대감 2008-12-21 1627
29 우리 전통주의 미래는 밝다. [4] 내사랑 2008-11-30 1627
28 <b>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 </b> 酒人 2008-09-09 1627
27 십중팔구님과 관악산에서... file [2] 酒人 2008-09-03 1627
26 어제 작업했습니다. [4] 빨강머리앤 2008-07-17 1627
25 신문 벗긴 누룩 입니다... file [2] 봇뜰 2008-07-16 162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