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소주에 대하여.............

조회 수 4576 추천 수 139 2006.03.13 04:43:36
"도소주(屠蘇)는 원기가 회복되어 병을 물리친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술은 정월 초 하루 동이 틀 때에 술을 만들어 온 식구들이 동쪽으로 향하여 마시는 술로서 한 사람이 이 술을 먹으면 한 집안이 전염병에 걸리지 않고, 한 집안이 이를 먹으면 한 마을에 전염병이 없다.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1. 도소주는 <고사촬요, 민천집설, 임원십육지, 주찬, 의방합편>에 기록되어 있으며, <고사촬요, 의방합편, 주찬>에 기록된 "도소주"는 같은 제조법으로 백출, 대황, 천초, 지모, 도라지, 호장근, 오두 껍질 벗긴것이 들어갑니다. 그러나 <임원십육지>와 <민천집설>은 원문이 없어 확인하지 못했으나 제조법은 모두 비슷하고 재료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듯 보입니다. 계심, 방풍, 완계, 수유가 그것입니다.

2. "자주(煮酒)"에서는 "중탕(重湯)"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고사촬요, 의방합편, 주찬>에서는 "수비(數沸)"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찬>에서는 "수비"를 '몇 소큼 끓여'로 해석하였으며, <고사촬요>에서는 '몇 번 끓임"으로 되어 있습니다. <의방합편>은 한글 해석이 나온것이 없었습니다.

3. "수비(數沸)"<셀 수, 끓을 비>는 "몇 번 정도 끓인다"로 해석하면 될 듯 합니다. 뜻이 맞다면, 도소주는 자주와 같이 중탕기 같은 방식이 아닌 "재료에 술을 넣고 끓이는 방식"을 사용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재료에 술을 넣고 몇 번 끓이게 되면 알코올이 날아가 술의 도수가 약해질 것입니다. 왜 도수가 약해지게 만들었을 까요??

4. 그 이유는 도소주의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가족(어린아이부터 노인들까지) 모두 마실 수 있는 도수가 낮은 약술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도소주는 일부러 알코올을 증발 시킬 목적으로 술을 약재와 섞어 끓이는 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는 끓이는 시간입니다. 도소주는 정월 초 하루 아침에 마시는 술입니다. 제조법에서도 "섣달 그믐날에 우물속에 매달아서 우물밑바닥이 닿는 곳에 담가둔다. 정월 초하루 동이 틀 때에 꺼내어 술을 붓고 함께 달인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봐서 동이 틀 때 부터 아침까지가 술을 끓여 식히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제가 조선시대에 살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1-2시간 정도 끓이고 1시간 정도 식혔다가 아침 차례를 지낸 후에 "도소주"를 한잔씩....^^


5. 자주와 도소주는 들어가는 재료뿐 아니라 제조법 또한 다른 것 같습니다. 자주는 대부분 청주(淸酒)를 사용하였지만, 도소주는 그냥 술(酒)로 표기되어 있어, 이 술이 청주인지, 소주인지는 확실히 나와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4번에서 설명했듯이 "도수가 낮은 술"을 만들기 위함이라면 소주보다는 도수가 낮은 청주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6. 따라서 두 술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도소주가 알코올을 낮춰 가족 전체(아이들까지)가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술"이라면, 자주는 술을 중탕하여 알코올이 날아가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면서도 약효를 얻기위한 제조법이라는 것입니다.

7. 정리하면, 도소주는 "어린아이부터 노인들까지 모든 사람들이 쉽게 먹을 수 있는 술"이기 때문에 "재료에 술을 넣어 끓이는 방법"으로 알코올 도수를 낮춰 술을 만드는  제조법을 사용한 것 같습니다. 알코올이 약간 섞여 있으면서 쓰고, 맹물에 약을 다린 맛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상훈님 덕분에 "도소주"와 "자주"를 재밌게 공부했습니다. 이 글을 읽으면 아시겠지만 새벽에 공부한 보람은 찾은 것 같습니다.

이상훈

2006.03.13 14:29:15
61.81.1

도소주에 대해 찾아보셨군요.
우선 제가 추가로 확인한 내용만 몇 자 적습니다.

1. <민천집설>의 내용은 <고사촬요>나 <주찬>과 같습니다.

2. <임원십육지>에서의 제법은 위의 문헌과 거의 대동소이합니다. 지적하신대로 약재만 약간 다릅니다.
임원 십육지엔 두 가지 주품이 소개되어 있고, <본초강목>의 내용을 소개하며 도소주 유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법을 약간 설명드리면 <진씨소품방>에서는 원단에 마시면 질병을 피하고 일체의 부정기를 막을 수 있다고 하면서 적출, 계심, 방풍, 완계, 촉초(?), 도라지, 대황, 오두, 적소두 등을 넣는다고 되어 있고, 다른 방에서는 대황, 도라지, 천초, 계심, 오두, 백출, 방풍 등을 넣어 진씨소품방과 같이 빚으라고 되어 있습니다.

3. 문제가 되는 것은 '數沸'라는 용어입니다. <주찬>에는 <몇소큼 끓여 낸 후'라고 해석했는데 사실 '數'라는 뜻에는 '두서너' 또는 '빨리하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또 <임원십육지>에는 '煎數沸'라고 되어 있습니다.
'전'이란 '달인다'는 의미이니 주인님이 해석처럼 '두서번 끓인다' 또는 '빨리 끓인다'고 해석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酒人

2006.03.13 14:58:50
58.77.1

<민천집설>과 <임원십육지>의 원문이 없어 아쉬웠는데 추가자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1. 촉초는 천초의 오타가 아닌가 봅니다.

2. 數沸라는 용어는 말씀하신대로 "두서번 끓인다"로 해석하면 될 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9098
984 4월 남양주 봇뜰 모임(사진5) file [4] 책에봐라 2008-04-27 1799
983 다녀오겠습니다!! [3] 인생의달인 2008-05-29 1799
982 깨진 비중계 [1] 설야 2007-12-05 1800
981 4월 남양주 봇뜰 모임(사진7) file [7] 책에봐라 2008-04-27 1801
980 전통주산업진흥법안 발의 [3] 강마에 2009-06-24 1803
979 봄 정기모임 사진모음 4 [1] 酒人 2008-05-01 1803
978 끓어 터질 것 같은 이 술 어떻게 될까? [3] 내사랑 2008-10-12 1805
977 즐거운 표정... file [1] 봇뜰 2008-07-16 1807
976 막걸리 축제를 다녀와서.... file [1] 강마에 2009-04-27 1808
975 <b>정기모임이 3일 남았네요. 정모요약 ^^</b> [2] 酒人 2008-06-17 1812
974 NGO등록 고대하겠습니다. [1] 반딧불 2008-05-19 1812
973 25일 강좌내용 동영상 올려주세요~~ [1] 비야 2007-11-27 1813
972 포도주 한 잔으로 피곤함을 달래며.. file [5] 도사 2009-02-04 1817
971 초대합니다~ 이상균 file [1] 무창 이상 2008-12-16 1820
970 다래로 만들 수 있는 술에 대하여 알고싶은데요 [1] 이강훈 2007-09-24 1822
969 8월 정기모임--봇뜰님 정원 file [2] 도사 2008-08-24 1823
968 수락산에 오른 8명의 산악인들,, ^^ file [5] 酒人 2008-09-08 1824
967 <b>숭례문... 가슴아프다.</b> [2] 酒人 2008-02-11 1831
966 완성된 오종주 ^^ 기름이 철철철 file [1] 酒人 2008-04-21 1836
965 2009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참관기 file [1] 강마에 2009-05-18 1839
964 [re] 나는 왜 비과학적으로 술을 빚는가. [1] 酒人 2008-11-23 1841
963 4월 남양주 봇뜰 모임(사진9) file [4] 책에봐라 2008-04-27 1844
962 2009년 신년회에 다녀와서......... file [11] 도사 2009-01-11 1845
961 지리산에 다녀 왔습니다. file [4] 酒人 2008-05-12 1848
960 술과 떡축제 [1] 비아 2007-04-12 1850
959 [부의주]인드라망 file [2] 모락산(진 2008-11-28 1852
958 4월 남양주 봇뜰 모임(사진8) file [4] 책에봐라 2008-04-27 1852
957 추석에쓸 술만들때가 되어가는데... [3] 애주가 2007-08-30 1864
956 봄 정기모임 사진모음 2 [1] 酒人 2008-05-01 1866
955 오랜만이네요~! [3] 한국인 2009-08-01 1867
954 좋은글 이지예 2024-01-12 1869
953 유리병 구매처 아시는 분좀 [2] 상갑 2008-10-31 1873
952 4월 남양주 봇뜰 모임(사진3) file [4] 책에봐라 2008-04-27 1874
951 오늘의 명언 [1] 이지예 2024-02-25 1874
950 새해 첫 날의 사랑노래 이영훈 2024-01-19 1874
949 고구마술 담았습니다. file [4] 도사 2008-11-08 1877
948 이명옥님께 드릴 상근백피주,^^ file [7] 酒人 2007-09-18 1878
947 누룩 평가해 주세요? file [2] 모락산(진 2008-08-31 1882
946 기응백세주 大 성공^^ file [4] 酒人 2008-10-24 1883
945 6월 정기모임 과 쑥술 시음회...^^ file [1] 봇뜰 2008-06-17 18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