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술, 밥알 띄우기

조회 수 4664 추천 수 143 2006.03.02 00:00:43
부겸주(浮兼酒)와 부렵주(浮?酒) 그리고 변탁주위청주법(變濁酒爲淸酒法)

여기서 부겸주와 부렵주는 보는 바와 같이 술 이름이고, 변탁주위청주법은 말 그대로 "탁주를 청주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두 술 모두 뜰 부(浮)자를 쓰고있는 것을 눈여겨 봐야 할 것입니다.

부겸주는 주찬(1800초)에 " 찹쌀 1되로 물러 퍼지게 밥을 짓고 누룩 1되를 고루 섞어 독 밑에 깐 다음, 좋은 탁주 1동이를 그 위에 부어 단단히 봉해 둔다. 3일이면 청주가 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부렵주는 고려대규곤요람(1795)에 "점미 2되를 백세하여 밥을 지어서 누룩 1되를 섞어 항아리에 담고, 독한 탁주 1동이를  부어 두면 3일만에 술이 익는다"라고 하였습니다.

변탁주위청주법은 증보산림경제(1766)에 "술이 익기 전에 손을 대어 퍼내어 마시면 술이 온통 탁해져 맑은 술을 취할 수 없게 된다. 이럴 경우에는 곧 전내기(물을 조금도 타지 아니한 술)를 체에 걸러 막걸리를 만들어 다시 독에 붓는다. 별도로 찹쌀 3되로 밥을 지어 고운 누룩 1되와 섞고 5-6개의 덩어리를 만들어 독에 넣어 두면 3일만에 술이 맑아진다. 이것은 쌀 1말을 빚어 전국을 만든 경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세 술의 공통점은 탁주를 청주로 만드는 법이라는 것입니다.

이 술들은 청주가 필요할 때 사용하던 방법으로서 일반가정에서 술을 빚어 술이 맑게 나오지 않았을 때, 위와 같은 제조법을 사용하면 좋을 것이라 생각하여 쓴 것입니다.

또한, 탁주를 청주로 만드는 법 이외에도 "술 위에 밥알을 띄우는 목적"도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손님을 초대하였거나 좋은 술을 더 좋게 보이기 위해 밥알을 띄어 손님에게 내 놓는다면 술을 더 값지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1. 탁주 1말을 준비한다.
2. 찹쌀 2되를 백세하여 고두밥을 만들어 식힌다.
3. 누룩 1되와 잘 섞어 술독에 담는다.

이 술빚기는 알코올과 미생물이 많이 생성되어 있어서 자칫 높은 온도에서 발효시키면 술에서 신맛이 날 수 있으니 기존에 빚는 법대로 빚으면 안될 것입니다.

1. 탁주를 먼저 잘 소독된 술독에 담는다.
2. 식힌 고두밥과 누룩 1되를 술독에 넣는다.
3. 긴 주걱 등으로 휘저어 준다.

이것은 자칫 술을 용기에 붓고 고두밥과 누룩을 섞어 다시 술독에 넣는 과정이 되면 필연적으로 탁주가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1. 술독에 넣은 다음에는 보쌈을 하지 말고 20-22도 정도되는 실온에 둔다.
2. 20도 보다 낮은 온도도 괜찮을 것이다.

3일 정도 후에 밥알이 떠오르면(밥알이 떠오른다는 것은 술이 맑아졌다는 의미)떠 있는 밥알과 술을 함께 마십니다.


전통주는 "술독" www.suldoc.com

이유미

2006.03.02 00:21:41
59.10.1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이상훈

2006.03.02 01:24:11
211.230

<전통주 비법 211가지>(박록담 저, 코리아쇼케이스 간) 60페이지 내용도 참조하세요.

비슷한 술빚기로 <산가요록>의 '급시청주', <주방문>의 '급청주'가 있고, 가양주(진도 청주 한씨 가문의 술)로서 '동방주'가 있습니다.

문헌 상에 보면 '전내기'='독한 탁주'='좋은 탁주'는 같은 개념으로 봐야 할 듯 합니다.

동방주에서는 특이하게도 누룩가루를 막걸리에 넣고 충분히 불리는 과정이 있고, 누룩과 고두밥 그리고 막걸리를 쳐대는 과정은 없으며 차지도 뜨겁지도 않은 실내에 앉힌다.

그러나 동방주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동방주를 맛있게 하려면 여름에는 술을 되게 하고, 봄과 가을에는 무르게 담는다>는 것이다.

'되다'???? 무슨 뜻일까? 좋은(독한) 탁주???? 아니면 적은 량의 탁주???
'무르게'??? 이는 무슨 뜻일까? 물섞은 탁주??? 아니면 여름보다 더 많은 탁주????

酒人

2006.03.02 02:09:41
125.188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이상훈님께서는 항상 늦게 주무시는 것 같아요...ㅋㅋㅋ

그리고 글을 쓰고 항상 이상훈님의 답글이 기다려집니다. 언제나 감사합니다.

1. 전내기 (물 타지 않은 탁주), 독한 탁주, 좋은 탁주 는 이상훈님께서 말씀 하신 것 처럼 같은 개념으로 봐야 무방하다 봅니다.

다만, 변탁주위청주법에서 사용된 "전내기"는 다른 각도로 봐도 좋을 듯 합니다. 즉, 물 타지 않은 탁주이니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으니까요. 방문에도 "술이 익기 전에.."라는 표현이 있듯
전내기를 꼭 "좋은 탁주다" 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이런 방법으로 빚는 술은 차지도 덥지도 않은 곳에서 빚어야 한다고 봅니다. 개인적인 의견은 위에 설명하였으니 생략하겠습니다.

3. 되다 : 물기가 적어서 뻑뻑하다. 질지 않다.
무르다 : 단단하지 아니하다. 사전적 의미 그대로 해석하면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탁주의 양은 정해져 있을 것이니 탁주와 섞는 곡물의 양으로 '되고' '무르고'를 조절하는 것이라 봅니다.

또한, 많은 양의 탁주가 들어가는 술빚기는 "좋은 탁주"를 사용해야 좋은 술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전통주 비법 211가지>에도 소개되어 있듯이 좋은 탁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청주를 만드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7841
1024 1월 전통주정규과정 신입생 모집 (마감) 누룩 2011-11-29 5201
1023 2012 한국 궁중술빚기 대회 공지 酒人 2012-07-25 5186
1022 반애주가의 자작 발효실 file [3] 반애주가 2011-08-19 5179
1021 10기 졸업작품 품평회 및 졸업식에 초대합니다. 酒人 2012-11-13 5160
1020 농림수산식품부 지원 교육과정(입학신청서) file 누룩 2012-06-25 5152
1019 백수환동곡 전과 후 file 酒人 2013-07-29 5142
1018 송로주 견학 그 향에 취하다. file [2] 酒人 2011-10-21 5141
1017 6월 3일(일) 8기 졸업식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file 酒人 2012-05-16 5140
1016 2011 대한민국 가양주 酒人선발 본선 대회(진출자 필독) 안내 누룩 2011-09-28 5113
1015 강원도 홍천 양조장 탐방 안내(마감) file 누룩 2013-05-16 5109
1014 전통식초 및 양조장 탐방 12월 8일(토) 선착순 5명 모집 file 누룩 2012-12-05 5108
1013 백운양조장 file 최형순 2012-01-28 5104
1012 술독회원님들께 찹쌀을 공급해 드립니다. 대흥쌀유통 2012-03-08 5090
1011 병 디자인~ ^^ file [4] 酒人 2008-11-02 5072
1010 류인수 소장 '한국정보화진흥원 명예홍보대사 위촉식' file [3] 누룩 2012-10-14 5069
1009 찹쌀 단가 안내입니다. [1] 대흥쌀유통 2012-11-21 5063
1008 궁중술빚기대회 개최 장소 안내입니다.(10월6일 토요일/ 오후 2시-4시 /난지캠핑장) [1] 누룩 2012-10-05 5063
1007 가양주문화의 저변 확대 방안 file 酒人 2011-06-15 5062
1006 동문 이명희님 강릉전통주대회 대상 수상 누룩 2013-05-16 5029
1005 에쎈 2월호 - 류인수 소장의 누룩이야기 누룩 2013-01-25 5029
1004 오늘은 첫 해일 - 삼해주 빚는날입니다. 제조법 공개 file [6] 酒人 2012-01-27 4986
1003 2013 졸업생 '보수교육' 酒人 2013-08-11 4942
1002 굿밤되세요. 이지예 2019-08-16 4937
1001 <font color='339999'>과하주의 원리 酒人 2005-11-20 4916
1000 요즘 어깨가 안좋아 저같은분 계실까봐 어깨마사지에 대해 얘기해봐 사이런트힐 2024-04-22 4911
999 사진으로 누룩 평가 가능할까요? file [6] 복드림 2008-08-21 4909
998 삼해주가 익어갑니다. file [6] 김선호 2012-03-06 4891
997 한자는 우리글이다. 관리자 2006-01-01 4867
996 2013 전국 가양주 주인선발대회 모집안내 누룩 2013-08-02 4853
995 여기가 길인지 강인지... file [2] 酒人 2011-07-27 4848
994 한국가양주연구소 농림수산식품부지원과정 입학식 누룩 2012-08-14 4846
993 2011 대한민국 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최종 진출자 명단 누룩 2011-09-28 4831
992 (모집) 10월 명주반 수강생 모집(마감) 누룩 2011-08-30 4817
991 삼양주 거르는 시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한원장 2017-02-21 4816
990 드디어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취득했습니다. [3] 할매 2016-08-12 4816
989 시인 조지훈의 주도 18단계 [2] 音美 2011-07-12 4808
988 백운양조장 file 최형순 2012-01-28 4808
987 공개특강이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file 누룩 2011-11-07 4803
986 정말 몇년만에 찾아온 무심한 사람입니다. [1] 윤두리 2012-01-31 4797
985 졸*여사진 file [3] 빈술항아리 2011-06-27 4785
XE Login